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없고 약간은 어려울수 있는 배터리 포괄적 이야기#1
본문
일단은 기본적으로 이정도의 관심을 모든 유저가 갖는다는것은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깔고 일단은 아주 초보자들에게는 조금은 어렵고 재미없는 글을 시리즈로 쓰려고 합니다. 팁게에 쓸까 하다가 저만 관심이 있는 이야기일 수 있어 자게에 씁니다.
내용이 유익하다면 차후 팁게로 옮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뒤로 갈수록 좀 더 까다로워 지는 글이 될 수도 있습니다.
1. 맥모드 이던 가변모드이던 모든 밀어주는 와트, 볼트 기타 등등은 배터리의 스펙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첫번째 단락은 일단 옴의 법칙을 이해하면 좋지만 일단은 조금 더 쉽게 써보고자 사이트 하나 링크를 겁니다.
https://www.misthub.com/blogs/vape-tutorials/76788933-tutorial-ohms-law-and-vape-safety-calculator
영어 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이 계시니 중간에 가면 요런 창이 나옵니다. 그거만 찾으세요.
여기에 OHMS라 써진 란에 본인의 사용하고자 하는 옴을 써주세요. 그리고 VOLTS 란 란에 사용하고자 하는 볼트를 기입해주세요.
그리고 CALCULATE 버튼을 눌러보시면 결과가 나옵니다.
요즘 많이 쓰는 에일리언 듀얼 코일 옴을 선택해 봤습니다.
가변기기라 가정하고 4.2볼트를 민다고 가정해봤습니다.
110와트가 넘어가는군요. 그리고 앰프는 26이 넘어가는군요.
많은 분들이 가변기기에 대해 착각을 하는게 가변이니까 모든 다 될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현재 110와트가 넘어가는 와트를 지원하는 1발 가변기기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가장 많이 쓰시는 엘지의 갈색 배터리, HG2 기준 20암페어까지의 지속 방전 허용 전류량을 가진다고 제조사에서 설명합니다.
(순간 방전률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즉 실제로 정말 좋은 칩이 나와서 1발기기 110와트이상을 지원한다 하여도 HG2 배터리를 끼는 순간,
이미 이건 배터리의 성능을 초과하는 범위, 즉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실제 이렇게 진행을 하는순간 가변기기도 버튼이 뜨거워지고
배터리 캡이 뜨거워지며, 오래될 경우 배터리가 열폭주상태로 진입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실제로 경험도 해봤구요.
(실제로는 가변기기는 칩과 많은 부품, 맥에 비해 복잡한 구조로 기기 자체에서 까먹는 통전의 손실이 더 높습니다.)
많은 분들이 가변기기는 쇼트의 위험에서 아주 안전하다고 착각을 하시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폭발사고중 꽤 많은 케이스는 가변기기에서발생했습니다.
배터리가 실제로 열폭주상태로 진입하면 그이후에 무슨 칩에서 안전차단을하고 뭐하고..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옴의 법칙이고 뭐고 다 귀찮으신분들은 극저옴으로 갈때 본인이 쓰고자하는 볼트대와 저항을 위의 사이트에 입력해서
배터리의 성능을 벗어나지 않나 확인하시며 쓰시는걸 추천합니다.
댓글 17건
따발님의 댓글

|
어제 지옥을 경험하고 추천박고갑니다 |
맨도롱또똣님의 댓글

|
ㅊㅊ |
세타님의 댓글

|
+_+ 멋진 팁 !!!! |
모닝모닝콜님의 댓글

|
배터리 혁신이 필요할 때인가요 |
뚝이님의 댓글

|
좋은글 감사합니다.
추천한방~ |
Grey님의 댓글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가변은 부스트 회로가 달려서 손실은 더 적지않나요? |
초료니님의 댓글

|
전 궁금했던게요 만충배터리로 4.2쏴준다고 가정할때요
멕은 통전률에따라 만충이여도 3.7볼트 이런식으로 체크되던데여.. 그래도 배터리는 그게 4.2볼트로쏴주는거겠죠?? 아니면 4.2만충이지면 통전률때문에 배터리도 3.7로쏴주는걸까요..? |
기환님의 댓글

|
@Grey가변기기의 통전이 좋을수 있는 것은 허용범위내에서입니다.
정확히는 통전의 문제가 아니라 흔히 베이핑하시면서 '역시 가변이 잘밀어! ' 라고 막연히 말씀하시는 부분들에 관련된건데. 배터리의 한계점에 있는 빌드를 할 경우 한발 가변과 한발 멕, 절대적으로 한발 맥이 잘밉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vFWG8g0294 0.09옴 빌드 영상입니다. 한발 맥은 이정도로 밀지만 한발 가변으로는 이렇게 절대 못밉니다. |
기환님의 댓글

|
@초료니궁금하실때 코일을 빼고 파이어를 눌러보시면 볼트미터 체크시
통전이 괜찮은 기기라면 거의 4.2완충을 찍을겁니다. 다만 코일의 옴수가 낮은것을 낄수록 즉 배터리 입장에서는 암페어가 높게 쏠수록 볼트값이 떨어지게됩니다. 예를들어 0.5옴빌드를 해서 재보시면 차이를 느끼실 수있습니다.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free&wr_id=1621932&sfl=wr_name%2C1&stx=%EA%B8%B0%ED%99%98&sop=and 관련 글입니다 |
봉순사랑님의 댓글

|
헉 대단하십니다 |
Grey님의 댓글

|
@기환한발멕과 보통 75와트가 한계인 가변기를 가지고 0.09옴을 미는게 손실과 관련있을까요?
4.2볼트 설정시의 와트는 196와트 3.6볼트 설정시의 와트는 144와트 정도인데...허용범위ㅜ내라는걸로 단순비교도 할수 없을것 같습니다. 혹시 제 첫 물음이 잘못된 이해로 물어본건지....;;; (갸우뚱갸우뚱) |
기환님의 댓글

|
@Grey음 이게 좀 애매한데요.
가변기기에서의 통전이 더 우수 또는 덜 우수하다는 부분이 어떤 것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으나. 한발가변기기 dna75칩 사용기기로 hg2에 0.16에일리언 듀얼 밀어보시면 금방 버튼이 뜨거워집니다. |
기환님의 댓글

|
@Grey또한 실제 3.8볼트로 화면에 뜨는 경우 실제 볼트미터를 대보면 약 0.1볼트 정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3.7볼트 측정 등) 가변기기가 한발로 75와트까지만 사용이 제약되는 이유도 단순히 칩의 성능의 문제라기보다는 통전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
Grey님의 댓글

|
@기환아 그런가요...와트 제약이 있게 통전과 관련이 있군요... 이때까지 몰랐네요.
요즘은 제니 잘 안쓰시나 보네요ㅎ |
기환님의 댓글

|
@Grey오우 제니는 기본으로 쓰져 ㅎㅎㅎ 저는 요즘 론리밋만 쓰는듯해요.
액상도 캐슬롱 고정 |
바바밥님의 댓글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던 때인데
이해하기도 쉽게 설명해주셧네요. |
초료니님의 댓글

|
@기환볼트미터가없어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