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스홀과 위킹홀 질문있습니다.
본문
쥬스홀과 위킹홀이 각각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우소장님이 버서커 팁 글을 올려주셨는데
제 생각으론 쥬스홀은 액상이 유입되는 구멍
위킹홀은 솜을 넣는 구멍이라 알고 있었는데
왜 나눠둔건가요????? 아니 같은 말인가요????
솜을 구멍에 넣어야 거기로 액상이 유입되는건데..... 아아아 헷갈린다
혹시 버서커의 경우 쥬스웰 한쪽으로만 액상이 유입되는건가요오오오????급 생각이 났어요ㅋㅋㅋ
다른 한쪽 즉 사진에 표시된 위킹홀은 정말 솜만 놓는거고 그쪽으로는 액상 유입이 안되는???
추천 0
댓글 5건
우소장님의 댓글

|
임의(?)로 구분지어 본문에서 편하게 설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심하게 고민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버서커의 경우 본인들이 편하게 잘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도 있지만 질게에 이따금씩 문의하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이 무화기는 gta 스타일처럼 밑바닥까지 내리는 것보다 입구만 막는 식으로 하면 여러모로 괜찮더라는 글이었습니다. 이미 본인 방식으로 잘 쓰고 계신다면 무시하셔도 무방합니다. |
빠담민님의 댓글

|
@우소장엇 우소장님 직접 등판하셨군요 ㅎㅎ 저도 잘 쓰고 있지만 좀 더 나은 방법이 없을까 항상 고민했습니다
제가 잘 모르던 부분이어서 궁금했어요~ 근데 어떤것을 구분짓기 귀해서 임의로 나눠놓으신건가요??? 고민안해도 된다하셨지만...궁금합니다 ㅋㅋㅋ |
우소장님의 댓글

|
@빠담민원래는 본문의 설명을 위해 문자 그대로 입구 부분과 아랫구멍쪽 부분을 따로 구분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여기를 막아라 저기를 막아라 라고 썼다가는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rda에서 쥬스웰(juice well)이라 하는 것처럼 액상이 통과하거나 (조금이라도) 고이는 공간, 위킹홀(wicking hole)은 심지(솜)가 막는 공간(또는 쥬스웰로의 입구)이라 할 수 있겠다 싶습니다. 그러니까 통상적으로 rta는 위킹홀을 잘 막으면 되는데 버서커는 그렇게 안 해도 된다는 글입니다. |
빠담민님의 댓글

|
@우소장아 드디어 이해 했습니다. 전 처음에 두개의 구멍 즉 쥬스웰 두부분을 한쪽은 위킹홀이라 칭하신줄 알았습니다. 사진을 다시보니 쥬스웰 안쪽에 위킹홀이 있는거지요? 하지만 버서커는 거기까지 안들어가도 된다 이거구요? |
우소장님의 댓글

|
@빠담민네 그렇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