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모드 관련 질문1 (텍스트가 많고, 질문이 많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 질문답변

사이트 내 전체검색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맥모드 관련 질문1 (텍스트가 많고, 질문이 많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페이지 정보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8-20 02:37 1,732읽음

본문

맥모드 관련 질문입니다
몇 달 동안 하나씩 하나씩 쌓아왔던 질문들이라 그 양이 많고 번거롭습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뒤로 가기 누르셔도 괜찮습니다!
너무 많은 질문 죄송합니다

약 반년 동안 이벺 자게, 입문 가이드, 팁앤 가이드 - 멕모드 이해 관련 글, 안전 관련 글, 배터리 관련 글  
자주 정독했는데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있고,

제가 알고 있는 내용 중 오류가 있거나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배움을 얻고 싶습니다
또한 검색으로 알아내지 못한 질문들이 (메모장에 하나씩 꾹꾹 담아놨던 질문들을 방출합니다) 있습니다

● 안전 수칙

1.배터리 피복 관리!! 찍힘 주의!!
(+극 쪽 튀어나온 부분을 제외하면 배터리는 전부 - 극이다)

2. 
체결 순서는 = 무화기 -> 배터리
분해 순서는 = 배터리 -> 무화기
(무화기 체결부가 따로 분리되고 제대로 된 잠금장치가 있어 파이어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통전이 '일어날 수 없는' 맥이나 상황에서 조금 다르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도 읽었으나, 
저는 무섭기에 만약 맥에 입문한다면 해당 순서를 지킬 예정입니다)

3. 이동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배터리 분리

4.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의 최저 저항 <-> 배터리 스펙

ex) 전압값 3.7v 가정하에 
3.7v/25a = 0.148 옴 
3.7v/35a = 0.106 옴
사용 배터리 지속 방전전류 <-> 계산된 저항보다 낮은 옴을 사용하면 배터리에 무리가 간다 = 폭발 가능성을 높인다

p.s 와트 계산법은 전압 x 전압 / 저항
ex) 3.7v x 3.7v / 0.15 옴 = 91.26666 w

5. rda 똥꼬핀이 나와 있어야 한다. 극도로 짧거나 움직이는 형태는 위험하다.
똥꼬핀 쪽이 고무로 감싸여있는(?) 절연체의 경우 똥꼬핀이 움직이기에 위험하다
(코일 교체형은 닷AIO만 사용해 봐서 모르는데, 그런 제품들이 있다? 는 글을 봤었습니다)
 
● 질문

Q1. 위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추가할 내용이 있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2. 제가 장타 연타 경향이 조금 있는데 맥이랑 안 맞을까요

Q3. 똥꼬핀 튀어나와 있다 + 절연체가 고무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원통 맥에 폐홉 RTA 쓰시는 분들도 계신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4. 배터리 체결하고 조이는 정도? 및 배터리 유격에 관한 질문입니다
제 생각엔 아마 체결 정도를 너무 강하게 하면 배터리 랩핑이 찝히거나 배터리가 눌릴 것 같고(데미지가 갈 것 같고), 너무 널널하게 체결하면 유격 현상이 있을 것 같습니다만 
원통형 맥이 아닌, BF 맥이나, 보로 맥 같은 경우엔 어떻게 되는 건지 혹은 어떻게 조절하는 것인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5. 하이브리드 맥모드라는 말에서 하이브리드가 무슨 뜻인지 검색을 해봤는데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극성에 상관없이 작동한다..하이브리드..무접점 맥모드를 말하는 건가...? vs 무화기의 접점이 배터리에 직접 접촉되는 방식의 맥모드를 뜻하는 건가...? 그렇다면 그렇지 않은 맥모드도 있나...?)
어떤 건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6. 무접점 맥모드 기준으로 +극이 아래로 향해야 한다 vs 위로 향해야한다에 관한 글도 읽었고 전자의 논리와 후자의 논리도 타당한 부분이 있어서 헷갈리지만, 
그전에 일단 무접점 맥모드와 그렇지 않은 맥모드의 확인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이를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원통형 맥모드 뿐만 아니라 BF 맥, 보로 맥 포함 (세미맥처럼 칩셋 같은 게 들어가 있는 애들을 제외하면) 전부 무접점 맥모드인건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7. 배터리에 검게 그을려서 탄 자국을 번 마크라고 들었습니다만 이게 그 배터리 피복 벗겼을 때 녹? 묻은 것 같은 애들이랑은 다른 건가요?
'버튼의 접점부와 무화기에 닿는 부분에 생기며, 많으면 많을수록 통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읽었는데 배터리에 생기는 게 아닌 건가요? 또한 안전상의 문제는 없는 건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번 마크 지우개라는 게 있다고 들어서 만약 입문하게 된다면 구매 예정입니다)

