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핫스팟잡는 원리
본문
야심한밤에 바보같은 의문이생겨 여쭤봅니다
핫스팟은 어떤 원리로인해 잡히는걸까요?
핫스팟은 어떤 원리로인해 잡히는걸까요?
추천 0
댓글 5건
여수언니님의 댓글

|
우선 환경설정 들어가서 모바일 핫스팟을 켜고...
죄송합니다 리빌드는 제 분야가 아니라 ㅜㅜ |
OJROY님의 댓글

|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바로 열이죠..ㅎ
코일은 인공적인 저항이고 물리적인 조절로 핫스팟을 형성한다고 보면 되지 않을까 하네요. |
베이퍼13님의 댓글

|
코일의 전체가 균일하게 딱 붙어 있으면 핫스팟이 생기지 않지만 불균등하게 군데 군데 붙어 있게 되면 그 부분의 저항이 다른 곳보다 높아져서 열이 몰리게 됩니다. 또는 전류가 통과하는 속도가 구간마다 달라 한 곳으로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부분이 핫스팟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핫스팟을 잡으려고 핀셋으로 긁게 되면 붙어 있던 코일들의 간격이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고 균등하게 열이 퍼지게 됩니다. 스페이싱빌드코일은 핫스팟이 잘 안생기는 이유도 이 때문이고 마이크로빌드코일의 경우엔 정말로 처음부터 끝까지 코일이 딱 붙어 있거나 미세하게 떨어져 있어야만 핫스팟이 생기지 않습니다. 마이크로빌드코일의 대부분은 후자의 경우입니다. 메쉬코일이 핫스팟이 생기지 않는 이유도 서로 간섭되지 않게 떨어져 있기 때문인데 구기거나 구멍을 내거나 접거나 해서 와이어들이 서로 겹치게 되면 그 부분에 핫스팟이 생깁니다. |
OJROY님의 댓글

|
@베이퍼13저도 궁금해서 질문드리는데(잘 몰라서 ㅎㅎ)
'코일이 붙어있으면 저항이 높아져서' <라는 것은 저항이 코일의 접촉정도에 따라 변경된다는 것인가요? 표면의 접촉보다는 코일 내부의 불순물에 의해 저항이 생기고 그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거라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코일의 결합과 접촉은 온도의 동반상승으로 생기는 것이 더 적절한 이야기가 아닌지..아니면 말씀하신대로 코일이 붙어 있게 되면 저항이 올라가게되는게 맞는건지 궁금하네요. 와이어의 경우 길이에 따라 저항값이 정해져 있는데 이것이 접촉면적에 따라 저항값이 상승한다는 것인가요? 궁금 |
베이퍼13님의 댓글

|
@OJROY말씀하신 대로가 맞습니다
나름 이해를 쉽게 하시라구 그 부분의 저항이 높아진다고 적었는데 오히려 헷갈릴 수도 있겠네요 ㅠㅠ 코일에 다섯 번 감긴 와이어 한칸 한칸을 1~5로 잘라서 보면 1.2가 서로 간섭될 때 나머지 부분보다 저항이 높아집니다.(저항은 길이에 비례, 단면적에 반비례 합니다. 코일에서의 길이는 가로방향의 길이이고 단면적은 내경입니다.) 와이어의 길이에 따라 저항값이 정해져 있다(O) 접촉면적(길이)에 따라 저항값이 상승한다(O) 맞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