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호흡용 액상 김장 니코틴 관련
본문
쭈욱 찾아보니 대부분 3mg짜리 액상을 만들려면 100mg/ml 희석액 기준
100ml액상에 3ml를 추가하면 300mg의 니코틴이 들어가므로 3mg액상이라고 계산을 하시더라구요
근데 희석 자체가 니1:pg9의 비율로 희석해서 100mg/ml로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경우 실제 액상의 니코틴 비율은
300mg / (100ml+3ml) = 2.91mg/ml 가 되는게 아닌가요...? 김장쪽 알아보면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정확한 김장을 하려면 3mg/ml 액상 기준
pg, vg, 향료 섞는 과정에서 pg양을 3ml 줄이고 희석액 3ml를 넣어 총 부피를 100ml로 맞춰야 정확한 계산이 되지 않나 해서요
향료를 포함한 pg27ml + 니코희석pg 3ml + vg 70ml로 전체 부피를 100ml로 맞추면
100ml 부피에 300mg의 니코틴이 들어가므로 3mg/ml
물론 0.09mg 차이니 편차가 썩 크게 나는 편은 아닙니다만... 그냥 찾아보다가 궁금해졌네여
추천 0
댓글 2건
Yakhan님의 댓글

|
네 생각하고 계신게 맞습니다..
그런데 프리믹스를 사용한다면 PG30 에서 더 줄일수가 없으니까 VG의 용량을 줄이고 닉을 추가하거나 VG70을 유지하고 3ml 닉을 더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저런 이야기가 있는 걸로 압니다. 이유는 역시나 닉 농도 차이가 크게 안 나서 그럴겁니다. ㅎㅎ |
akariot님의 댓글

![]() |
@Yakhan아아 계산은 맞는데 그냥 별 차이가 없어서 쓰는게 맞는거였군요...! 하기야 니코틴 양이 줄어드는건 큰 문제가 없겠네요.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