Q8. 쇼트 시에 열을 감지하면 배터리를 빠르게 분리해서 던지거나 맥 자체를 던져야 한다고 들었는데 
(+극을 위로하면 오토파이어로 미리 알아차릴 수 있다고 듣긴 했습니다만, 그 전제는 일단 제외하고 여쭙는 질문입니다)
그 발열이 사람이라면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엄청 씨게 오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가변만 사용했으면 그 정도의 발열은 느껴본 적이 없을까요?

Q9. 유x브 영상을 보니 쇼트시 가스 배출이 1차이고 팽창 및 누액이 그다음인 것 같습니다만 
발열은 어느 단계인지, 당연히 첫 번째 가스 배출과 동일한 타이밍인 것인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Q10. 맥모드 표면이나 전체가 카퍼나 브라스 재질로 되어있는 맥모드는 폴리싱(연마)이라는 걸 하신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예를 들어 표면에 색깔이 입혀져 있는 원통형 맥모드 또는 델린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BF맥이나 보로 맥 등은 카퍼나 브라스가 아닌 것 같은데, 
폴리싱을 못 하는 것인지 혹은 안쪽이나 접점부만 하는 것인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외에도 폴리싱 가능한 부분이 있다면 여쭙고 싶습니다)

Q11. (원통형 맥을 기준으로) 첫 기기 구매 후 나사 선에 문제가 없는지, 
제품 안쪽에 배터리를 집어넣었을 때 배터리 피복을 손상시킬만한 부분은 없는지 손가락으로 확인 = 마감이 안정적인지 등
사용 전 이를 체크하는 순서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혹시 앞서 말한 내용 외에 추가할 내용이 있는지 여쭙고 싶고, 
BF맥이나 보로 맥과 같은 경우엔 어떤 체크 순서가 있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와........ 질문 정말 많이 했네요 정말 진상인 것 같습니다 ㅠㅠ
특정 질문에만 답변을 남겨주셔도 열심히 배우고 양식으로 삼겠습니다

이벺 고수님들 덕분에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금요일도 화이팅 하시고,
시원한 새벽,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18

내가한번더지르면손목아지를님의 댓글

내가한번더지르면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알고계신점 2번의...
무화기 미체결시 위험하다는 말과 체결순서가 생긴 이유는... 무화기 커넥터쪽의 홀에 배터리극이 맞닿는 기기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렇습니다. 맞닿았다는 가정하에 +극을 위로 했을경우, 배터리 피복 벗겨진 곳이 있다면 파이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가 만나 전류가 흐르게됩니다. 당연히 코일의 저항을 거치지 않았으니 쇼트가 나겠죠. +를 아래로 체결했을경우, 버튼을 눌러야 쇼트가 납니다. 여기서 장단점이 갈리는게... +를 위로하면 배터리를 체결만해도 쇼트가 나서 대처가 가능해집니다. +를 아래로 하면 버튼을 눌러야 쇼트가 나니 손가락이 날라가는거죠. 쇼트가 난다고 바로 폭발하는건 아니지만요.

