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빌드시 코일 질문!!
본문
1번 -코일의 저항 0.4옴일때 30와트를 놓고 사용한다면 =3.46v가 나오고
2번 -코일의 저항 0.2옴일때 60와트를 놓고 사용해도 = 3.46v가 나옵니다
1.옴의 변화에따라 전압을 일정값을 기준을 두고 기기를 사용하는것이 맞는건가요?
2.1번코일과 2번코일의 차이는 뭔가요?? 똑같은 전압인데 코일에 가는 영향이 다른가요? 빨리 탄다거나 맛이다르다거나 차이를 알려주세요!
추천 0
댓글 2건
메르큐노님의 댓글

![]() |
보통 전압을 일정하게 두면 편하죠. 그래서 볼트모드 되는 기기가 편한게, 코일 상관없이 볼트 맞춰놓으면 되니까요. 물론 볼트가 더 세면 당연히 무화량이 많고 맛표현 진해집니다.
위 예시처럼 저항값이 높고 와트가 낮다면 두번째 예시에 비해 램프업이 느리고 무화량이 비교적 적을수 있어요. 그래서 두발기기 메쉬 0.15-0.2 옴대로 70-80와트를 많이 쓰는 편이죠. 볼티지와 와티지를 높게 설정하시면 무화량이 많고 맛이 진합니다. 달리 말하자면 맛이 뭉개진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저항값이 높은 코일들은 대체로 무화량이 비교적 적고 (물론 연초보다는 당연히 많겠지만.. 비교적 이요) 맛이 연합니다. 대신 여러 맛을 선명하게 올려주기도 하죠. 그래서 드리퍼도 취향따라 저처럼 0.15옴-0.18옴 듀얼 빌드로 진하고 무화량 많게 쓰는 사람이 있고, 싱글무화기로 0.4옴 잡아서 선명한 맛을 즐기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카더라 통신이긴 하지만 보통 듀얼만 쓰는 사람은 싱글에서 만족감을 못 느끼고 싱글에 맛들이신 분들은 그 선명한 맛표현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고 하죠ㅎㅎ 전 당연히 듀얼입니다. 램프업 빠르고 진한맛에 무화량 겁나 많은게 좋아서용 |
메르큐노님의 댓글

![]() |
@메르큐노참고로 보통 전압은 3.7-4.2 사이로 잡는 편이며, 기성코일은 코일에 적정 와트수가 적혀 있습니다. 그보다 낮은 와트수도 가능은 하지만 액상 유입에 비해 기화되는 양이 적어 누수가 날 수 있고 무화량도 적으며 램프업도 비리비리하죠...
반대로 더 높은 와트를 설정하면 맛은 더 진해지고 램프업도 빨라지며 무화량도 많아지는건 당연하지만 코일 수명이 짧아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