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스형, 3d프린팅 모드기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본문
3d프린팅 자작 박스 모드기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는 자작 꿈나무입니다.
3d제작된 바텀피더나 각종모드기를 사용하면 발열때문에 510 커넥터 부분이 녹아서 오래사용하기는 힘들다 라는 이야기를 들어서 발열을 잡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이 됩니다.
소재 자체를 내열성이 있는 소재로 하면 되긴 할거 같은데 얼마나 온도가 올라갈지 가늠이 안되는 상태입니다... 돈키호테 정신으로 박치기 하기엔 소재가 원체 가격이 나가는 부분이라 ㅠㅠ 같이 고민해보실 분 계신가요??
추천 0
댓글 5건
OJROY님의 댓글

|
발열에 대한 걱정은 크게 안하셔도 될꺼에요.
필라멘트 대부분이 200도에 가까운 녹는점을 가지고 있어서 연속적인 장타 사용이 아니면 녹거나 변형될 확률이 희박합니다. 내열이라고 해도 기본 필라멘트보다 획기적으로 높은 내열성을 보이진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끽해봐야 280도인가 그럴꺼에여. 그러니까 그냥 일반적인 필라멘트를 사용하셔도 문제가 되진않을꺼에요 ㅎ |
자하커이님의 댓글

![]() |
@OJROY제일 많이 쓰는 pla소재의 경우 성형에 적절한 온도가 200도인거지 열변형은 40도부터 시작됩니다. |
OJROY님의 댓글

|
@자하커이pla 적정 배드온도가 60도까지라고 알고들 있지 않나요?ㅎ;
일반적인 PLA소재의 열변형은 50도 이상(정확히 58도)으로 알고 있네요. 하지만 그 열변형의 수준도 직접 경험해 보는게 가장 좋겠죠 ㅎ 얇고 짧게 만들면 변형이 더 쉬우니 510 커넥터쪽을 좀 더 보강하면 열에 의한 수축과 변형 현상은 줄어들게될꺼에요. + 내열제품이라면 내열pla를 말씀하시는건가여? 내열 PLA라고해도 분명 결정화 과정을 거쳐야 하고 그렇게되면 만들기도 전에 변형이 생기게되니 의미없게되지 않을까여? 그렇다고 abs소재는 1mm 단위로 설계해야하는 베이핑 기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구요. 제가 pla로 멕바텀x3, 멕모드X3, 가변x1 만들었는데 아직까지도 변형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중 3D 프린터로는 맥바텀x2, 가변x1를 만들었네요. 나머지는 3D펜으로 만듬ㅋ) |
자하커이님의 댓글

![]() |
@OJROY기압 4배환경에서 150도까지 버티는 카본 섞인 소재가 있어서 그걸 사용해볼까 합니다. 강성과 무게도 챙길 수 있겠지요 |
OJROY님의 댓글

|
@자하커이아 그렇군요. 후가공이 없으시다면 좋은 선택일듯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