한가지 더, 무화기가 먼저 체결되었을 경우에 배터리 피복이 손상된 케이스는요...
+를 위로하면 쇼트가 나지 않고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로 전류가 흐르는 오토파이어가 일어납니다
+를 아래로하면 버튼을 눌렀을때 쇼트가 납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쇼트나는 상황을 피하고자 체결순서와 +극의 방향에 대한 선호도가 생겼습니다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내가한번더지르면손목아지를먼저 장문의, 정성스러운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네 제가 이벺 및 기타 영상에서 읽은 내용도 말씀하신 이유로 의견이 다소 갈리더라구요
손목님이 말씀해주신, 댓글로 달아주신 내용은 좀 더 세부적이고 디테일하여 저에게 굉장히 소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특히 + 극을 위쪽으로 하였을 때 오토파이어로 쇼트를 미리 감지한다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는 사실 맥을 사용해본 적이 없는 제 입장에서는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았었습니다
하지만 디테일하게 설명해주셔서 머릿속에서 상상이 가는 것 같습니다
그 외에 다른 내용도 정말 감사합니다 작성해주신 댓글은 몇 번이고 더 읽어보겠습니다

새벽에 소중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금요일 보내시고, 좋은 불금! 보내시길 바랍니다!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진성입홉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1. 오류 없습니다.
간접경험만으로 이정도 익히기 쉽지 않은데, 대단하십니다.

2. 지속방전량 이내면 괜찮다고 봅니다. 아무리 장타 하신다 해도 30초 씩 흡입할건 아니잖아요..?
그래도 너무 간당간당한 저항값은 비추입니다.

3. 네에 많습니다~
센터핀이 움직인다 = 절연체가 오링이다 인데
기성코일 경우 코일 길이가 완전 정확하게 다 똑같은건 아니기 때문에 미세한 공차를 잡으려고 그렇게 설계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가 리빌드 무화기 한 50개 만져봤는데, 리빌드 쪽에선 센터핀 움직이는 경우 없었습니다.

4. 원통멕은 매우매우 주관적으로 이정도면 적당하겠다 싶을 정도의 힘……
보로, sq 멕 같은 경우는 은판의 텐션으로 배터리 접촉을 유지합니다.

5. 배터리와 무화기 센터핀이 직접 접촉한다 = 하이브리드멕
배터리와 무화기 센터핀 사이를 이어주는 뭔가가 있다 = 트레디셔널멕
트레디셔널 멕 요즘 찾기 힘듭니다.
일각에선 더 안전하다 그러는데, 무화기 센터핀 확실하면 똑같습니다.
체결 전 문제없었으면 탱크로 갖다 밟지 않는 이상 똑같습니다.

6. 말씀하시는 무접점 멕모드가 어떤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 가 위로가게 사용합니다.
이유로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든 케이블이든 뭐든 모든 직류전원 장치는 -극이 바깥, + 극이 안으로 들어가게 설계합니다.
이유가 있겠죠?
또, 무화기 쇼트는 뭘해도 터트릴 놈이고, 배터리 자체 쇼트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배터리를 넣다가 랩핑이 찢어지는건 정말 희박하지만 가능한 일이기에
만에 하나 배터리를 넣다가 랩핑이 찢어졌는데 그걸 모르고 배터리를 체결한다 해도, 오토파이어만 날 뿐, 쇼트 상황은 아닙니다.

7. 정확히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동작간에 배터리 전압으로 공기 절연을 파괴할 수 있는 거리에서 생기는 아크에 의한것으로 저는 추정합니다.
번마크 지우는 정도로 배터리셀에 손상이 가지는 않지만, -극 지우실때 혹시혹시혹시나 뭔가 배터리 안이 드러난다 싶으시면 던지세요.

8. 발열이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으나, 하나 확실한건 배터리의 열이기기를 통과해 손에 닿을 정도면 그냥 던지세요. 배터리 빼다가 피볼거 같네요.

9. 모르겠네요. 나름의 근거를 갖고 생각해보자면 열 - 가스 - 팽창 순이지 않나 싶습니다만… 그냥 흘려 들어주세요

10. 외관을 전부 폴리싱 할 필요 없으십니다. 교류전원의 경우 도체의 바깥부분에서 주로 전자가 이동하지만 직류는 아닙니다.
통카퍼든 브라스든 브라스 할아버지든 나사산과 연결주만 해주셔도 성능에 차이가 없습니다.
sp(bf) 등 박스형 멕은 은판(혹은 카퍼/브라스) 접촉부를 폴리싱 해주면 되는데 저는 안합니다. 귀찮거든요.

