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영상에서 본 통전비교테스트를 보고..
본문
어쩌다 좋은 영상을 보게 되서 글을 쓰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0qA2fwLQkc
bernard c라는 분이 올려주신 영상인데요.
이렇게 링크를 걸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문제가 있다면 링크 지우고 말로 설명을 해야하지만 너무 귀찮아서..)
이 영상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무화기와 모드기가 갖는 저항값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이 기니 전 첫번째 무화기만 설명을 하도록 하죠.(영상의 2:20초까지)
(참고)영상에서 측정한 전압값이 소숫점을 제외한 전압값이기 때문에 계산과정에서 약간의 오차는 있을수 있습니다)
우선 0.31옴의 코일이 꼽혀있는 무화기를 4v출력에 맞춘 가변기에 꼽아 포스트에서 전압을 측정하니 3.85v가 나왔습니다.
이 부분에서 코일의 저항이 아닌 무화기의 저항값을 구해보죠.
우선 전류의 값을 구하기 위해 코일에 걸린 전압값과 코일의 저항값을 나누면..
3.85 / 0.31 = 12.42A가 나옵니다. 전류의 양은 직렬회로에서 항상 같은 값을 유지하죠.
그럼 코일의 저항값을 제외한 무화기의 저항값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v에서 3.85v로 떨어졌기 때문에 그 차이값인 0.15v는 전류의 값과 무화기의 저항값을 곱한 값입니다.
0.15 = 12.42 * (무화기의 저항값)입니다. 계산을 해보면 무화기의 저항값은 0.15 / 12.42 = 0.012옴이 나옵니다.
이제 검증을 위해 코일의 저항값과 무화기의 저항값을 더해서 전압값을 계산해보죠. 원래 출력전압이 나와야 합니다.
(0.31+0.012) * 12.42 = 3.99924 ㅡ,.ㅡ 반올림해서 4볼트라고 합시다..
이렇게 코일의 저항값과 무화기의 저항값에 의해 전압이 분배가 되고 모드기에서 전해준 전압에서 무화기가 처먹은 전압을 뺀 나머지 전압만
코일에 전달되게 됩니다.
이제 무화기의 저항값을 알았으니 영상의 첫번째 모드기의 저항값을 구해보겠습니다.
배터리의 전압값은 4.13v입니다. 그리고 동일 무화기를 꼽아 전압측정을 하니 3.72v가 나왔네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류의 값을 구해보겠습니다.
3.72 / 0.31 = 12A가 나옵니다.
이제 전류의 값을 구했으니 모드기의 저항값을 구해보죠.
4.13v에서 3.72v로 떨어졌기 때문에 그 차이값인 0.41v로 저항값을 계산하면..
0.41 / 12 = 0.034옴이 나옵니다. 이 0.034옴이 모드기의 저항값은 아니고 이 저항값은 모드기와 무화기의 저항값을 더한 값이니
0.034 - 0.012 = 0.022옴이 모드기의 저항값이 되겠습니다.
이제 검증을 위해 각 부분의 저항값을 통해 전압값을 구해보죠. 전부 더하면 4.13v가 나와야합니다.
코일의 전압은 위에 써있는 대로 3.72v
무화기의 전압은 전류의 값에 저항값을 곱해서 12 * 0.012 = 0.144v
모드기의 전압은 전류의 값에 저항값을 곱해서 12 * 0.022 = 0.264v
위의 세 전압값을 합하면..4.128 ㅡ,.ㅡ;;; 대충 4.13v라고 최면을 걸어보겠습니다.
(소숫점도 소숫점이지만 배터리의 내부저항도 고려해야하고 그렇습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가 쓰는 기기는 각 부위의 저항에 의해 전압이 떨어져 나가고 그 나머지 전압을 코일에서 써먹게 됩니다. 코일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떨어져 나간 전압값을 전압강하라고 표현하기도 하죠.
전 귀찮아서 전압측정도 안하고 영상촬영은 더더욱 안하는데 저런 귀찮은 작업을 찍어서 올려주신 유튜버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댓글 2건
도티님의 댓글
|
|
버나드님도 이베이프 활동하셔요 ~ |
맥앤치즈님의 댓글
|
|
이래서 510 방열판을 모드기와 무화기 사이에 사용하면 미세하게 저항이 달라지고 맛표현도 달라지더라구요. 어쩔땐 더 좋아질 때도 있어요. 베이핑은 나름 심오한듯요 ㅎ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