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a 충전기 써도 아무 상관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본문
1a 써야 안전하고 2a 쓰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배터리 폭발사고가 나면서 판매자들도 계속 1a이상은 쓰지말라는 문구를 넣으면서 그렇게 인식이 되어 버렸나 봅니다.
전기에 대한 상식이 부족한 편인데 제가 확인해 본 바로는 2a 충전기라 2a 과충전이 된다는 개념이 아니라 배터리에서 받아들이는 만큼
충전이 되는것이라 위험할것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2a 충전기는 1a 충전기에 비해 전기를 더 먹는 기기를 충전할 때 유리한 것 말고는 차이가 없는 걸로 압니다.
배터리 폭발사고는 배터리가 불량이거나 충전기가 불량이라 나타나는것이지 충전기가 2a라서 그런게 아니라는게 핵심인거죠.
예전에 모니터 배터리 나가서 구입할 때도 확인해보니 볼트는 딱 맞는거 써야 하고 암페어는 약간 큰거 쓰는게 더 낫다고 해서 그런 녀석을 구입해서
아무 문제없이 사용했지요.
전기 좀 아는 분들이면 아주 기본적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추천 1
댓글 22건
맹귀님의 댓글

|
저도 그렇게 알고있지만 이고원은 예외이듯합니다.
500mah 충전시와 2a 충전시 발열량 차이가 나네요 2a로 충전하면 잡지도 못할만큼 뜨거워집니다. 그래서 1a이하로만 충전하고 있습니다. |
정테란님의 댓글

|
@맹귀그게 충전 안료되면 식지 않나요? |
멍멍멍왈왈님의 댓글

|
휴대폰 같은 경우는 높은 전류충전기 써도 폰에서 받아들이는 만큼만 받아들이는데
전자담배 배터리는 음.. 저는 잘 모르겠어요 ...; 과전류 방지 회로 같은게 장착 되있다면 상관없겠죠 그게 있는지 없는지를 모르니... 저도 사람들이 하도 그렇게 말하길래 없는걸로 알고 있구요... |
호로록님의 댓글

|
@정테란식어요~저2옴 충전하는데 괜찮던데요;; |
햇살님의 댓글

|
저도 이문제 때문에 고민하다가 USB형식의 충전 암페어 측정하는 기기를 구입해서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1a, 2a 짜리 휴대폰 충전기를 번갈아 가며 측정해본 결과 이고원, 클미니, subox, 시겔미니, ipv mini 2 모두 1a로 출력이 나가더군요. 일반적인 가변기기들이 1a 만 받는것 같습니다. (1453기기들은 0.5a 정도만 받더군요) 그러니 2a짜리 충전기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
나그네는베이핑하면서이베잎한다님의 댓글

|
|
산적주목님의 댓글

|
제가 써본 기기들중에도 2a 가능한대도 맹귀님 말처럼 뜨거워지는 경우가 종종 있더랬죠(낮은걸로 충전할땐 안그렇습니다)
그래서 전 내장배터리말구는 충전기 따로 충전해서 사용합니다. 전기에 관한 지식은 둘째치고 저한테 닥친 상황이 그러하니 2a충전은 안하게 되더군요 글쓰신분 말씀대로 아무 상관없다해도 전 안할랍니다 조심해서 나쁠건 없겠지요 ^^ |
자꾸님의 댓글

|
충전중 제일 사고 많은게.... 노트북이나 컴퓨터 usb 충전 중 벌어진 것입니다.
알기로는 usb충전시 과전류가 흘러서 그랫다는 건데요...클라우퍼미니의 경우엿던걸로 기억힙니다. 이 경우 설명이 되면 좋으련만요...전 전기 하나도 모릅니다.설명 해주시면 정말 감사 드리겟습니다..^^ |
파스파나님의 댓글

|
@호로록이고원은 2중 보호회로 있는걸로 알고있어서..
충전중 발열은 구조상 어쩔수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Sensitive님의 댓글

|
@자꾸컴퓨터 usb 포트의 경우 잘만들어진 아답터에비해 상대적인 불안정이 대두됩니다.
구조상 파워서플라이에서 거치는곳도 많고, 전기를 빨아쓰는 내부 부품들도 다양하고, 유동적으로 각 부품들이 전기를 소모하기에 출렁거리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추가로 대한민국이 제3세계 산업적 측면의 개발도상국 마냥 전기공급이 출렁출렁 거리다가 단전도 됬다가 하는곳은 아닙니다만, 건물내부의 전기배선 노후화, 접지 상태 등등등 너무 고려할것이 많습니다. 아답터의 품질과 배터리,충전회로의 품질도 문제고... 여하간 컴퓨터 충전의 경우 '내 파워는 겁나 좋은거다' 하는 경우에도 포함됩니다. 심지어 안정성을 최고로 치는 서버에서도 usb사고는 심심찮게 일어납니다요.. |
햇살님의 댓글

