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kc인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본문
Kc 인증에 대한 논란은 항상 있었습니다. 전자담대 폭발 기사에는 꼭 kc인증 유무를 기재했고, 전문가들 인터뷰에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꼭 kc인증이 있는 제품을 사용해야합니다" 같은 멘트들이 꼭 들어갔구요.
하지만 직구 제품은 정식 수입이 아니기 때문에 kc인증이 없죠. 그걸 보고 위험하다는 둥 왜 인증된 제품을 두고 그런걸 쓰냐는 둥 딴지를 거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 어짜피 kc인증이란게 여러개의 시료를 보내 테스트를 하고 한 번 검증이 되면 그 뒤로 정식수입되는 제품들은 다 kc인증 마크만 달고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해외 판매 제품과 국내 정식 판매 제품의 차이는 없다, 어디에서도 인증을 받지 않은 중국산 배터리 ( ex. 제조사 불명의 저가 스틱형 배터리 )나, 처음부터 kc인증을 통과하지 못해 정식 수입이 안된 제품( 이런 경우는 없을테지만 혹시 몰라 넣었습니다 )이 아닌 이상 ce인증만 받은 해외 직구 제품들은 제조사 공식 A/S를 제외한 어떤 부분에서도 차이가 없다 ' 입니다.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ㅎ
하지만 직구 제품은 정식 수입이 아니기 때문에 kc인증이 없죠. 그걸 보고 위험하다는 둥 왜 인증된 제품을 두고 그런걸 쓰냐는 둥 딴지를 거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 어짜피 kc인증이란게 여러개의 시료를 보내 테스트를 하고 한 번 검증이 되면 그 뒤로 정식수입되는 제품들은 다 kc인증 마크만 달고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해외 판매 제품과 국내 정식 판매 제품의 차이는 없다, 어디에서도 인증을 받지 않은 중국산 배터리 ( ex. 제조사 불명의 저가 스틱형 배터리 )나, 처음부터 kc인증을 통과하지 못해 정식 수입이 안된 제품( 이런 경우는 없을테지만 혹시 몰라 넣었습니다 )이 아닌 이상 ce인증만 받은 해외 직구 제품들은 제조사 공식 A/S를 제외한 어떤 부분에서도 차이가 없다 ' 입니다.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ㅎ
추천 0
댓글 12건
JIANI님의 댓글

|
저도 차이없다고생각하는데요 ^^
그래서 기기는걍직구합니다 국내에서 인증받았으면 어차피 같은기기고 마크만없을뿐이죠 |
리스펙님의 댓글

![]() |
'여러 개 시료 보내서 한번 검증되면 KC인증 계속 달고 오는 것 아니냐'
-> 다른 측면으로 보면 'KC 인증 받은 스펙 그대로 계속 출고 되는 것이죠.' 하나라도 변경되면 인증 다시 받아야합니다. 근데 이게 논란 될 일이 있나요? 돈 아끼고 싶고 시간 많으면 직구 사는거고, 아니면 KC정발품 사는거고 |
닷레기님의 댓글

![]() |
kc인증 유무 차이는 모르겠는데 없는거 보단 있는게 낫겠죠? 전문가 인터뷰는 kc인증 받은 제품이 왜 더 안전한지 이유를 설명 해줘야 들을텐데 본인한테 똥물 튈까봐 저리 결과만 얘기 하는 쓰레기 인터뷰는 거르는게 좋다 생각합니다 |
여수언니님의 댓글

|
kc인증을 받은 제품들은 우리나라 기준의 인증을 받고 마크만 넣을뿐이지
부품을 다른걸 써서 특수하게 따로 제작하지는 않을겁니다 ce는 eu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인증인데 ce나 kc나 큰 차이는 없다고 봐요 국제기관의 인증을 받은 제품이면 다 거기서 거기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특성상 kc는 as관련 이점은 있겠죠 전 그냥 ce마크만 있으면 반값도 안되는 가격적인 이점때문에 직구를 자주 이용합니다 |
KnockOut님의 댓글

|
@JIANI저랑 같은 생각이시군요 ㅎ |
KnockOut님의 댓글

|
@리스펙그냥 문득 그런 생각이 떠올라서 적어 봤네요 ㅎ 어짜피 정발품이나 직구품이나 마크만 없다 뿐이지 내•외부 다 같은 기기인데 기사들에는 직구품만 폭탄취급하는 것 같아 유저분들의 생각이 궁금했어요. |
KnockOut님의 댓글

|
@닷레기의견 감사합니다~ㅎ |
KnockOut님의 댓글

|
@여수언니그쵸.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중국산 저가 배터리 같은 경우 검증되지 않았으니 인증이 없다면 꺼림칙할테지만, 베이포레소 등 규모가 크고 여러나라에서 제품 발매하는 검증된 기업의 제품까지 kc인증이 없다는 이유로 유저를 죄인으로 만드는 댓글들을 보고 문득 궁금해졌네요. 실제로 유럽발매품과 한국정발품의 차이는 하나도 없을텐데 말이죠 ㅎ. |
아담스캇님의 댓글

|
똑같습니다~
KC인증은 돈만 내면 해줘요 ㅎㅎ 근데, 인증비용 비쌉니다. 구라일 확률 매우 높고, KC 인증 넘버 알고 조회해야 하는건데, 그냥 직구하다 쓰고 고장나면 버리세요~ㅎㅎ |
KnockOut님의 댓글

|
@아담스캇저는 시간이 남아돌아서.. 항상 직구하고 있습니다 잊혀질 때 쯤이면 오더라구요 ㅋㅋㅋㅋ |
quaterback님의 댓글

![]() |
갖잖게 세금못뜯으니 베이핑시장 규제하려는 개똥꼬짓으로밖에 안보이더군요 ㅎㅎ
제가 너무 삐뚤어진 시각이어서 그럴수도 있지만... 규제강화만 아니었어도.... 비싼 소니 vtc5a가 아니라 LG HB2, HB6 잘 사서 쓸텐데말이죠...ㅡㅡ |
KnockOut님의 댓글

|
@quaterback개인적으로 좀 더 안전한 배터리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고체형 배터리가 상용화되고 전자담배에 까지 적용되려면 아직 멀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