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련의 사건에 대한 눈팅러의 고찰 ㅎㅎ
본문
일단 저같은경우에는 누구한테 억하심정이 있어서 글을 쓰는게 아닌 뭐랄까 초보 베이퍼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설명해보고싶네요 솔직히 말해서 독점권이 있다고 구두로 계약을 했다쳐도 구두계약은 법적 효력이 없고 항의하려면 본사에 했었어야 됐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드네요 솔직히 저의 생각은 곡 전담뿐만이 아니라 모든 물품에 대해서 유통업체, 영세사업자들은 가격 상승의 원흉이라고 보기때문에 ㅎㅎ 사실 저는 대기업이 모두 독점하고 모두 직영으로 하면 좋겠네요 아니면 유통에서 떼먹고 소매점에서 떼먹고 ㅋㅋ 요즘은 인터넷구매 직구 이런게 많은데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국내업체들한테 경고를 줘야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라 ㅋㅋ 국내업체를 압박해야 저희가 결과적으로는 싸게 사니까요 뒷북 죄송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쪽에 관해서도 회원님들의 의견 들어보고싶네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 2
댓글 29건
세타님의 댓글

|
직구는 죄가 아닌데 ㅠ_ㅠ 흑흑
퀘이커베이퍼에서만 파는 코니도 수량 올리면 8불에 주는 .. |
Done님의 댓글

|
대기업이 되었던 한무리의 사장님들연합이 되었던간에
자유경제시장에서 상품의 독과점은 처음엔 달콤할지몰라도 분명히 소비자에게 피해가 돌아오게 되어있습니다 지금 액상값 봐바요 멕세븐/웨스트텐이 무슨 수를 쓰셨는지도요 |
디아블로님의 댓글

|
대기업 독점에 직영......무서운 생각을 하고 계시다.. |
kotetz님의 댓글

|
다른건 잘 모르고,
독과점을 제가 참 싫어합니다. |
쾌변큐님의 댓글

|
reasonable한 가격이 되기 전까지는 봉기 해야 합니다.
왜 같은 물건을 누군 비싸고 누군 싸게 삽니까!!! |
sk0606720님의 댓글

![]() |
@세타그러니까요 ㅋㅋ 직구에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분들이ㅡ많더라고요 |
sk0606720님의 댓글

![]() |
@Done대기업끼리의 경쟁을 시키면 되죠 거기에 개미사업자들이 껴버리면 오히려 개미사업자들의 독과점상태가 되버립니다 공룡기업들끼리 경쟁을 시켜야해요 |
아니땐굴뚝님의 댓글

|
독과점이 안 좋다는 건 매일 들고 다니는 핸드폰만 봐도 아실텐데... |
sk0606720님의 댓글

![]() |
@디아블로하지만 사실 소비자 입장에선 그게 제일 낫죠 아무리 양심적이고 소비자 친화적인 소매사업자도 결국 매출을 올리는 사업이라서 단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잖습니까 |
sk0606720님의 댓글

![]() |
@kotetz부정적인 면도 많죠 ㅎㅎ |
sk0606720님의 댓글

![]() |
@쾌변큐그렇습니다 국내업체가 망해야 해외업체에서 직영이나 다양한 배송옵션을 만들어줄테니까요 |
sk0606720님의 댓글

![]() |
@아니땐굴뚝한 기업의 독과점이 아니라 공룡들이 경쟁을 해야 좋죠 지금은 영새업체들의 반 독과점 상태이니 ㅜㅜ |
yoshiking님의 댓글

|
유통은 필요합니다. 없앨 수는 없어요.
그리고 "유통업체, 영세사업자들은 가격 상승의 원흉" 말은 좀 아니에요. 다들 먹고 살기 위해서 하는 거죠. |
권실장님의 댓글

|
먹고사는게 쉽지않네요...
영세업자들도 고충은 많습니다.. 처신을 잘못한 부분만 꼬집어 주셨으면 해요 |
아니땐굴뚝님의 댓글

|
@sk0606720국내업체가 망해야라는 말은 좀...
성실하고 착하게 일하시는 분들도 많은데 |
sk0606720님의 댓글

![]() |
@yoshiking사실 지금 직구를 안하고 한국에서 사는 사람들도 배송의
문제나 애프터서비스 문제때문인데 배송이 개선되고 직영으로 서비스센터를 만드는 방향으로 가면 더 싼가격에 살수 있으니까요 |
sk0606720님의 댓글

