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액상 , 연초 니코틴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전담액상 , 연초 니코틴

페이지 정보

아이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92.77) 작성일 님이 2023년 05월 12일 13시 34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모바일 741 읽음

본문

제목 그대로 입니다.

서로 성질이 다른 니코틴 이라는건 알지만

몸에 들어갔을때는 또같은 효과가 나는건가요??

니코틴도 해롭다고 알고 있는데 연초 니코틴 보단

덜 해로운가요??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4

드레빗님의 댓글

드레빗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8.116)
회원아이콘 흔히 담배에 포함된 타르, 일산화탄소, 폴로늄, 카드뮴, 벤젠 등 유해물질에 가려지고 소변으로 모두 배출된다 하여 상당히 저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니코틴 자체도 의존, 중독 증세를 일으킬 수 있는 향정신성 물질로, 혈압을 높여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심혈관계 질환[10]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에서 방출된 혈액이 전신을 한 바퀴 순환하고 나면 흡수된 니코틴의 35%가 뇌에 전달되는데 이로 인해 뇌 기능에 문제가 생겨 뇌졸중도 발생할 수도 있으며, 모세혈관 수축으로 탈모 및 발기부전을 유발하거나 인슐린 대사를 막을 수 있다.

발암물질을 포함해 독약이나 다름없는 담배에 포함된 셀 수 없이 많은 유해물질들에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크게 덜 위험한건 사실이지만, 사실 니코틴도 직접적인 발암물질이 아닐 뿐이지, 따지고 보면 몸에 좋을 건 하나도 없는 물질이다.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다. 다만 체내에 니코틴이 머무를 때의 증상이기 때문에 담배를 끊으면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담배는 연초와 비슷한 목넘김을 위해 연초보다 더[11] 많은 양의 니코틴을 첨가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데, 물론 액상의 니코틴 농도를 개인이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으니 고농도로 헤비베이핑을 하는 경우 니코틴에 의한 심혈관계 부작용의 우려면 모를까, 통상적인 농도 수준의 베이핑이라면 잘못된 정보이다. 기본적으로 전자담배 쪽이 타르가 발생하지 않아 건강에는 그나마 연초보다는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링크 참고. 또한 금연 중인 사람이 붙이는 니코틴 패치를 보면 붙이고 잠을 청할 경우 악몽을 꾸거나 불면증에 시달릴 수 있다는 경고문을 볼 수 있다.

미국 드라마 X파일에서의 한 에피소드에서 담배의 변이기생충[12]에 감염된 멀더가 골골대고 있을 때 만성 골초였던 한 담배 테스터[13]만 멀쩡하다는 것을 안 스컬리가 멀더를 치료할 때 쓴 것도 바로 이 니코틴이다. 그때 스컬리가 했던 말은 담배는 무엇보다도 강한 천연 제충제라는 설명으로 그의 몸에 직접적으로 니코틴을 투여했다. 이후 몸 상태가 회복된 멀더는 한동안 금단증상에 시달렸다.

과거 몇 연구에서 쥐에게 니코틴을 투여하자 신경활성도가 200배 정도 높아져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줬다는 결과가 나와 화제가 되었는데 사실 니코틴이 치매를 비롯한 뇌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는 1990년대부터 꾸준히 있어왔다.
니코틴이 학습과 기억을 관장하는 뇌 부위인 해마에서 아세틸콜린을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령 아세틸콜린이 해마로부터 사라지면서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니코틴을 투여하면 해마의 아세틸콜린이 활성화해 치매 증상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뚜렛증후군, 파킨슨병 환자에게 니코틴을 투여했을 때 증세가 호전되었다는 임상결과까지 있다.
하지만, 장기간 니코틴을 투여했을 때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오히려 뇌의 혈관 확장에 관여하는 물질을 억제하여 악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많은 전문가들이 설령 니코틴의 치매예방효과가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걸 위해 담배를 꾸준히 피우는 것은 이익에 비해 손해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고 하므로, 치매 예방을 위해 담배를 피우는 것은 좋은 선택이라 보기 어렵다. 다만 액상형 전자담배, 니코틴 껌, 니코틴 패치, 니코틴 파우치 등의 선택지도 있다. 상술된 연구들에선 주로 니코틴 패치로 실험되었다.

드레빗님의 댓글

드레빗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16.130)
회원아이콘 @아이작예 '결론은 전자담배도 담배다'로 요약가능하십니다ㅋㅋㅋ 건강생각하면 전자담배던 연초던 무조건 금연하는게 제일 좋구요. 사실 국가의 3요소는 아시다시피 알코올,니코틴,카페인이 국룰인거처럼 니코틴은 사용하되 연초를 태웠을때 노출되는 다른 발암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연초보다 좀 더 positive한 니코틴 중독생활을 향유하는것이 저의 전자담배사용 철학입니다. 감사합니다.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110건 271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88440 콩즈쥬스 드셔보신 분? 댓글+2 연초피면폐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64  0
188439 액상 초고수분들 신맛 액상 추천좀 부탁드려요 ㅠㅠ 댓글+2 쓰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403  0
188438 탈 보로 하였는데..갑자기 스터비가 땡기는.. 댓글+6 대니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432  0
188437 빌렛 옴체크 헬베이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54  0
188436 멕모드 rta 추천 댓글+1 세계의정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3  0
188435 탱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댓글+3 금연하고싶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2  0
188434 제우스맥스 탱크 댓글+3 마븝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318  0
188433 모드기 두발짜리쓰는데 두개 배터리잔량 다른건 사용하는데 괜찮은가요 댓글+1 204829494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335  0
188432 왜 810 드립팁은 자석캡이 없을까요? typewip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25  0
188431 메아쿨파 댓글+1 세계의정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94  0
188430 발라리안 맥스 액 올라오는 문제 미치겠네요. 댓글+5 인기글 슈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331  0
188429 아스몬 1.0옴 팟 인식이 안되는데 뭘까요? 댓글+1 백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711  0
188428 전자담배 공부할 수 있는 곳이 있나요? Knive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312  0
188427 폐호흡 슬로블로9mg 알로에베라9mg 먹는데 다른거 추천좀 부탁해요 댓글+3 JB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96  0
188426 발라리안 코일이 쿨링이 좀 쎈가요? 댓글+2 LHL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585  0
188425 포포박스 배터리팟, 액상팟 각각 가격이 어떻게 되나요? 댓글+2 sming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570  0
188424 삼성 30q 배터리 질문이요! 댓글+1 첨부파일 크오크페티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601  0
188423 외국에 니읍 포함 기성액상 구입 법이 바뀌었나요? 무지 헷갈리네요 … 댓글+1 수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332  0
188422 Rba 에어플로우핀 종류 댓글+2 토미41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303  0
188421 페스트테크 홈페이지 관련 질문 드립니다 댓글+1 항상심심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49  0
188420 일회용 쓰시는 분 있나요?? 댓글+6 꼴초주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412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