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쇼트관련질문?
본문
어릴때 보면 과학시간에 배터리 양극쪽에 선을 꽂고
가운데 전구를 밝히잖아요?
이때 전구를 하나의 저항으로 여기는데
만약 전구가 없이 플러스 마이너스가 그대로 연결되면 쇼트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저항없이 플러스 마이너스가 접촉되면 배터리내부에선 어떤일이
발생하나요ㅎ 문득 자세한것들이 알고싶어져서~
가운데 전구를 밝히잖아요?
이때 전구를 하나의 저항으로 여기는데
만약 전구가 없이 플러스 마이너스가 그대로 연결되면 쇼트가
발생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저항없이 플러스 마이너스가 접촉되면 배터리내부에선 어떤일이
발생하나요ㅎ 문득 자세한것들이 알고싶어져서~
추천 0
댓글 6건
우소장님의 댓글

|
어떻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지 짧은 시간에 고민하고 길게 답변하기는 좀 그렇고, 간단하게 적어보자면 저항(부하)이 없어지면 무부하상태, 단락(쇼트)이라고 하는데 V=RI 라는 옴의 법칙으로 이해하는 게 편하겠네요. I = V/R 에서 R이 0이 되는 것인데 실세계에서는 몇가지 고려사항이 있긴 하지만 일단은 I가 무한대 혹은 급격하게 큰 수치가 됩니다. 배터리는 무한대에 가까운 전류를 뽑아내지 못하니까 사단이 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열이 나고 보호층과 분리막이 무너지고 기화가 일어나고 전극들이 무너지는 등, 전류생산을 감당하지 못해 폭발까지 이어지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즌짜담빼님의 댓글

|
@우소장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꾸벅
그런데 제가아는 공식중 위의 공식은 I= V/R 이라고 하셨는데 A=V/R과 같은 뜻인가요? I 가 전류 였던가 A(암페어)는 뭐였던지 용어가 정확히 기억안나네요ㅠ |
우소장님의 댓글

|
@즌짜담빼표기에 너무 신경 안 쓰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냥 옴의 법칙으로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전압 = 저항 x 전류 |
즌짜담빼님의 댓글

|
@우소장그리구.. 한가지 더!! 무저항상태의 경우 I = V/0 이라고 하지만
볼트는 예를들어 배터리 전압 3.7볼트를 그대로 가져가는것이 아닌게 궁금해요! 왜 무한대나 급격히 큰수치가되는지... |
우소장님의 댓글

|
@즌짜담빼이해가 어려우시면 3.7 나누기 0.0000001 같이 아주 작은 값으로 생각하시면 어떨까요. |
즌짜담빼님의 댓글

|
@우소장아하 !! 완전 저항이 없다기보다 아주 극소량있다는 의미로 생각하면되겠네요! 물론 진짜 그런게아니더라두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