rta와 rda 차이가..이것 아닌가요..?
본문
rta 입호흡
rda 폐호흡..
rda 입호흡 얘기를 봐서..여태 멍청하게 몰랐던것인가..ㅠ
rda 폐호흡..
rda 입호흡 얘기를 봐서..여태 멍청하게 몰랐던것인가..ㅠ
추천 0
댓글 17건
ploki님의 댓글

|
rta도 폐홉 있숨다!!츄릅 |
바버제이님의 댓글

|
RDA(Rebuild-able Dripping Atomizer) : 리빌드 한후에 직드립을 하여 사용 하는 무화기입니다. 직관적이고 최상급 맛 표현 하지만 액상을 계속 드랍해서 써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쥬스웰(1~2ml)이 있는 형태의 덱으로 정착되어 이용되고 있습니다.
RTA(Rebuild-able Tank Atomizer) : 리빌드 후 덱을 침니로 보호하고 침니밖으로는 탱크를 두는 방식의 무화기 입니다. 액상을 저장하는 탱크가 존재하며 탱크에 저장된 액상은 지속적으로 솜에 공급이 되는 방식입니다. 침니를 거치다보니 RDA 방식보다 좀 먼거리를 거쳐오다보니 맛이 조금 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리빌드 방식이나 솜의 윅킹 솜씨에 따라서 누수나 탄맛을 느낄수 있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RDTA(Rebuild-able Dripping Tank Atomizer) : RDA의 하단이나 상단에 탱크를 추가하여 RDA RTA양쪽의 장점을 취하는 방식입니다. 드립팁이나 탑캡을 통하여 직드립을 해도 상단이나 하단의 탱크를 통하여 액상을 유입시켜 사용가능한 방식입니다. 상단 탱크 방식은 누수의 위험과 탱크로 인하여 멀어진거리에 의한 맛표현의 약점이 있고 하단의 탱크는 액상 유입을 위하여 잠시 기울여 액상 유입 시간을 주어야 한다는 단점 및 무화기가 누었을때 누수 방생의 위험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Bottom Feeder : 역시나 직드랍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긴 방식입니다. 센터핀의 홀을 통하여 외부의 탱크로 부터 액상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직드랍도 가능하고 탱크의 압이 무너지지않는 이상 누수의 확률도 낮은 방식입니다. 다만 제대로 체결이 안되거나 몇몇 허접한 클론에서는 센터핀에서 폭풍 누수가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특정 기기에서는 탱크역확을 하는 공병을 구하기 힘든 단점과 공병과 센터핀이 연결되어 액상을 유입시키는 유입구에 잔향이 남을수도 있습니다. MTL(Mouth To Lung) : 직역하면 입에서 폐로 라는 뜻으로 입호흡 기기를 뜻하는 명칭입니다. 이건 뭐 기기의 종류 보다는 그냥 입호흡기기로 제작 되었다는걸 표현하는 한 방법일 뿐입니다. 이정도면 이해가 되려나요? RTA가 입호흡이고 RDA가 폐호흡이고 그런거 아닙니다. 다 다른 명칭이에요 ㅎ |
박보영님의 댓글

|
|
ploki님의 댓글

|
@박보영츄릅츄릅 |
박보영님의 댓글

|
@바버제이으어..rda는 직접 액상 부어먹고 rta는 경통에 넣어놓고 먹는것밖에 안들어오네요ㅠ 크. .정말 좋은지식 감사합니닷!!행복하세요^^ |
박보영님의 댓글

|
@ploki식사는 하셯습네까! |
ploki님의 댓글

|
@박보영육포 츄릅츄릅 하고있죠
구차나서 점심 잘 안묵어요 ㅋㅋ |
박보영님의 댓글

|
@ploki육포라니..육식러 이시군요!!육포라도 든든히 마니드시길!!헿 |
ploki님의 댓글

|
@박보영몇개 없어서..
다묵었네요 ㅠㅠ |
박보영님의 댓글

|
@ploki다른것도 좀 드세요.진짜 건강이 최고다..라는 말이 맞아요..밥 잘 챙겨먹고 다니세요!!저는 살뺀다고 잘 안먹지만ㅠ.ㅠ이것도 적당히 해야하는뎅..쩝.. |
ploki님의 댓글

|
@박보영하지만 구차니즘이 이미 제 정신을 지배했습니다 츄룹 |
박보영님의 댓글

|
@ploki쳇!몸 건강하세요!! |
ploki님의 댓글

|
@박보영장 건강 챙기세요!! |
멜팅님의 댓글

|
r은 리빌드 d는 드랍 t는 탱크 a는 아토마이저 ㅋㅋ 기본은 폐홉 mtl붙으면 입홉 !! |
박보영님의 댓글

|
@멜팅오옷..간단명료!!고맙습니닷!! |
빨간대문님의 댓글

|
rda와 rta는 위엣 분들 말씀처럼 액상을 저장하거나 사용하는 방식의 차이 입니다.
rda나 rta 앞이나 뒤에 mtl이 붙으면 mouth to lung 입에서 폐로 무화를 넘기는 입호흡이고, dl이 붙으면 direct lung 폐로 직접 무화를 보내는 폐호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박보영님의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