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약청에서 발표한 전자담배의 유해성
본문
얼마 전 라디오에서 전자담배 분석해보니
포름알데히드??(아토피 피부염이나 새집증후군의 원인이라는군요) 라는 성분과 아세트알데히드??(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음) 라는 성분이 각각 19배, 11배로 증가했다는 굉장히 자극적인 기사를 보고 궁금해서 찾아봤는데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http://www.mfds.go.kr/index.do?mid=675&seq=36783&sitecode=1&cmd=v
들어가시면 자세한 자료 확인가능합니다
제가 문과라 분석하기가 힘들긴 한데
대충 느낌이
전자담배 10회 흡입 = 연초담배 1개비로 설정하고 분석햇고
연초담배는 디플, 에쎄프라임, 던힐, 메비우스(마쎄), 필라멘트 요렇게 썼고(보통 우리가 5~6미리라고 부르는 것들)
전자담배는 니코틴 함유된 액상 5종(나인엘리먼트, 테크니코, 퀸비, 지니어스블랙, MAG7이라는데 제가 액상 이름을 잘 몰라서...) 요렇게 쓰고
니코틴 미함유된것 30종 정도도 실험에 활용했던것 같습니다. 근데 니코틴 함유된것은 함량이 10~12mg/ml라 제 기준보다(전 1미리..) 엄청 높이 쓰고있긴 한데.. 뭐 그래도 10~12정도면 쓰긴 하는 수준이니까 받아들일수 있을 정도의 합리적인 분석인것 같습니다.
기기는 뭘 썼는지 확인하기 힘든데 사진 찍어둔거 보면 저스트포그를 쓴것 같네요;
잘 안보이는데 q14??? 같습니다. 혹시 아는분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그럼 발표자료를 자세히 보면
1. 니코틴 흡입량은 비슷한 수준
즉 10~12미리정도의 액상을 쓰고 10회 흡입시 5~6미리짜리 연초담배를 피는것과 유사한 니코틴흡입량을 보인다.
(그럴듯함)
2. 19배와 11배라는 자극적인 기사는 사실 액상상태에서의 유해물질 함유량 : 기체상태에서의 유해물질 함유량이다.
실제로 식약청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연기 중 아크롤레인과 크로톤알데히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프로피온알데히드 함량은 담배 1개비로 환산 시 0~4.2μg, 0~2.4μg, 0~1.5μg, 0~7.1μg으로 각각 검출되었으며(붙임 2) 궐련담배 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즉 기레기들의 농간임;
3. 검사한 니코틴함유 액상 5종의 전자담배에서 발생하는 주요 유해성분은 세가지 포름알데히드,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이며
기타 30가지 액상 중 프로피온 알데히드가 발생한 액상도 있지만 30개 중 아크롤레인과 크로톤알데히드가 발생한 액상은 없었음.
근데 액상에 따라 어떤 유해성분도 발생하지 않은 액상도 있었음(아메리퀴드사의 지니어스 블랙이라는 액상... 아시는분 댓글로 링크좀)
결국 유해성분 발생은 액상에 따른 차이가 상당하다....는 결론
하지만 어떤 카르보닐류(뭔지 모름)의 유해성분도 연초담배보다는 적게 검출되었음. 가령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연초 한개비에 상품에 따라 8.2~14.3이 검출되었지만 전자담배 한개비(10회 흡입)에는 검출이 안되거나~4.2(최소 절반)까지 검출되었음.
세줄요약
1. 전자담배는 연초담배보다 덜 유해하다.
2. 액상에 따라 유해성분의 검출량 차이가 크다. 어떤 액상은 심지어 유해성분이 나오지 않았다...
3. 니코틴 흡입은 10~12mg/ml짜리 액상을 10회 흡입시 5~6미리 연초담배 하나 핀 것과 유사한 흡입량이 나온다.
두줄결론
1. 과학적으로 전자담배를 제재할 근거는 없음.
2. 기레기들 너무하네 진짜
댓글 6건
인생뭐님의 댓글

|
높으신 분들이 전담을 좀 펴줘야 하는데... |
세타님의 댓글

|
언론플레이들 =_= |
꼼탱이님의 댓글

|
|
녹색뿔테님의 댓글

|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사만 보고 전자담배나 연초나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거나 더 안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겠죠...
이 글을 캡쳐해서 집사람에게 보여줘야겠습니다. 언론플레이에 놀아나지 말라고 |
팀암스트롱님의 댓글

|
결론에 하나 더 붙이자면
3. 전담에 세금 왕창때릴거야~~ |
새우까앙님의 댓글

|
슬슬 밑밥까는건가요 kt&g에서도 아이코스같은 전자담배 만들거라더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