11. 육안 확인만 하셔도 무방하다 봅니다.
배터리 랩핑을 찢을 정도면 이미 눈으로 보이고, 솔직히 그정도로 대충할까 싶기도 하네요.
박스멕 같은 경우 버튼을 눌렀을 때 움직이는 통전부가 절연체로 물리적 분리 돼있는 금속에 닿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만, 주로 박스멕은 값비싼 모더제품이 주류죠?
조심해서 나쁠건 없지만 믿어도 좋다 생각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그냥 건전지에 꼬마 전구 연결한다 생각하세요. 다만 하드웨어적 특성을 조금 신경쓴다 이정도..?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유튜브 레드칸탈 채널에 매우매우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된 많은 영상이 있습니다.
재생목록 링크 걸어드릴게요.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yzTG4V5oG5_jh804nAnPvJjNZpxlG45v

정말 많이 서칭하시고 많이 고민한게 느껴지는 구체적이고 성의있는 질문글 아주 좋습니다.
즐겁고 안전한 베이핑 되세요.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진성입홉러ㅠㅠㅠㅠㅠㅠ 와 정말 감동입니다
제가 금일 새벽 이벺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제 작성 질문 글을 한 번씩 다시 읽어 봤었습니다
볼 때마다 제가 느낀 건 "내가 적었지만 정말 텍스트가 많다... 질문 작성 때마다 민폐를.. 질문 2탄은 죄송해서 어떻게 올리지.." 였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다 받는 것은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겠다
혹은 다 못 받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너무 정성 가득한 (간격 띄우신 것도 저 읽기 편하시라고 ㅠㅠ)
그리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정말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내용들 잘 숙지해서 안전 베이핑하겠습니다

오늘만 화이팅 하시면 주말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신나는 불금 보내시고,
푹 쉬시는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진성입홉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프로틴빵간만에 무엇이 궁금한지 정확하게 표현하는 질문글이라, 저도 기본기 정리 겸 조금 적어봤습니다.
제가 조금 모호하게 적거나 주관이 들어가보이는 답변은 너무 믿지 마시고 조금 더 서칭하셔서 확실한 답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전기나 조금 알지 배터리는 잘 몰라서요...

2탄 올리시면 또 최대한 답변해보도록 할테니 부담갖지말고 올리셔요.
찾아보지도 않고 하는 질문은 반갑지 않지만, 작성자님처럼 열심히 찾아보고 공부하고 질문하시는 분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ㅎㅎ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진성입홉러따뜻한 말씀까지..
넵 흘려들어달라고 표현하신 부분이나 주관이 들어가 보이는 영역은 입홉러님 말씀대로
조금 더 서치해보겠습니다! ㅎㅎ

말씀드린 2탄은 BF 맥과 보로 맥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루기에 급하지 않은 내용이기도 하며 금일 해주신 답변을 통해 참고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기에 조금 더 서치 후 작성하거나 잘 해결해보겠습니다 ㅎㅎ
(답변해주신 내용들이 연결 고리? 처럼 정리가 되는 질문들이 있었습니다! 좀 더 서치해보겠습니다! ㅎㅎ)

계속 감사하다는 얘기만 하는 것 같지만,
부담을 줄여주셔서 이 또한 감사합니다! 답변 주신 내용 잘 숙지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ㅎㅎㅎ

thexder님의 댓글

thexder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1. 문제 없어 보입니다.

2. 연타 장타는 모든 베이핑에서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특별히 맥모드 문제라기 보다는요.
맥모드에서는 베터리 잔량이 낮을 때 장타 연타는 배터리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3. 원통맥에 듀얼빌드드리퍼 많이 사용합니다. 당연히 알고계신대로 저항과 배터리 지속방전율 관계는 계산해보시고 빌드하셔야 하고요.

4. 원통맥이 아닌경우 보통 점접판이 있어 이 판으로 전류를 통하게 하는데요. 이 판의 배터리 닿는 부분이 살짝 올라와서 배터리를 물게 되어 있습니다.

