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일이 있습니다
본문
미안합니다 다른분들처럼 공구를 추진한다거나하는 그런 진행이 아니라..ㅡㅡ;;;
최근 협력업체 사장님과 이런저런 무화기 개발을 돕고있습니다
그래봐야 제가 하는건 톡으로 조언하는거밖에 없지만..
신기하게도 그 다음날 뚝딱 부속을 만들어오는거보면 경이롭기까지 합니다-_-;;
원래는 이렇게 진행했다네요..
중국에는 많은 전자담배 제조사가 있고.. 그 제조사들이 만들어놓은 주물을 조합해서 이용하면 무화기 하나쯤은 쉽게 내놓을수 잇다..
어쩐지 신상품 나온것들보면 하부 베이스는 빌로우에 경통은 섭탱에 코일은 아틀에 상부캡은 아크틱에 드립팁은 제피러스..;;;
이렇게 진행하고 있었다는데.. 이렇게 만들면 100퍼 망한다고 한마디 한게..
지금까지 오게됐네요ㅡ,ㅡ;;
현재 진행중인상태는
UD사제품처럼 얄쌍한 하부에어홀을가진 낮고 작은 베이스..
회사 고유패턴의 그물경통
아틀코일+세가탱크RBA같은 RBA키트 기본제공
아틀코일도 센터봉에 맞아야하며, RBA키트는 세가탱크것보다 베이스폭이 넓으면서 두 코일이 완벽히 호환되며 체결이 돼야함
드립팁하부에 에어홀
드립팁상부소재는 델린
최하 2.5미리 이상의 액상주입
무화기의 크기는 4.5미리를 넘지말것
추가유리경통 패키지 포함시킬것
부품이 하나하나 만들어질때마다 톡으로 보여주시는데.. 그중 독특한게 하나 있더군요
똥꼬나사가.. 황동으로 만들었던데..
생각해보니 어느 무화기고 똥꼬나사가 황동인걸 못본거같아요..
하도 클론만 주구장창 써와서 그런가..ㅡㅡ;;;
쉽게 생각해보면 통전이 더 잘될꺼같긴한데 이게 실효성이 있을까요??
오래되면 황동 특유의 변질때문에 에어홀을타고 냄새도 올라올꺼같은데.. 아닌가?
아무래도 기기는 잘 모르고 사업만 하는양반이라 머릿속에 뭘 그리고 계신진 모르겠지만
나는 솔직히 그물경통과 녹문제없는 세가탱크RBA가 들어가는 슈퍼탱크미니를 그린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
어떤게 나올지 모르겠네요..
이달말쯤 제품이 나올꺼같다는데 기대되긴합니다
그런데 심천에있으면서 세가탱크RBA하나 못구해서 보내달라고하다니ㅡㅡ;;;
살짝 걱정도 됩니다;;;;
댓글 16건
공백없이입력하라길래공백없이입력했긔님의 댓글

|
고블린미니처럼 하부에어홀 말씀이신가요..?! |
흠흠무님의 댓글

|
오오오 정말로 나오면 좋겠군요 하지만 빅탱크를 사야해서 패스~ |
심쿵님의 댓글

|
뭔가 프로의 세계로군요 ㅎㅎ 쌈빡한걸로 하나 나왔으면 좋겠네요~ |
G곤드래님의 댓글

|
@공백없이입력하라길래공백없이입력했긔그건좀 너무 작고요..ㅎㅎ;;; 최대한 베이스높이를 낮춰서 크기를 줄이란거죠.. UD제품들처럼 에어홀 링은 오링으로 버티면서 돌아가게 만들더라도 에어홀 링때문에 테두리를 만들어서 높이를 키우진 말라는거죠 |
G곤드래님의 댓글

|
@흠흠무아직 멀었어요..ㅋㅋㅋㅋ |
G곤드래님의 댓글

|
@심쿵저도 기대됩니다..ㅎㅎ |
마리치님의 댓글

|
똥꼬나사 스탠 아니면 구리/은도금 구리가 많지 않나요? 황동은 못본것 같은데.. 전도성이 은>구리>황동 순이니 구리가 낫긴 한데 황동이 좀더 단단하니 황동으로 만드신걸까요? 궁금하네요 ㅎㅎ |
chase님의 댓글

|
그물경통과 녹문제없는 세가탱크RBA가 들어가는 슈퍼탱크미니
--> 이 말만 들어도 좋은 제품이 될 것 같은데요. 슈퍼탱크미니는 작긴 한데 뭔가 디자인이 좀... 입호흡이 될 정도로 흡입압 조절이 가능하면 좋겠지만, 저같은 사람은 소수일테니 저정도만 되어도! |
G곤드래님의 댓글

|
@마리치글쎄요 저도 잘;; 왜 그걸로했는지-_-;;;;;;;;;;; |
G곤드래님의 댓글

|
@chase드립팁 하부에 아틀2같은 에어홀을 구상중인걸로보아 완전허당흡입압의 극서브옴무화기로 만들려나봐요 |
푸르딩딩님의 댓글

|
세가 v2 가 반전이네요ㅡㅡ (게다가 심천) |
G곤드래님의 댓글

|
@푸르딩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내일 우체국가야해요ㅠㅠ 당췌 못구하겠다네요;;ㅋㅋㅋ |
차가운바람님의 댓글

|
각기 다른 무화기들의 좋은 점만을 모아 둔 조합이라....좋긴 하네요^^&
헌데 그런 제품들은 많이 나오지 않나요?v1,v2 뭐 이렇게 말이에요 ㅎㅎ 뭔가 쌈박한,크기는 작아지고 리빌드는 편해지는..그런 무화기가 나오면 좋겠습니다.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곤드레님 ^^& |
G곤드래님의 댓글

|
@차가운바람저도 기대중입니다..ㅋㅋㅋㅋ |
엔시그님의 댓글

|
@마리치보통은 스텐, 황동, 금도금이 많이 사용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은 구리는 산화가 잘되서 잘 사용 안하고 은도금을 한다고 해서 은의 전도율이 되는것은 아닌걸로 알고 있구요 전도율로 따지자면 무조건 순수 은이나 구리가 짱이지만 위 말처럼 산화 및 단가로 인해 전선들의 경우도 보통은 금도금을 사용하구요.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특수 제품은 순수 은에 금도금을 하는 경우가 있어요. |
마리치님의 댓글

|
@엔시그제가 갖고 있는건 은도금 구리도 많은데.. 스탠이나 금도금은 자주 보이더군요. 양덕 리뷰들만 봐도 실버 플레이티드 코퍼 콘택트라고 자주 하죠 ㅋㅋ
아 그리고 도금하면 전도율은 올라갑니다. 전류는 재질 전체가 아닌 표면을 타고 흐르려고 하는 성질이 있기때문이죠. 그래봐야 구리에 은도금이 대부분이니 거의 차이는 안나죠. 구리가 산화가 워낙 빠르니 금이나 로듐 두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저렴한 은도금을 하는게 이유니까요. 물론 말씀처럼 산화때문에 전도율은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