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일리언 코일 사용기간에 대한 우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자유게시판
회원아이콘

에일리언 코일 사용기간에 대한 우려

페이지 정보

코코나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132.78) 작성일 님이 2017년 03월 27일 13시 27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1,728 읽음

본문

전에도 한번 언급 한거 같은데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올릴께요 

 

에일리언 코일의 사용기간에 대해 잘못된 내용이 많이 도는거 같아요

 

몇달의 쓰니 하는 말은 비객관적인고 부정확한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그걸 곧이 곧대로 들으면 안될것 같습니다.

 

어느 코일 판매하는곳에선 버젓이 오래사용한다는 근거 없는 문구가 포함 되어 있기도 하더군요  

 

몇달을 쓰신다는 분들께 반문 해보고 싶습니다.

 

그럼 3페러럴 코일은 몇달 , 4페러럴 이상은 6개월넘게 쓰시겠습니까..? 

 

그럴분은 아무도 없으리라 생각됩니다만 

 

저도 아직 어느정도 사용가능하다는 객관적인 지표의 자료는 없습니다만 

 

전이금속의 산화와 이온화에 대해 짦은 지식으로 조금 생각해보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과 빈도에 따라 코일이 변하기 마련입니다.

 

코일의 초기저항이 변하였다면 코일이 변하였다고 보는게 맞고 교체하는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저항 변화가 없어도 주관적으로는 맛의 변화가 왔을때도 있고요 

 

겉모습으로는 전이금속의 산화상태로 판단가능할것 같습니다.   

 

전에도 언급했지만 에일리언코일을 무슨 만능코일 처럼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더구나 에일리언 코일을 몇달을 쓰니 가성비가 좋다는 식의 접근도 잘못 된겁니다.

 

에일리언코일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리빌드 코일과 물리적 특성은 같은 코일이기에 

 

사용기간 또한 일반적 코일과 다를바 없습니다. 

 

참고로 열선코일 수명으로 따지면 니크롬 보다 칼탈이 더 깁니다.  

 

이글로 인해 기분 상하실분들도 있으시겠으나  

 

잘못된 정보는 바로 잡혀야 한다고 생각되고 

 

요즘 저처럼 새로이 코일 빌드 해보시는 분들도 많은데 이런부분을 숙지했으면 해서 입니다.

 

 

 

 

 

 

추천 16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16

곧제대님의 댓글

곧제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1.*.250.90)
회원아이콘 다들 코일 얼마에 한번씩 갈아주시나요?? 전 일반칸탈은 하프리빌드 한번만하고 갈아주는데 어느정도가 적당한건지!!

쏙독새님의 댓글

쏙독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245.130)
회원아이콘 저도 이부분 때문에 명확한 자료같은게 없다보니...가젹적으로 부담인 에일리언코일을 사서 쓰느니 그냥 내가 직접 만들어서 안전하게 쓰자라고 마음먹고 대딸이랑 니크롬 와이어를 주문했죠

까시나무님의 댓글

까시나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26.112)
회원아이콘 국내에서 펜시코일의 내구성에 대한 부분이 과장되고 부각된 측면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외국 빌더들의 사이트나 코일정보페이지를 보면 내구성에 대한 언급은 없더라구요.
내구성을 담보로 코일가격에 대한 부담을 합리화 하고자 하는 알뜰소비심리가 버무려진듯한 모습입니다.

일반적으로 코일의 교체시기는 슬러지와 솜의 상태, 육안으로 관찰되는 코일표면의 산화정도, 베이핑시 느끼는 맛의 차이로
결정하는게 보통이죠. 이과정에서 하프리빌드를 하거나 코일 교체를 하거나 결국 유저의 선택입니다.

짧은 사용기간에도 코일의 산화를 통해 베이핑시 맛표현의 변화를 감지하고 코일을 버릴수도 있겠구요.
그와 반대로 수개월을 하프리빌드로 연명하면서도 동일한 맛표현에 코일에 이상이 없다 판단하는 것도 결국 개인의 판단이죠.


아직까지 베이핑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되고 검증되야할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장기간 사용한 코일에서 발생하는 산화특성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도 그중에 하나일테구요.

코코나미님 처럼 상식적인 수준에서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건 정말 바람직해 보입니다.
그러므로 이글에 대해 추천을 안할수가 없습니다.

저도 손들고 반성을... ㅠㅠ

slugang님의 댓글

slugang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66.5)
회원아이콘 과학적인 근거는 아직 연구된것이 없습니다만
산화에 따른 개인의 편차에 따라 사용기간도 차이 난다고 생각합니다
액상마다 슬러지도 다르고 사람마다 베이핑 습관도 다르니까요
결국 얼마나 쓸지는 자기판단 같네요

Route66님의 댓글

Route66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22.48)
회원아이콘 그 비싼 코일을 사서 남들은 두어달 쓴다는걸 우겨서 열흘 겨우 쓰고 버리면 죄책감이(?) 들 정도였는데 마음이 편해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전체 224,260건 6428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9293 부끄럽습니다... 댓글+46 인기글첨부파일 갱갱이아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1023  1
89292 귀환기념 택배인증 댓글+11 첨부파일 비어드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645  1
열람중 에일리언 코일 사용기간에 대한 우려 댓글+16 인기글 코코나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1729  16
89290 [생존신고] 후싸 싱글덱 클론 괜찮네요 댓글+12 인기글 스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1384  2
89289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42 첨부파일 꼼탱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844  0
89288 본전은 건졌다고 생각합니다^^! 댓글+10 첨부파일 범통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982  3
89287 아이콘을 달았어요!!!! 댓글+10 파챠브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549  4
89286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20 첨부파일 꼼탱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551  1
89285 하이네.. 댓글+8 다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865  1
89284 드루가가 에일리언 코일 사용하기 참 좋을거 같은데.. 댓글+12 bmac60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753  1
89283 짭레고 왔습니다. 댓글+15 첨부파일 아지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816  2
89282 주말지름.. 댓글+8 bmac60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485  1
89281 지름은 인증! 댓글+3 첨부파일 민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536  1
89280 배터리도착!! 댓글+36 첨부파일 개얼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937  0
89279 전자담배는 맞담배 같은 거 가능한 거 아닐까요 댓글+11 그린스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713  1
89278 투투버스 너무합니다 댓글+11 더깊은밤하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788  3
89277 다시 전자담배 입문했습니다. 댓글+10 첨부파일 dimdim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604  1
89276 늪에 빠짐 살려주세요 댓글+17 첨부파일 답답go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576  1
89275 액상 세일중인 매장없나용? 댓글+3 범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578  0
89274 제 딸래미는 의사입니다 댓글+33 첨부파일 날렵한노인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922  4
89273 모두 즐거운 한주 되십시요 댓글+4 첨부파일 하루3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7 389  1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