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미터 테스트 #2
본문
위의 글이 볼트미터 테스트 첫번쨰 글입니다. 첫글에서는 볼트미터로 0.5옴 빌드시 맥모드와 맥 스퀑크 모드에 대해서 통전의 차이를 실험해 봤습니다.
두번쨰 오늘은 극저옴으로 갔을때 과연 어떻게 되는지 한번 찍어봤습니다.
0.14옴입니다.
동영상에서 보듯이 극저옴으로 내려가면 어제 한 동영상의 0.5옴과는 달리 매우 낮게 볼트가 떨어지는 것을 볼수있습니다.
또한 동영상 말미에 BMI기기로 테스트해본결과 제 맥 세팅의 완충시 0.14옴 세팅일 경우 출력와트수는 약 90와트 내외라는 것도 어느정도 추측이 가능합니다.
또한 무화기의 -극과 +극을 바로 찍을경우라 실제 배터리 -접지부터 + 포스트까지의 접지보다는 실측이 조금 낮게됩니다.
VO칩의 경우 실제 모드기 표시 볼트보다 약 0.1볼트 정도 낮게 찍힙니다.
재미로 봐주세요 ^^
(사용된 맥모드는 콤프라이프사의 HK25이며 첫번째 찍은건 기본버튼, 두번쨰 찍은건 은스프링 장착한 버튼, 세번째 찍은건 은 스프링 + 은컨택트 장착한 버튼입니다. 가변기기는 BMI 클론 기기입니다. 무화기는 제가 가진 것중에서 가장 좋은 통전을 보여주는 것중 하나인 아포칼립스 mechlyfe 티타늄입니다.)
댓글 14건
프로기기님의 댓글

|
극서브옴으로 가면 갈수록 전압강하가 심하게 일어나는군요ㅜㅜ
많이 배워갑니다 참치드려욥 ㅎㅎ |
기환님의 댓글

|
@프로기기이러한 이유로 은 접점, 은스프링, 통전에 효과가 있을 무언가를 자꾸 찾게되는 거지요 ㅎㅎㅎ
다만 18650 한발로 이정도 출력을 낸다는 것은 굉장히 대단한 것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배터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구요) 가변 1발 기기의 경우 실 출력 한계점이 실험 해본봐로는 70와트 언저리였습니다. (DNA75의 경우) |
프로기기님의 댓글

|
@기환흠 아무래도... 가변한발은 입홉이 적당하지 않을까 싶네요ㅠ 그렇게 생각하니 꽤나 좋은 것이군요 크게 생각 안했었는데 역시 지속방전률이 중요한 이유가 따로 있는게 아니었네욥 |
봉순사랑님의 댓글

|
흠... 엄청난 실험! |
기환님의 댓글

|
@봉순사랑금도금덱인 아포칼립스보다 요놈이 항시 통전이 좋습니다. 요걸 하나 구해보시지요.
아마도 실버 컨택트와 실버포스트의 효과아닌가 싶습니다. 전체 은도금인 컨스피러시는 어떨까 궁금합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봉순사랑님의 댓글

|
@기환이미 하쿠와 엔띠온을 질러놓은 상태라 ㅜㅡㅜ 바텀 바텀 하구 싶어여
입문 4개월차 너무도 많은것을 소모해버려서 ㅋㅋㅋ |
beta님의 댓글

![]() |
@프로기기서브옴은 3발 써야죠... |
기환님의 댓글

|
@봉순사랑바텀 기기는 뭐로 정하셨습니까.
크게 가변, 맥, 모스펫이 있는데 궁금하네요 ㅎㅎ |
봉순사랑님의 댓글

|
@기환조선소 다녀서 ... 피코 스퀴즈...와 디아나 살려 했는데 ... 일단 알박스로 2차때 살려고하구 있어여 모더들 물건들은 구하기 버거워서 걍 다 지지쳤습니당
리모랑 스바두 고려중인데 일단 알박스,피코로 시작해보려구요 |
기환님의 댓글

|
@봉순사랑오 그렇군요. 하다보면 결국 다 구하실겁니다. 조급해하지마시고 천천히 즐기시길 ㅎㅎㅎ |
빌헤르미나님의 댓글

|
@봉순사랑괜찮으시다면 피코스퀴즈 이뱊서 나눔받은게 있는데 이걸로 시작해 보시렵니까?
제가 전담을 접어야해서요^^; |
봉순사랑님의 댓글

|
빌헤르미나님 일단 제가 피코 스퀴즈를 페텍에서 3대 구매하여서 ㅎㅎㅎ
다른 회원님께 나눔 추천드립니당! |
프로기기님의 댓글

|
@beta3발은 너무 뚱뚱해욥 ,,ㅠㅠ |
세타님의 댓글

|
멋진 실험 감사합니다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