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항값에 따른 맛표현관해 궁금증이있습니다
본문
현재 RDA입문하여 폐호흡을 즐기고 있는 유저입니다.
팁앤가이드 게시판이나 입문게시판을 찾아봐도 내용이 나오지 않아 질문올립니다.
저항값에 따른 맛표현이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0.15옴의 듀얼빌드, 0.2옴의 듀얼빌드가 있다는 가정하에
전자와 후자가 갖는 특성이 궁금하고,
같은 zn08의 코일로 네바퀴 듀얼로 빌드했을때와 다섯바퀴 듀얼로 빌드했을때의 차이점을 알고싶습니다.
혹시라도 관련된 자료를 아시는 분은 링크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
늦었지만 좋은하루되세요^^!
팁앤가이드 게시판이나 입문게시판을 찾아봐도 내용이 나오지 않아 질문올립니다.
저항값에 따른 맛표현이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0.15옴의 듀얼빌드, 0.2옴의 듀얼빌드가 있다는 가정하에
전자와 후자가 갖는 특성이 궁금하고,
같은 zn08의 코일로 네바퀴 듀얼로 빌드했을때와 다섯바퀴 듀얼로 빌드했을때의 차이점을 알고싶습니다.
혹시라도 관련된 자료를 아시는 분은 링크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
늦었지만 좋은하루되세요^^!
추천 0
댓글 1건
오거님의 댓글

|
같은 발열면적의 코일 일때 옴값이 낮은쪽이 높은암페어값으로 밀어주기에 더강하고 빠르게 솜의 액상을 기화시킵니다.
저옴일때 진하게 단맛을 올려주는 뉘앙스가 강하고 복합적인 향료의 액상일경우 특정향이 뭉개져 잘안느껴지는경우가 있습니다. 단순한 액상을 달게 드시고 싶으면 저옴, 복합향료의 디테일을 즐기고싶으면 고옴 일듯합니다. 옴값과 윅킹 코일포지션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질수있고 무화기 침니의구조 흡압 출력에 따라 맛표현은 조금씩 달라지기에 여러 셋팅을 해보시고 본인이 맛있다 느끼는 빌드가 최선이고 스윗스팟의 출력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