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이 안좋습니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자유게시판
회원아이콘

환율 전망이 안좋습니다

페이지 정보

유남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81.167) 작성일 님이 2015년 08월 20일 07시 35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939 읽음

본문

이 기사 한번 읽어보시길...
아직 미국은 금리인상을 하지도 않았군요!!
---------
[서울신문]

글로벌 주식시장이 폭락하면서 ‘9월 위기설’이 다시 퍼지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에 중국 경제 둔화와 위안화 가치 하락이 더해져 신흥국 중심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변수를 만난 신흥국의 통화가치 하락이 ‘열대성 저기압’에 머물지 ‘태풍’으로 커질지 갈림길에 선 형국이다. 외환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브라질 헤알화 가치는 올 들어 달러화 대비 31.0%나 떨어졌다. 브라질은 알루미늄, 철광석, 원유 등을 수출한다. 중국의 경제 성장 시절, 브라질처럼 원자재 수출로 혜택을 많이 받았던 신흥국의 통화가치 하락이 두드러진다. 콜롬비아 페소화(-25.6%), 칠레 페소화(-14.0%), 러시아 루블화(-13.0%),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11.6%) 등이 그렇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과 무역관계가 밀접한 한국과 대만, 싱가포르 등을 더해 ‘불안한(Troubled) 10개국’이라고 지칭했다. 모건스탠리가 2년 전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시중에서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의 유동성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을 때 언급한 ‘취약한(Fragile) 5개국’에서 불어난 것이다.

통화가치 하락은 자금 유출로 이어진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7월 말까지 최근 13개월 동안 19개 신흥국에서 9402억 달러(약 1114조원)가 빠져나갔다고 보도했다. 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9개월 동안 유출된 4800억 달러의 두 배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는 2조 달러가 순유입됐다. 급격한 자본 유출은 ‘신흥국 화폐가치 하락→수입수요 감소→총수요 둔화’라는 악순환을 일으킨다.

아직 미국 금리는 오르지 않았다. 신흥국에서 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더 있다는 뜻이다. 신흥국 통화가치가 떨어지고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때 방어막은 경상 흑자와 외환보유액이다. 일각에서는 1999년 아시아 외환위기 때보다 주요 국가들이 외환보유액을 많이 쌓아 뒀다는 점에서 ‘9월 위기설’은 과장됐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중국이라는 변수가 더해졌다는 데 있다. 헤지펀드 모니터링 기관인 유레카헤지에 따르면 중국, 대만, 홍콩 등 범중국 경제권에 투자하는 펀드가 7월 한 달에만 8.5% 손실을 기록했다. 중국 경제가 불안하고 위안화 가치마저 떨어지면서 중국에 투자된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물가 등을 고려한 중국 위안화의 실질실효환율이 최근 5년간 30%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위안화 가치는 더 떨어질 수 있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원자재 시장의 큰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원자재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그나마 적은 국제유가마저 급락하고 있다. ‘불안한 10개국’ 외에도 원자재 수출이 많은 인도네시아 루피아화(-11.3%), 말레이시아 링깃화(-16.7%), 캐나다 달러화(-13.1%) 등도 올 들어 통화가치가 하락했다. 중국 수요가 줄어들어 원자재값이 떨어지면 이들 통화는 더 떨어지게 된다.

침체가 위기로 번지는 길목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라는 변수가 있다. 오은수 현대증권 글로벌팀장은 “신흥국 위기설은 과거에도 여러 번 있었다”며 “미 연준 의장이 시장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상 밖으로 속도가 빨라지면 위기가 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채권팀장은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장기금리 움직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올리고 중국 경제가 별반 나아지지 않으면서 세계 경제는 또 한 번의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지금도 경기가 안 좋은데 이게 더 안 좋아지는 상태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기간도 오래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81&aid=0002595784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5

차가운바람님의 댓글

차가운바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59.219)
회원아이콘 좋은아침입니다^^@

그냥 숨 죽이고 찌그러져 있어야죠모ㅎ
그나마 수출호조로 이어진다면 모르지만
크게 좋아지지 않을 듯 합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전체 224,126건 8924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6743 밤비노 짱짱맨! 댓글+19 인기글첨부파일 테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051  0
36742 굿모닝입니다 댓글+49 얏옹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627  0
36741 전담에 대한 인식이 점점 좋아질듯 합니다 댓글+16 인기글 프린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786  1
36740 좋은 아침입니다만 저에겐 ㅜㅜ 댓글+7 첨부파일 신현리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743  0
36739 vt200달리신분이 많은가보네요.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개얼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920  0
36738 혐글주의)방금 화장실에서 겨우 나왔습니다. 댓글+31 인기글첨부파일 연일상한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015  1
36737 좋은 아침입니다. 댓글+12 kotetz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45  0
36736 알뜰폰으로 갈아탔습니다! 댓글+18 립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778  1
36735 제가 만만해 보일까요? 댓글+30 인기글첨부파일 냠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420  0
36734 개념 편의점의 흡연실 댓글+5 첨부파일 뿜뿜이글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79  0
36733 좋은 아침입니다~(Feat. 실리콘케이스) 댓글+6 테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619  0
36732 비 내리는 아침입니다~ 댓글+4 craz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651  0
36731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18 오혁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77  0
36730 클론 베이퍼 플라스크 3사 사용해본 봐. 댓글+3 인기글첨부파일 과부제조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54  0
열람중 환율 전망이 안좋습니다 댓글+5 유남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40  0
36728 안녕하십니까? 댓글+6 냠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27  0
36727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17 치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473  0
36726 라인프렌즈를 아시나요? 댓글+7 첨부파일 유남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32  0
36725 하 바텀피더 만들려고 삽질중 댓글+4 더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56  0
36724 플라스크를 사야겠는데... 댓글+3 yourmelod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75  0
36723 아~ 원펀맨 댓글+3 알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41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