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강쇠 가변기는 나올 생각을 안하는군요
본문
SX도 두알짜리 Q클래스라는 신제품이 나오나 보군요.
직렬방식이고
DNA200은 3알짜리 가변기가 있던데 이것도 직렬이고
고와트 가변기가 그렇게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실사용 60와트를 초과해서 사용할 이유도 없고 오히려 30와트로 쓰는데
외국은 용트림 대회가 있어서 대회 나갈 선수들이나 고와트 쓰고
일반 사용자들은 활용성이 뛰어난 병렬 배터리 방식이 범용성이 더 클법도 한데 병렬 방식에 대한 니즈도 있을 법 한데
이상하게 시장이 고와트만 추구하네요.
어차피 전담 기기들이 아직은 불완전 제품들의 시대인데 고성능을 추구하는 것 보단 실사용에 활용성에 비중을 실어야 발전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솔직히 60와트 이후 부터 급속도로 200와트 기기들이 나오는데 실사용하지도 않는 스펙의 제품들이 왜 나오는지도 의아하네요.
추천 0
댓글 27건
라임라이트님의 댓글

|
직렬도 오래갑니다..
3.7v * 5000 mah = 18500 7.4v * 2500 mah = 18500 직렬이던 병렬이던 배터리용량은 같은거죠.. 충전이 문제이지만.. 높은 와트를 사용가능한 직렬이 더 좋죠 |
이베이프님의 댓글

|
어제 운전하면서 생각해본건데a
홍미노트2 리튬배터리는 디게 싼데a 이걸 활용한 모드기가 있으면 슬림하고 유지비도 괜찮은 기기가 나오겠다 싶더군요. 홍미뿜뿜2 |
얏옹님의 댓글

|
다 개인차 아닐까 생각됩니다.
전 70W로 주로 생활하는데 륄로정도만되도 충분히 변강쇠라고 느끼거든요 이틀은 갑니다.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이베이프자작 기기를 그런 걸로 하는 사람 봤어요 |
이베이프님의 댓글

|
@브루스킴제가 모더라면 시도해볼 거 같아요.
무게가 크게 작용하니까요a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뢸로는 직렬병렬 혼합입니다
1옴대 카라플 쓰면 열흘은 갈겁니다 ㅋ |
sins님의 댓글

|
@이베이프현실성이 있는거 같습니다..
용자들은 고방전리튬 전지 가지고 휴대용 전동드릴인가요. 거기에도 다이 하고 청소기 등등 그런 사람들이 있더군요 |
KAIJI님의 댓글

|
적절한 예가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자동차도 항상 컨셉트카를 보여주면서 기술력 등을 홍보하고 시장을 주도할 만한 것들을 내놓는 것과 비슷하다고봐요.
실사용은 비록 말씀하신대로이지만, 칩에대한 기술력을 맘만 먹으면 할 수 있다 등을 보여주는거죠. 다만 자동차처럼 엄청난 비용과 이득이 있는 것은 아니니까 컨셉카처럼 모델로 만들지 않고 그냥 뽑아내는 것일 뿐. 써놓고 보니 좀 엉뚱한 대답...ㅡ.ㅡ |
sins님의 댓글

|
@브루스킴혼합인지 몰랐네요. 카페에서 배터리 한개로 작동되는가 질문글이였던거 같은데 직렬이라 안된다는 답변을 본거 같아서요. 선재가 얇아서 쓰다 고장날수 있다는데 문제 없으면 구입하고 싶네요. |
kami917님의 댓글

|
용트림 경연에서는 가변은 못써요^^;; 단지 옴대를 나춰 쓰다보면 그 뜨거운 베입이 좋아져서 와트수 높은겄만 쓰게되는 경향이^^;; |
sins님의 댓글

|
@라임라이트그렇군요. 지식이 없어 병렬 방식이 배터리가 오래 가는거라고 여태 생각하고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얏옹네 륄로를 알아보겠습니다. |
sins님의 댓글

|
@KAIJI네 쉽게 이해가 됐습니다. ㅎㅎ |
sins님의 댓글

|
@kami917몰랐습니다 ㅎㅎ 그런 규칙이 있었군요 |
수폭님의 댓글

|
|
아침안개님의 댓글

|
![]() |
kami917님의 댓글

|
@sins직렬이지만 (혼합은 아니고요) 단지 직렬이라도 저와트로 쓰면 바터리가 분담하는 효과가 생겨 오래가는 겄입니다. 싱글 바터리로 50와트 쓰는거 보다 직렬(두발로) 50와트 쓰시면 좀더 오래가는거 같이 3발직렬이 2발 직렬보다 오래가죠. 병렬은 mah가 두배가 되지만 직렬은 mah가 고정이다 하지만 바터리 마다 50와트를 똑같은 전력이 들어가도 분담이 되서 mah는 안늘어나는데 늘어난거 처럼 느껴지죠^^ |
아침안개님의 댓글

|
승용차 계기판에 시속200km까지 표시된거랑 같습니다.
어차피 한국 고속도로에서 시속 110km가 법적 한계 속도인데 시속 110km까지만 달릴수 있는 승용차 출시되면 사고 싶으세요?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아침안개배터리 방향이 두개는 같고 하나는 달라서 그렇게 알았는데... 그럼 왜 그렇게 한걸까요?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kami917헉 묻고 보니 위에 답이.. ㅋㅋ 감사합니다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sins제가 잘못 알았네요 ㅋ
전기는 중딩때 기술시간에 납땜해 본게 전부라... |
아침안개님의 댓글

|
@브루스킴기기 내부에 배선 정리하기 편하잖아요.
세개가 다 같은방향이면 직렬일때 배선처리 하려면 배선길이 길어지고 내부에 공간 확보도 불리해 지구요...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sins배터리 방향 때문에 제가 잘못알았네요 ㅋ
전기라곤 중딩 기술시간에 배운게 다인지라... 역시 지식이든 예절이든 배워야 한다는.... |
kami917님의 댓글

|
@브루스킴저도 직렬은 mah가 늘지 않는다고 배워서 엄청 이해가 안갔는데 미국포럼에 저런식으로 답한분이있어서 이해됬어요^^;; 2500mah라도 출력을 1/3로(바터리당)쓰면 과연 mah가 늘어난거냐고^^;; 답은 당연히 아니요지만 거의 3배로 늘어난거 같은 효과가 생기는거죠. |
kami917님의 댓글

|
@sins미국서 클라우드 컴퍼티션시 가변을 쓰게하면 최고로 와트 높은겄이 이길수 있어서 (불공평함) 그래서 모든 경연대회에서는 공평함을 유지하고자 싱글멬모드기만 가입이 되요. 경연따라 옴수도 0.1옴 이하는 안되는곳과 0.1옴이상은 안되는곳도 있죠. |
엘비스님의 댓글

|
@아침안개글쓴분님의 전제를 우선해보자면 110까지밖에 못달리지만 연비가 3배정도 좋아진다는 차가 있다면
저라면 그걸 살듯 합니다. |
아침안개님의 댓글

|
@엘비스그런차가 없다는게 문제죠
그냥 최고속도만 느릴뿐입니다. 그런차 있고 공짜로 준다면 더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