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즈드 클랩튼 자작!
본문
26게이지 3가닥으로 만들었습니다!
내부에 2가닥 베이스로 두고 한가닥을 감아줬습니다.
체결초기에 옴이 널뛰더니 지금은 0.35옴 고정으로 뜨네요ㅠㅠ
검지 손가락 끝이 좀 저리긴하지만 멋지게 달아오르는걸 보니 감격스럽습니다. 야전선 꼬던 시절이 생각나네요ㅋㅋㅋ
무화기는 와인탱크입니다.
내부에 2가닥 베이스로 두고 한가닥을 감아줬습니다.
체결초기에 옴이 널뛰더니 지금은 0.35옴 고정으로 뜨네요ㅠㅠ
검지 손가락 끝이 좀 저리긴하지만 멋지게 달아오르는걸 보니 감격스럽습니다. 야전선 꼬던 시절이 생각나네요ㅋㅋㅋ
무화기는 와인탱크입니다.
추천 0
댓글 12건
암여빠덜님의 댓글

|
311?
312? |
우다리님의 댓글

|
그나저나 클랩튼 나온 김에 혹시 아실까 해서 질문 하나 해봅니다 클랩튼이 에릭클랩튼 이름에서 따온 명칭이라는 것 까진 어떻게 알아냈는데, 근데 클랩튼중에 퓨즈드클랩튼이 왜 fused인지는 통 알 수가 없네요 무슨 의미인지 혹시 아시나요?(조심조심눈치눈치) |
별별님의 댓글

|
@우다리가운데 베이스 와이어가 먼저 달궈지면 잘못된건가요? 낮은 와트에서 지지기 한 건데 ㅠㅠ
그러고보니 왜 퓨즈드인지 모르겠네요. 단순히 융합하다는 의미에서 온건지 아니면 전기 배선의 퓨즈를 뜻하는건지... |
별별님의 댓글

|
@암여빠덜으.. 음... 혹시 주특기 번호 말씀이신가요? |
체꽃님의 댓글

|
허~ 대단하시네요... 저는 그 기초라는 트위스티드도
어려워보여서 도전을 못해보고있는데.... |
우다리님의 댓글

|
@별별잘못된게 아니구요
베이스선이 먼저 달궈진다는건 전기가 우선해서 더 많이 통하는게 베이스선이란 의미겠지요 단면적은 부수적인 요소라 치더라도 심선은 쭉 뻗어있어서 전송경로가 더 짧으므로 그만큼 저항이 낮아서 전기가 더 잘 통할거라고 생각했거든요 다른데서는 몽땅 하얗게 달궈진 사진으로만 보다가 이렇게 단계단계 나눠진 사진으로 보고 확신을 했다 뭐 이런 말씀입니다 이상, 칸탈 단선만 써본 1ㅅ이었습니당 |
별별님의 댓글

|
@우다리넵 저도 그래서 순차적으로 들어오는게 맞겠거니 했는데.. 혹시나 했습니다 ㅠㅠ |
별별님의 댓글

|
@체꽃트위스트는 컵이라든가, 볼펜 뚜껑, 기타 여러가지 '걸수 있는 도구'가 있으면 생각보다 쉽게 말 수 있습니다!
전에 28게이지로 클랩튼 도전했는데 너무 물러서인지.. 실패했었어요. 26게이지 산 기념으로 말아봤는데 말아지더라구요! |
암여빠덜님의 댓글

|
|
별별님의 댓글

|
@암여빠덜171.. 뭐였던거같은데, 주특기는 무선장비운용이었고.. 실상은 야전 유무선을 다 했습니다 ㅠㅠ
짬찌라서 그런지 주특기 번호가 6글자예유ㅎㅎ;; 311 312는 어떤 특기 번호인가요?? |
입에이프0구0천주황님의 댓글

|
|
암여빠덜님의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