5. 무화기 센터핀이 배터리에 직접 닿는 기기를 그리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 음... 이건 의견이 좀 나뉘는 문제 인데요. (원통형에 한해서)
저는 +를 무화기 쪽으로 가게 합니다.
+를 위로 가게 하는 방식은 배터리 구조와 관계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배터리는 + 접점을 제외한 모든 몸통이 전부 -입니다.
즉, +를 위로 가게하면 혹시 모를 피복 벗겨짐이나 기타 이유가 있더라도 쇼트가 나지 않고 파이어가 될꺼에요. 이때 빠르게 무화기만 돌려서 빼면 됩니다.
어짜피 맥모드 원통과 바닥 스위치 전부 -에 닿아버린 거니까요.
그런데 반대로 -를 위로가게 했을 때 같은 상황이라면
맥모드 스위치에 +가 닿고 맥모드 원통에 -가 닿는 상황이라 쇼트가 납니다.
이게 글로 설명이... 아래 예전에 RJmod님이 올리신 영상 설명 보세요.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rAQH-G_W-ts&t=30s

7. 번마크는 스위치가 닿는 부분에 생깁니다. 즉, 배터리에도 생기고, 오래 사용하면 스위치 점접에도 생기고 합니다.
번마크가 생기면 통전에 영향을 주는 것이외에 다른 문제는 모르겠네요.
번마크 지우개로도 사실 잘 안지워집니다. 어느정도는 지워지는데 그 이상은 죽어도 안지워지더군요.
번마크는 직접 접점방식의 맥모드에서 많이 생기고, 간접접점 방식은 잘 안생기더라구요.

8. 안전을 위해 전부 버리세요. 그거 빼고 뭐하다가 큰일 날 수 있을 것 같네요.
연타를 해서 뜨거워지는 정도보다 더 뜨거워지는 걸로 알고 있으나, 경험한 적이 없어 잘 모르겠네요.

9. 발열이 먼저 나고 그 뒤에 말씀하신 대로 인것 같은데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 않을까요? 이것도 경험한 적이 없어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10. 보통 접점부만 하는 걸로압니다.

11. 마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부 분해해서 꼼꼼히 살핍니다. 클론은 더욱 더~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thexder이벺에서의 질문 글은 세 번째인데, 항상 감동을 받는 것 같습니다
정말 정말 진짜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해주신 모든 댓글들이 서로 맞물리며 정리가 더 잘 되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6번과 관련하여 작성해주신 답변의 문장들은 아직 댓글들을 다시 읽어보며 머리에 익히는 중이었던 저에게, 저도 설명하기에는 조금 어렵지만 작성해주신 내용이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RJ모드님 영상의 경우 모더님 제품 자체에도 원래 관심이 많았고, 서치 중 발견한 +극 -극 관련 긍정적인 대화가 오고 갔던 과거 이벺 게시물 댓글에 해당 링크가 있었기에 본 적이 있었습니다 금일 다시 더 보고 오겠습니다!!)

번마크 관련된 내용도 감사합니다 배터리에도 접점에도 둘 다 생기는 거군요! 시원하게 해결이 되었습니다!!! ㅎㅎㅎㅎ 말씀하신 간접접점 방식은 원통형이지만 사이드 버튼인 맥모드 혹은 보로 및 박스형과 같은 녀석인 걸까요?
(아 이거 사실 BF, 보로 맥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루는 2탄 관련된 내용이었는데 ㅎㅎ;;; 오늘 더 서치하며 자신의 힘으로 알아낼 생각이었습니다만 + 가능한 질문 글을 추가로 올리는 일은 배제하려고 했습니다만 질문을 더 하는 그림이 되어버렸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외에 답변해주신 내용들도 정말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잘 숙지하여 안전 베이핑하겠습니다

평일의 마지막 금요일입니다!
가능한 시원한 곳에서 화이팅 하시고!
즐거운 불금! 보내시길 바랍니다!

thexder님의 댓글

thexder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프로틴빵간접 접점 방식인 스위치의 접점부가 배터리에 미리 닿아있고, 스위치 뭉치 안쪽에서 실제 스위치가 있어 닿았다 떨어졌다 하는 방식인데요.
제가 썼던 것중에는 타임스베이프 킨. 이 녀석이 간접 접점 방식이였습니다. 나머지는 다 직접이네요.

