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빌드시 코일 바퀴수...
본문
이제 전담 입문한지 다음달이면 1년차고...
리빌드 입문한지는 두달차가 되어가네요.
오늘도 열심히 코일 말다가 문득 궁금해진게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
처음 입문 당시에는 뭐 아무것도 모르니...
아스가르드 30미리로 입문해서 크기도 큼직하니 zn08코일을 8바퀴 감아서 100와트에 맞추고 베이핑을 했습니다.
그런데 블로토도 마찬가지로 8바퀴..맛이 너무 안느껴져서 질게에 문의를 하니..
옴이 너무 높게 잡힌다고..
바퀴수를 거의 절반까지 낮춰서 피고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궁금증이 생기는게..
트리플빌드 쿼드 빌드를 한다거나 코일을 꼬아서 자작특수 코일을 만들거나 하면..
아무래도 옴수는 전체 코일의 길이에 비례하니 올라가게 됩니다.
만일 옴수를 낮춰 피려면 차라리 싱글 빌드를 하는편이 좋다고 보면 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일바퀴수를 많이 감는다거나 빌드수를 늘리거나 코일을꼬거나..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가령 8바퀴씩 듀얼로 감아 0.3~0.5옴이 나오는데도 100와트정도로 높게 올려펴도 괜찮을까요??
추천 0
댓글 4건
못생긴물고기님의 댓글

|
8바퀴를 감으신다는게
싱글로 8바퀴를 감으신다는건가요 ? 보통은 듀얼로 0.15옴대 많이들 사용하시더라구요 옴수를 낮춰 사용하실려면 싱글보단 듀얼입니다. 병렬이라 0.3옴 두개연결시 0.15옴이 되거든요. 코일바퀴수를 늘리면서( 발열면적을 크게 ) , 듀얼( 낮은옴으로 높은 출력 ) 이 두가지가 섞이면서 좋은 맛표현대로 널리 알려진 0.15옴대 인거 같아요. |
우소장님의 댓글

|
1) 트리플빌드 쿼드 빌드를 한다거나 코일을 꼬아서 자작특수 코일을 만들거나 하면 아무래도 옴수는 전체 코일의 길이에 비례하니 올라가게 됩니다. => 옴값이 길이에 비례는 맞지만 듀얼트리플 하거나 트위스트를 하면 면적이 커져서 실제 결과값은 작아집니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일바퀴수를 많이 감는다거나 빌드수를 늘리거나 코일을꼬거나 이유가 있을까요? => 빌드덱의 포스트가 멀리 떨어진 (큰 사이즈 무화기) 경우이거나, 목표옴에 맞는 코일선이 없을 경우 (예. 26ga를 사야했는데 28ga 밖에 없는 경우) 등이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택빌드를 해야 할 경우에도 해당됩니다. 3) 그리고 가령 8바퀴씩 듀얼로 감아 0.3~0.5옴이 나오는데도 100와트정도로 높게 올려펴도 괜찮을까요? => 본인만 베이핑에 불편함이 없다면 당연히 괜찮습니다. 시간이 날 때 스택빌드나 히트플럭스 같은 용어를 검색해서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용 무화기와 기기, 액상, 와이어, 취향 등등에 따라 적절한 빌드가 필요합니다. |
아사가아님의 댓글

|
코일의 베이스는 그대로.
랩핑된 코일이 액상을 머금는 효과가있습니다. |
Aehobakk님의 댓글

|
zn08 8바퀴 듀얼이면 발열면적이 너무 넓어서 고볼트로 베이핑하시는게 맞습니다. 사용하시는 모드기가 메케니컬이 아닌 가변기기면 본인이 느끼는 무화량과 맛표현에 맞추어 세팅하시면되고 무조건 이렇게해야한다는건 없습니다. 덱 면적에 맞춰서 쇼트만 안나면 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