|
@자꾸저도 사실 노트북 usb단자에 충전하다가 1453 배터리에서 연기가 나면서 배터리가 맛이 가서 깜짝 놀란적이 있습니다.
1453살때 같이 딸려온 싸구려 케이블이 문제였는지 노트북이 과전류를 흘려보내서 였는지 모르겠지만 그 이후로는 새로운 컴퓨터나 노트북에 충전할때 마다 연기가 나는지 항상 확인해 보곤합니다 ㅎㅎ |
마리치님의 댓글

|
전 애초에 2a 충전기가 없네요 ㅋㅋㅋ |
자꾸님의 댓글

|
@Sensitive아...정확히,이해됩니다. 핸드폰 전용 충전기라면 안정적인 전류가 흐른다? 인지요...
자꾸 귀찮게 해드리네요 |
자꾸님의 댓글

|
@햇살연기가ㅡ나는지 확인이시라..ㅜㅠ 무섭네요 ㅋ |
햇살님의 댓글

|
아무튼 현재까지로의 제 경험에 비추어 저는 아래와 같이 안전 순위를 매겨 두었습니다.
1순위(안전) : 브랜드 충전기 1a + 브랜드 케이블 2순위(안전) : 브랜드 충전기 2a + 브랜드 케이블 3순위(주위) : 브랜드 충전기 0.5a + 브랜드 케이블 4순위(주위) : 컴퓨터 USB 단자 + 브랜드 케이블 5순위(비추) : 나몰라 중국산 충전기 + 중국산 케이블 (브랜드는 애플,삼성,LG등 대기업 정품 제품을 나타냅니다.) 0.5a 충전기를 주위로 표시한것은 이 용량 충전기들이 요즘에는 잘 나오지 상황에서 현재 사용하는 제품들이 대부분 노화된 것들이라서 아무래도 최근 생산품보다 안전에 취약할꺼라는 판단에 3순위로 잡고 주위를 표시해 두었습니다~ |
산적주목님의 댓글

|
@마리치핸드폰 5핀분리형 충전기가 거의다 2a 일텐데 ㅎ^^
아이폰 쓰시면 그쪽은 잘 몰라요 ;; |
머루님의 댓글

|
흠.. 전류량은 충전기를 보는게 아니라 회로를 보는건데요.. 충전회로가 1a면 10A 를 쏴도 1A 만 먹습니다.
다만 회로자체에서 받을수 있는 한계치가 1A 인데 1A로 충전하면 회로 과부화가 걸립니다. 따로 방열을 하던가 해서 열분산을 빨리 해주면 모를까 계속 과부화 상태가 되면 회로 내구성에따라 다르지만 버티지 못하고 회로 내부의 저항이나 fet이 타버리게 되고 그럼 완충전압이 4.2v인 리튬전지에 감압과정없이 5v 가 들어가고..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가 나는겁니다. 1A던 2A 던 500mA 던 100mA 던 충전회로가 데미지 때문에 제기능을 못하면 위험한건 매 한가지죠 ㅎㅎ;; 더 자세한건 고수님들이 ㅎㅎ |
마리치님의 댓글

|
@산적주목제껀 1a더라구요 ㅋ |
햇살님의 댓글

|
@머루음... 그래서 LG 충전기가 2a로 나오는게 아니라 1.8a로 나오는걸까요? 휴대폰 허용량이 2a인데 안전을 위해 허용량 다 내보내지 않고 1.8a만 내 보내려고...... 생각해 보니 말이 되는군요. |
머루님의 댓글

|
@햇살요새 스마트폰 충전기보면 출력이 두개잖아요~ 5v 7v 저항에 따라 흘려주는 전압이 틀리게.. ㅎㅎ;; 아답터는 그냥 전기를 밀어 넣어주는 역활인거죠~ 충전은 전담이건 맛폰이건 내부 충전회로가 하는겁니다.
예전 피쳐폰들 보면 그 충전기들은 전업이 4.2v 죠~ 그러니 폰이 아닌 충전기에서 열이났고.. ㅎㅎ '전담 충전회로 뜯어서 보면 500원 짜리 1셀 충전회로보다 더 허접합니다. 전 그래서 절대 충전은 따로합뉘다.. |
채기락님의 댓글

|
배터리 값에 보면 C값(허용방전율, 허용충전율)이 있습니다.
이것을 넘어가면 터진다고 보면 되죠.. 마찬가지로 충전단자에도 허용 A값이 있습니다. 이것을 넘어가면 회로가 차단되어 배터리는 멀쩡하겠지만, 회로가 탑니다. 이와중에 단락이 일어나면 다행인데, 합선이 되어 버린다면, 배터리 과충전으로 폭파하는 거죠 믿을 수 있는 대기업의 폰 같은 경우는 부품도 믿을 수 있고(그래도 폭발이슈가 있지만) 그 부품을 수용할 충분한 공간이 제품내에 있어서 충전허용전류를 조금 넘어도 상관없지만, 전담같은 경우는 DIY사진 보면 아시겠지만, 충전단자가 새끼손톱만합니다. 안정성을 기대한다면, 과욕인 것 같습니다. |
박진형님의 댓글

|
유익한 글이군요.
잘 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