실제 스펙상 접점방식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분해해서 보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아니면 써보신 분께 여쭤보던가요 ㅎㅎ
말씀하신 사이드 버튼도 버튼 내부를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직접 보지 못하더라도 해당 제품의
유튜브 영상 찾아보시면 스위치부분 분해하는 영상이 있다면 알 수 있겠네요.

박스형 맥들은 아마도 접점판으로 통전을 하고 파이어스위치가 원통형처럼 스위치가 바닥에 있어서 밑에서 밀어서 배터리에 닿는 구조가 아니라 보통 배터리는 이미 접접에 닿아있고, 버튼부가 무화기쪽 510스레드 마이너스에 닿는 방식들이 많은 것 같더군요. 그래서 번마크가 생겨도 그쪽에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도 박스형 맥들은 안써봐서 잘은 모르겠네요. 그냥 이론상 그럴 것 같다는 거니 다른 분들 답변 참고하세요. ㅎㅎ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thexder답변해주신 내용을 읽고 임시로 검색을 해보니 실제로 타임스베이프 제품 관련 글이 나왔고,
이해가 확 되었습니다 저 뭉치 안쪽에 실제 스위치가 있는 것이군요!
확인하는 방법 또한 여러 종류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스형도 좀 더 공부하겠습니다 제가 과거 이벺에서 서치하다가 본 (박스형 기기의 사진이 포함된) 질문 글이 있었는데 답변 주신 내용을 토대로 해당 사진을 다시 보면 더 이해가 갈 것 같습니다
동일한 정보를 보더라도 금일 댓글 달아주신 내용이 아니었으면 이해하는데 10배는 더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오전 시간대에 이런 정성스러운 댓글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조금 이른 멘트지만, 남은 오전도 힘내시구! 점심 맛있게 드시구!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lars님의 댓글

klar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이번에 바텀멕 입문하는 저로서도 상당부분 같은 고민을 하셨었네요 ㅎㅎ 질문자님 덕에 저도 잘 배워가며 요 게시글은 북마크하여 자주 읽어둬야겠습니다! 같이 즐거운 멕 생활 즐깁시다 :)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klars앗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ㅎㅎㅎ
저도 실제로 자게, 팁앤 가이드, 입문 가이드 등 외에도 옛날? 질문 글들에서 꽤 정보를 얻었었는데
제 질문 글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글 중에 하나가 된다니 영광입니다

다 너무 친절하고 상세하게 답변 달아주신 고수님들 덕분이네요! ㅎㅎ
바텀 맥 입문하시는군요!
바텀 맥 정말 이쁜 기기들이 너무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함께 안전 베이핑! 즐거운 베이핑이 되시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진성입홉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프로틴빵https://www.zamplebox.com/community/hybrid-top-cap-devices-battery-safety
하이브리드 / 트레디셔널 구조도 입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sugarvape/products/4383718902
간접접점 멕입니다.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진성입홉러우연히 홈 화면 눌렀다가 몇 분 전 댓글 알림을 보고 후다닥 왔습니다
ㅠㅠ..신경 써주시는 것이 인터넷상임에도 전달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 저런 게 트레디셔널 구조군요 탑캡이 막혀있네요?
아... 트레디셔널 커넥션(탑캡)은 무화기의 똥꼬핀과 배터리 사이에 약간의 완충 장치를 생성한다..

제가 아는 세미 맥처럼 마치 칩셋이 사이에 있는 것처럼, 막혀있는 탑캡이 배터리와 무화기 똥꼬핀을 직접적으로 닿게 하지 않고 이를 거치는 모양이네요 방열판? 처럼 생겼네요!

하이브리드와 비교하여 부드럽게 밀어준다
(출력이 약하다는 얘기겠죠?) 그래서 잘 없는 모양이군요!

