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이 안좋습니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자유게시판
회원아이콘

환율 전망이 안좋습니다

페이지 정보

유남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81.167) 작성일 님이 2015년 08월 20일 07시 35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940 읽음

본문

이 기사 한번 읽어보시길...
아직 미국은 금리인상을 하지도 않았군요!!
---------
[서울신문]

글로벌 주식시장이 폭락하면서 ‘9월 위기설’이 다시 퍼지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에 중국 경제 둔화와 위안화 가치 하락이 더해져 신흥국 중심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변수를 만난 신흥국의 통화가치 하락이 ‘열대성 저기압’에 머물지 ‘태풍’으로 커질지 갈림길에 선 형국이다. 외환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브라질 헤알화 가치는 올 들어 달러화 대비 31.0%나 떨어졌다. 브라질은 알루미늄, 철광석, 원유 등을 수출한다. 중국의 경제 성장 시절, 브라질처럼 원자재 수출로 혜택을 많이 받았던 신흥국의 통화가치 하락이 두드러진다. 콜롬비아 페소화(-25.6%), 칠레 페소화(-14.0%), 러시아 루블화(-13.0%),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11.6%) 등이 그렇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과 무역관계가 밀접한 한국과 대만, 싱가포르 등을 더해 ‘불안한(Troubled) 10개국’이라고 지칭했다. 모건스탠리가 2년 전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시중에서 채권을 사들이는 방식의 유동성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을 때 언급한 ‘취약한(Fragile) 5개국’에서 불어난 것이다.

통화가치 하락은 자금 유출로 이어진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7월 말까지 최근 13개월 동안 19개 신흥국에서 9402억 달러(약 1114조원)가 빠져나갔다고 보도했다. 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9개월 동안 유출된 4800억 달러의 두 배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는 2조 달러가 순유입됐다. 급격한 자본 유출은 ‘신흥국 화폐가치 하락→수입수요 감소→총수요 둔화’라는 악순환을 일으킨다.

아직 미국 금리는 오르지 않았다. 신흥국에서 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더 있다는 뜻이다. 신흥국 통화가치가 떨어지고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때 방어막은 경상 흑자와 외환보유액이다. 일각에서는 1999년 아시아 외환위기 때보다 주요 국가들이 외환보유액을 많이 쌓아 뒀다는 점에서 ‘9월 위기설’은 과장됐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중국이라는 변수가 더해졌다는 데 있다. 헤지펀드 모니터링 기관인 유레카헤지에 따르면 중국, 대만, 홍콩 등 범중국 경제권에 투자하는 펀드가 7월 한 달에만 8.5% 손실을 기록했다. 중국 경제가 불안하고 위안화 가치마저 떨어지면서 중국에 투자된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물가 등을 고려한 중국 위안화의 실질실효환율이 최근 5년간 30%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위안화 가치는 더 떨어질 수 있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원자재 시장의 큰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원자재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그나마 적은 국제유가마저 급락하고 있다. ‘불안한 10개국’ 외에도 원자재 수출이 많은 인도네시아 루피아화(-11.3%), 말레이시아 링깃화(-16.7%), 캐나다 달러화(-13.1%) 등도 올 들어 통화가치가 하락했다. 중국 수요가 줄어들어 원자재값이 떨어지면 이들 통화는 더 떨어지게 된다.

침체가 위기로 번지는 길목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라는 변수가 있다. 오은수 현대증권 글로벌팀장은 “신흥국 위기설은 과거에도 여러 번 있었다”며 “미 연준 의장이 시장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상 밖으로 속도가 빨라지면 위기가 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채권팀장은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장기금리 움직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올리고 중국 경제가 별반 나아지지 않으면서 세계 경제는 또 한 번의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지금도 경기가 안 좋은데 이게 더 안 좋아지는 상태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기간도 오래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81&aid=0002595784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5

차가운바람님의 댓글

차가운바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59.219)
회원아이콘 좋은아침입니다^^@

그냥 숨 죽이고 찌그러져 있어야죠모ㅎ
그나마 수출호조로 이어진다면 모르지만
크게 좋아지지 않을 듯 합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전체 224,126건 8923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6764 음성에서 의왕 댓글+10 인기글첨부파일 Whoareyou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159  0
36763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22 첨부파일 오혁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43  0
36762 이자시가 이벤트 물품 클라우퍼GT 수령 댓글+18 첨부파일 수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11  1
36761 kotetz님 살람해요!! 댓글+4 첨부파일 아지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959  0
36760 evic vt mini 댓글+5 티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52  0
36759 액상 하나샀다가 절 다니던 추억이 떠오르네요 댓글+14 디오사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50  0
36758 택배인증! 댓글+8 첨부파일 티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01  0
36757 배터리가 무화기보다 많아서 무화기영입!! 댓글+18 첨부파일 아지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03  0
36756 하루의시작을 교통사고로 댓글+16 첨부파일 전담열심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766  0
36755 썸...실패? 댓글+19 인기글첨부파일 카론의새벽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372  0
36754 Kotetz님의 대왕울템팁 도착! 댓글+3 첨부파일 테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729  0
36753 미스티크 공구 물품도착! 댓글+4 첨부파일 김덴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91  0
36752 결국 질러버렸습니다ㅡㅠ 댓글+11 홀리가넷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82  0
36751 아... 휴가 복귀 ㅠㅠ 댓글+3 워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26  0
36750 베이핑이라는 말 좋네요. 댓글+4 순수베이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692  0
36749 저만그런가요?? 댓글+8 신기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77  0
36748 오오 베샥 DNA200w 나왔네요 댓글+32 인기글첨부파일 호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061  0
36747 지스타 그런데 안가봐서 그런데... 댓글+10 인기글첨부파일 냠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049  0
36746 셋트 묶음배송이면 얼마나 좋을까요 댓글+8 첨부파일 삐뚤어진마눌님께충성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668  0
36745 아지o님 감사합니다 ㅠㅠ 댓글+2 첨부파일 베이핑마니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576  0
36744 노트 5 수령 1시간전 댓글+4 첨부파일 보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892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