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M.E.C.H
본문
바빠서 코일 만들기는 커녕 빌드도 못하다가 드디어 했네요-_-
여~윽시! 멕!!!
Valhalla~
그러고 보니 크리스마스........였네요?!
아몰랑~ㅋㅋ
추천 0
댓글 9건
MM63님의 댓글

|
멕포레버~~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MM63멕츄! 멕츄!
남은 연말도 좋게 마무리되시고 즐거운 한해 맞으시길 바랍니다~^^ |
MM63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감사합니다 ㅎㅎ 새해복 많이받으세요 ㅎㅎ 저도 코일빌드 심심할때 하는데 정말 어렵더라구여 ㅠㅠ 요즘 정보얻기가힘드네요 ㅠㅠ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MM63이미 고인물을 넘어 석유가 되어버린 상태에, 그 분들조차 탈주? 중이라...
뒤늦은 입문에 잔류 유저인 저 또한 시행착오 제법 겪었습니다ㅠ |
MM63님의 댓글

|
@분별하는탐헬릭스코일애용중이에요 ㅋㅋㅋ 3코어 에일리언 연습중인데 할일이많아서 한달에 3~4개도 만들기 힘드네요 스위블이 구린건지 트위스트가 자꾸생겨요 스풀텐션을 적당히한다고 생각하는데 뭐가문제인지 ㅠㅠ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MM63제 경험으로는...
1. 스위블과 드릴의 일직선 여부(와이어 포함, 각 코어 평행 여부 포함) 2. 스위블에 걸리는 장력(빳빳하게 하겠다고 과하게 텐션을 주면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고, 여기서 스위블과 드릴의 회전 속도 차이가 발생. SO, 웬만하면 미니 베어링을 이용한 스위블 권장. 그래도 과한 장력이 걸리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음. 일반적으로 쓰는 베어링 자체가 수직힘에 견디기 위한 구조이기에 생기는 문제) 3. 2의 경우가 있기에, 어느 정도의 휨은 가지고 갈 수 밖에 없거나, 양 끝단이 동일한 RPM을 가지도록 특수제작 필요. 4. 스풀의 텐션은 와이어가 굵을 수록 강할 수 밖에 없고(특히 32~36GA)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미리 코어의 개수 만큼 잘 감길 수 있게, 생각 이상으로 많이 늘려 놓는 것이 하나의 방법. 5. 만약 빨래 집개나 클립과 같은 중간 고정부를 사용할 경우, 그 구간 마다 토크가 걸려 구간별 RPM 변동이 생김(해결책, 저속 랲핑, 혹은 꼬일 여지가 없게 과할만큼 좁은 간격으로 여러개의 클립을 걸기) 6. 코어의 스트레치 여부 확인. 약간이라도 휘어져 있다면 그게 원인이 되어 생각 외로 잘 꼬이기 시작함. 7. 코어 길이가 20cm라고 가정하면, 초반 2~3Cm(혹은 3~5cm), 중간 구간, 마지막 구간은 저속 권장. 8. 중간중간 돌아가는 것 방지 혹은 랩핑 초반 코어 평행 만들기 도구로 실리콘 플라이어(나일론 플라이어) 추천. ....당장 떠오르는 트위스트 발생 원인 및 해결책은 이 정도네요ㅎㅎ 초보적이며 단순한 해결책이긴 한데...그래도 이 중에 정답이 있기를 바랍니다^^ |
MM63님의 댓글

|
모두다 복합적인 원인인거같긴한데 2번에서 장력을 너무 쎄게 줘도 안되는군여 팽팽하게 유지하려고 과한 텐션을 주고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취미로 하는거니 찬찬히 꾸준히하다보면 늘겠죠 ㅎㅎㅎ |
강제이주당함님의 댓글

|
저도 발할라 30mm 내일 받는데 어떨지 참 궁금하네요 ㅎㅎㅎ |
분별하는탐님의 댓글

|
@강제이주당함미니, 마이크로 모두 만족입니다^^
한가지 옥에 티는...빌드 자유도가 떨어진다는 정도네요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