크으........!!! 감사합니다 ㅠㅠ
이렇게 또 제 생각을 하시고 추가적으로 정보를 주시러 오신 거... 아 오늘 감동을 굉장히 많이 받아 갑니다!!

+ 간접접점 맥도 예시 제품 정보를 추가해주신 것을 늦게 확인하였습니다
다른 분의 친절한 답변과 금일 추가 검색을 통해, 그리고 하단 버튼부 원통 맥을 기준으로 그 버튼부 뭉치 분해 영상을 보니 잘 이해가 갔습니다!
링크 주신 제품처럼 사이드 버튼이면서 간접접점인 녀석은 어떤 식으로 숨어있는 건지 궁금하네요 ㅎㅎ
이 또한 불금을 이용하여 구경할까 합니다!

진성입홉러님의 댓글

진성입홉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프로틴빵https://youtu.be/U5qV4wHyEBY
슬램피스 제품 리뷰입니다.

제대로 질문하시고, 답변의 성의를 무시하지 않으시니 저도 기분이 좋아서 뭐라도 더 챙겨드리고 싶네요 ㅎㅎ

프로틴빵님의 댓글

프로틴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진성입홉러저녁 식사 후 검색해보려고 했는데
계속 제가 늦는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뭐랄까 예술이네요
저런 식으로 접점부가 닿게 만들고, 저런 식으로 락 기능을 넣었군요

해당 브랜드 인x타 기준으로 그 최근에는 대부분 하부 쪽이면서도 사이드 부분에 타 가변 기기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버튼부 제품들을 만들던데
위 슬램피스 제품의 내부를 알고 나니 제가 봤던 제품들의 그 작동 원리 내지 구조도 뭔가 보일 것 같습니다

모든 맥은 다 매력이 있네요...가변도 솔직히 많은데 큰일입니다..ㅎㅎㅎㅎ
오늘 거의 오전부터 저녁까지 신경을 써주셔서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감사함을 텍스트로 다 표현하기 힘드네요.. ㅜㅜ

저녁은 맛있게 드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잘 배워서 가능한 많은 질문 글에 답변을 달아 드릴 수 있는 유저가 되겠습니다!
좋은 밤 보내시고 내일부터 풀 충전하는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254건 1071 페이지
인기글 발라리안 코일 슬러지 질문

08-20 패독

댓글6
가변기 센터핀이 짧습니다

08-20 기리쿠나

댓글5
퓨어니코틴 희석없이 사용 궁금증 있어요

08-20 소금사탕

댓글17
향수 베이핑

08-20 hansol0117

댓글6
오마리오 슬릭...

08-20 topy

닷aio 월탱브릿지 질문드립니다

08-20 전담이어려워

댓글3
바텀멕에 어울리는 입호흡 RTA는 뭘까요?!

08-20 klars

댓글10
세컨 액상 추천

08-20 아이녕

댓글3
에테르 vs 판도라 vs 후싸 어떤가요?

08-20 바크코

댓글19
인기글 유웰 하복질문있습니다

08-20 skdld098

댓글2
음 ... 혹시 액상중에 꽃향나는 액상 없을까요??

08-20 입문기기뭐사요

댓글5
인기글 오늘 백신 맞았는데 전자담배 이용 여부

08-20 Vgod1100

댓글14
블랙유니콘 샤워애플 파는곳

08-20 전당포베이퍼

댓글1
김장 농도 질문드립니다.

08-20 vixen

댓글2
avp max 팟 결착 질문드립니다.

08-20 umibe

댓글5
크로마Z 쓰고 계신분들 계신가요? 팟 질문 드리려구요

08-20 웅삼이

댓글2
디저트 액상 다시한번 추천부탁드립니다!

08-20 JackOlantern

댓글5
쿨링 에이전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08-20 새우초밥

댓글3
애플 버블 액상 질문입니다

08-20 kysk

댓글5
인기글 맥모드 관련 질문1 (텍스트가 많고, 질문이 많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08-20 프로틴빵

댓글18
성인인증

08-20 야가다

댓글3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