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거저거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Rda 입문 관련.
본문
제가 밑에 코일로 직접 5바퀴 감고 리빌드 해봤습니다 첨으로.
근데 밑에는 5바퀴에 0.15 - 0.2가 나온다고 설명된거 같은데
직접 눌러보니 0.11옴이 나오고 액상은 겁나게 튀네요.
혹시 리빌드가 잘못되면 옴수도 바뀌는건가요? 아니면 옴이 바뀔수도 있는건가요?
추천 0
댓글 6건
불어학과님의 댓글

|
핫스팟잡으셨나요? |
하드드리퍼님의 댓글

![]() |
@불어학과넵.. 코일 체결하고 집에 있는 집게로 문질러가면서 잡았습니다 |
불어학과님의 댓글

|
@하드드리퍼코일의 저항은 코일 다리 길이, 코일이 달아오는정도, 코일의 감은 빡빡함?, 핫스팟 잡은정도 등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코일의 총길이가 길어지면 저항이 올라가는데 코일 다리가 길어진경우, 코일이 느슨하게 감긴경우가 이 경우에 해당되고 반대의 경우는 저항이 내려갑니다 코일이 달아오른 상태에서도 dna칩같은 바로바로 옴값을 잡는 칩셋같은경우 옴값이 조금 올라간걸 알수있고 코일이 식으면 다시 저항이 내려갑니다 콜드옴(핫스팟 잡기전 상태)에서는 옴수가 낮게나오고 핫스팟을 잡은 후에는 콜드옴 보다 옴 값이 올라갑니다 핫스팟을 정상적으로 잡지 않은경우 코일이 전체적으로 달아오르는게 아니라서 어느 한쪽 부분에 열이 몰리게 되는게 그경우 그 부분은 타버리고 그 주변부는 열을 정상적으로 받지 못해서 액상이 증발하지않고 튀어버리게되는데 이게 질문자분이 남겨주신 현상인것같아서 핫스팟을 의심했는데 저정도 옴이면 40와트 정도에서 파이어버튼을 1초간 누르고 떼고 다시 1초간 누르고 떼고를 반복하며 있을지 모르는 핫스팟을 다시 점검하고 어느정도 다 잡힌것같으면 마지막으로 파이어버튼을 꾹 눌러서 코일이 정상적으로 중앙부터 바깥부분으로 열이 퍼지는걸 눈으로 확인후 다시 솜을 체결하고 베이핑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p.s. 1. 코일이 포스트말고 다른 부분에 닿아있거나 코일의 잔여물이 무화기에 있는경우 옴수가 쇼트가 나면서 옴값이 0.01정도로 떨어지기도합니다 2. 혹시 코일을 감고있는 코일 지그가 3mm가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시기바랍니다 다시해보아도 문제가 있으시다면 사진과 함께 질문 글올려주시면 확인하기 편할듯합니다 |
불어학과님의 댓글

|
@하드드리퍼아 그리고 혹시 말씀하시는 집에 있는 집게가 세라믹이 아니라면 핫스팟 잡으실때 파이어 누른상태에서 그 집게를 코일에 닿지 않게 해주시고(집게가 금속이라면 쇼트가 나고 전기 통할?것 같네용)
이왕이면 세라믹핀셋을 사용하시는게 좋지만 여건이 안된다면 파이어 버튼을 뗀 상태에서 코일을 긁어 핫스팟을 잡아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하드드리퍼님의 댓글

![]() |
@불어학과와 짧은 질문글에 상세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제가 아직 초보라 핫스팟이 제대로 안잡혔나봐요. 다시 한번 시도해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불어학과님의 댓글

|
@하드드리퍼네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