![]() |
@권실장업체분들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합니다 ㅎㅎ 나름의 고민이 있으시겠지만 유통업체응 거치면서 일어나는 가격의 상승이 저로서는 사실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라서요 각자의 입장이 있는거죠 |
namja님의 댓글

|
공룡들이 독과점을 하고 경쟁을 안합니다.
독과점이 되버리면 그냥 끝이고 그 모든 피해는 소비자가 전부 부담하고 손해를 봐야합니다. 개미사업자가 껴서 독과하는게 아니라 작은 업체가 계속 부채질을 해야 독과점이 안되는거죠. |
sk0606720님의 댓글

![]() |
@namja그럴려나요 하지만 지금은 국내업체가 얼마 없어서인지 아니면 판이 작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해외가에비해 너무 비싸네요 도매가가 아니라 해외 소매점보다도 비싸서요 ㅜㅜ |
yoshiking님의 댓글

|
@sk0606720그런 문제가 아니에요. 현재 제조업체에서 근무하고 주고객이 삼성을 포함한 글로벌 대기업들입니다. 부품업이 주력이지만 제품도 팝니다. 저희 같은 회사는 B2C(소비자향 제품) 유통/판매팡이 없고 구축하기에는 힘도 들고 투자도 많이해야되고 현 재고/물류 시스템을 많이 수정해야해서 하지 않습니다. 님이 말씀하시는건 단순 소비자 입장에서 "어짜피 직구하기 어려운것도 아니고 유통없이 다 제조사에서 직구하는 방법으로 가격을 깍는다"라는 거구요. 시장에는 소비자만 있는게 아닙니다. 소비자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사고 싶은건 저도 마찬가지입니다만 그렇다고 유통/영세업자를 없에야 한다는 건 세상 물정 모르시거나 이기적인거에요. |
namja님의 댓글

|
@sk0606720대기업이 독과점하면요. 지금 쓰시는 애들 불법될수도 있습니다 ㄷㄷㄷㄷㄷㄷㄷㄷ 영새업자의 독과점보단 그 문제는 다른 문제같습니다. 한국시장 자체가 작은 문제 그리고 사람들의. 인식문제도 있는거 같습니다. 한국은 정서상 '서비스' 에 어떤 지출을 좀 아까워하는?? 부분이 조금은 있는거 같습니다. 이런저런 여러 문제가 개선되면 여러 좋은업체가 사후관리까지 하다가 커지거나 하겟죠 ㅎㅎㅎㅎ 문제점이 너무 많아서 아니 문제점보단 시선의차이라고 하죠 암튼 좀 개선해야 될게 많다고 봅니다 |
등각님의 댓글

|
대기업은 직구 싫어합니다. AS를 막아버린다던지 타국출고를 막아버리던지, 모든 불편하고 치사한 수단과 장치를 총동원합니다. 비평준 시장이 개방되면 특정 시장단가가 박살 나니까요. 영세유통업자의 수입독점 폭리, 제조병행 등 비틀린 사업 다각화를 비난하는건 동의할 수 있습니다만, 제가 생각하는 전담시장을 풍성하게 만드려면 소비자가 영세 제조,유통 업자를 부추기고 살려야지. 대기업간 경쟁 및 소비형태를 지향하는 순간. 시장은 단순, 편협, 단가 마진 경쟁만 남을 공산이 커보입니다. |
플래티넘님의 댓글

|
공룡들은 독과점을 하고 경쟁이 아닌 담합을 하죠. 휴대폰이나 자동차, 가전제품등 다른 분야를 보아봐도 그렇게 서로 머리를 모으더군요 |
아니땐굴뚝님의 댓글

|
가격의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이번 사건의 핵심은 경쟁은 업체끼리 하는건데 경쟁상대를 유저로 돌렸다는게 문제인데... |
sk0606720님의 댓글

![]() |
@yoshiking이기..적인 거겠죠 ㅜㅜ |
sk0606720님의 댓글

![]() |
@namja사후관리를 더 잘해주면 의향이 있지만 지금은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
sk0606720님의 댓글

![]() |
@등각그러려나요 ㅜㅜ 미국같은경우는 구조가 정말 잘되있더라고요 중국이나 전 그런구조를 원합니다 |
yoshiking님의 댓글

|
@sk0606720말도 안되는 일이기도 하구요 ㅎㅎ. 인터넷으로 장보는 것보다 이마트 가서 제품 보면서 장보는걸 선호하는 사람 많구요. 이마트, 홈플러스 같은거 싸그리 다 없어진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리 편한 세상은 아닙니다 |
DoyQ님의 댓글

|
공룡들끼리 경쟁을해서 가격이 낮아진다는건 이상적인 얘기고 현실은 담합 ㅠㅠ 통신 3사만 봐도 알 수 있을텐데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