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코일 단일 칸탈코일 쉽게 핫스팟 잡는 법 알려드릴게요!
본문
이번 코일 나눔건으로 핫스팟잡아야 하는 필요성의 유무에 대해서 많은 얘기가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온도조절때 사용하는 코일 외에 나머지는 모두 핫스팟을 고려해야 합니다.
핫스팟을 필수로 잡아줘야하는 코일은 마이크로코일(코일 간격없이 촘촙히 말아놓은코일)이고 스페이싱코일(코일간격을 일정하게 벌려놓은 코일)은 필요에 따라 합니다.
까시나무님께서 만든 이지코일 또한 그 사이의 간격을 아주 작게나마 벌려놓아 핫스팟을 잡을 필요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를 대비해 핫스팟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핫스팟을 쉽게 잡는 방법은 제 경험으로 바탕하면,
주어진 코일의 저항에 맞춰서 전압을 2.2~2.5정도 나오도록 하는 와트로 잡으셔서 저온에서 잡아 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핫스팟 잡는다고 파이어했다가 코일이 끊어지는 경우를 피할수 있습니다.
순서는
1. 코일을 체결하고 모드기에서 잡히는 저항을 보고 와트를 올리거나 내려서 전압이 2.2~2.5가 나오도록 셋팅을 합니다.
2. 파이어를 짧게 눌러봐서 코일부분에서 한쪽만 램프업이 되는지 확인 합니다. 한쪽만 램프업되는 경우 핀셋으로 슥슥 긁어주거나 코일을 당겨서 살짝 벌어지게 합니다.
3. 다시 파이어버튼을 2~3초간 눌러보면서 코일이 전체적으로 올라오는 지 확인 합니다.
4. 코일의 열이 전체적으로 희미하게 올라오는것이 보이면,
모드기의 와트를 더 올려서 전압이 3.3~3.5사이로 맞추고 다시 파이어를 눌러 줍니다.
5. 코일이 전체적으로 램프업이 잘 나온다 싶으시면 솜끼우시고 원하는 전압에 맞춰 베이핑 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온도조절때 사용하는 코일 외에 나머지는 모두 핫스팟을 고려해야 합니다.
핫스팟을 필수로 잡아줘야하는 코일은 마이크로코일(코일 간격없이 촘촙히 말아놓은코일)이고 스페이싱코일(코일간격을 일정하게 벌려놓은 코일)은 필요에 따라 합니다.
까시나무님께서 만든 이지코일 또한 그 사이의 간격을 아주 작게나마 벌려놓아 핫스팟을 잡을 필요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를 대비해 핫스팟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핫스팟을 쉽게 잡는 방법은 제 경험으로 바탕하면,
주어진 코일의 저항에 맞춰서 전압을 2.2~2.5정도 나오도록 하는 와트로 잡으셔서 저온에서 잡아 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핫스팟 잡는다고 파이어했다가 코일이 끊어지는 경우를 피할수 있습니다.
순서는
1. 코일을 체결하고 모드기에서 잡히는 저항을 보고 와트를 올리거나 내려서 전압이 2.2~2.5가 나오도록 셋팅을 합니다.
2. 파이어를 짧게 눌러봐서 코일부분에서 한쪽만 램프업이 되는지 확인 합니다. 한쪽만 램프업되는 경우 핀셋으로 슥슥 긁어주거나 코일을 당겨서 살짝 벌어지게 합니다.
3. 다시 파이어버튼을 2~3초간 눌러보면서 코일이 전체적으로 올라오는 지 확인 합니다.
4. 코일의 열이 전체적으로 희미하게 올라오는것이 보이면,
모드기의 와트를 더 올려서 전압이 3.3~3.5사이로 맞추고 다시 파이어를 눌러 줍니다.
5. 코일이 전체적으로 램프업이 잘 나온다 싶으시면 솜끼우시고 원하는 전압에 맞춰 베이핑 하시면 됩니다.
추천 3
댓글 4건
닷모드왕님의 댓글

|
게시판이달라요 ! 이건팁으로가야됩니다 ㅎㅎ |
러브머신님의 댓글

|
오 지금까지 3.3볼트 정도로 핫스팟 잡았는데 그보다 낮은 와트에서 시작해야하는 거였군요..! 메..모 |
한밤의승부사님의 댓글

|
꿀팁이네요 감사합니다^^ |
파챠브로님의 댓글

|
@러브머신3.3에서도 한쪽으로 몰리면 랩핑코일 끊어질때가 많아요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