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발 가변에서 병렬과 직렬의 용량 차이
본문
의외로 병렬 연결은 용량이 두배, 직렬 연결은 용량은 그대로이고 출력이 2배라고 간단히 알고 계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총량은 일정하기에
병렬로 연결하거나 직렬로 연결하거나 기기에서 사용가능한 용량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별히 병렬로 해야할 이유가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병렬보다는 직렬이 좋습니다.
직렬이 딴거 다 필요없이 출력이 셉니다.
자 그럼 가변기기에서 사용가능한 용량을 늘리고 싶다?
그렇다면 변환 효율이 좋은 칩셋을 사용한 기기를 사용하시는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dna칩셋들을 예로 들자면,
dna200 (97%) > dna40 (92%) > dna75 (85%) 로 효율이 차이가 납니다.
동일한 배터리로 좀더 많은 사용량을 원하시면 보급형 칩셋인 dna75 보다는 dna40나 dna200을 사용하는게
많게는 14% 가량 더 사용이 가능하다는거지요.
괜찮다는 칩셋들끼리 비교라 이정도지 뻥스펙의 클론칩이나 중국발 저가 칩셋들이랑 비교하면 그 차이가 훨씬 커집니다.
심한 경우 3카토 이상 비울거를 2카토도 사용하지 못한다던가...
dna 외에 효율이 좋은 칩셋으로는 350j와 350j v2가 효율 93%로 양호합니다.
실제 dna200을 사용한 기기들과 비교해보면 살짝 딸리고 dna40을 사용한 기기들과는 얼추 비슷하여 스펙상 효율이 그대로 나오더군요.
중국발 칩셋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양심적인 제품입니다.
댓글 15건
유지환원님의 댓글

|
dna200칩이 효율이 좋다는 예기는 들었는데 수치상으로 이렇군요!
배우고 갑니다^^ |
폭시타임님의 댓글

|
크 좋은글 감사합니다 ! 안그래도 얼마전에 베이핑존에서 관련 포스팅봤을때 내가잘못알고있었구나했었는데 ㅎㅎ
이번에 미니킨 1.5는 배터리효율이 좋아졌다는데 얼마나 좋을까요 ㅎ;; |
boiller님의 댓글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엔르님의 댓글

|
@폭시타임사실 로드율에 따라 각 구간별로 효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100% 동일하지는 않습니다만,
그건 기기 내부에서의 사정이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
폭시타임님의 댓글

|
@엔르동일한거군요 ㅠㅠ 기대감없이 받아봐야겠네요 ㅋㅋ |
엔르님의 댓글

|
@폭시타임아예 듣보잡 업체도 아니고,
배터리 효율 좋다고 광고할 정도면 괜찮지 싶습니다. |
리버티님의 댓글

|
잘못알고 계신게 직렬이 밸런스에 신경써야.하는 부분 입니다.
병렬은 밸런스가 필요없지요. 초기 자연밸런싱 되고 나면요. |
개얼굴님의 댓글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apingzone&logNo=220744246435&navType=by |
엔르님의 댓글

|
@리버티셀 밸런싱 문제는 배러리 사망 관련입니다.
병렬 연결시 셀 밸런싱 틀어진 상태로 사용하다보면 한발만 완전 방전으로 사망하기에 드린 말씀입니다. 물론 칩셋에서 밸런싱을 잡아주면 문제가 없는 부분이긴합니다. 셀 밸런싱을 제대로 못 잡아주는 칩셋이나 두발 멕모드 등에서 문제가 되겠지요. |
엔르님의 댓글

|
@개얼굴이런...아닙니다. 저는 그냥 평범한 베이퍼일 뿐인걸요. |
개얼굴님의 댓글

|
평범한 시골전자담배가게 사장님과 비슷한느낌입니다. |
엔르님의 댓글

|
@개얼굴전담생활하다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풍월 읊는 수준이라 그냥 딱 이 정도까지랍니다 ㅡ.ㅜ |
리버티님의 댓글

|
@엔르말씀하신 부분이 직렬 고와트 사용시 일어나는 문제 입니다. 다만 같은 주차의 동일 회사 용량이라면 동일 내부저항으로 직렬시에도 크게 틀어지지 않고 가끔 밸런스 충전으로 잡아 주면 됩니다. 병렬시 배터리 용량이 다르면 낮은 배터리 용량을 따라가게 되고 사용시 셀간 틀어짐은 초기 밸런스가 잡힌상태라면 직렬과 같은 현상은 없다고 보셔도 무방 합니다. 그래서 배터리 관련 자작시 직렬 셀은 꼭 bms나 밸런싱 케이블을 빼네지요. 병렬은 자연적으로 밸런싱이 이루어지지요. |
개얼굴님의 댓글

|
|
엔르님의 댓글

|
@리버티제가 착각을 했네요. 셀 밸런싱 부분은 수정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