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담)혹시 단열 내장재 아시는분
페이지 정보
방탕아재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4-02 22:05 543읽음본문
이번에 오랜된 주택을 올 리모델링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단열 시공이 제일 중요한 공사일것 같은데 업자들 마다 말이 달라,
단열재시공에 대해서 좀 아시는분 계시면 여쭙습니다
단열시공은 는 제가 검색한 바로는 각목격자 설치, 압출단열재(아이소핑크) 5cm이상, 틈새 우레탄 시공, 석고보드 마감 인데요
수성연질폼(화이트폼) 으로 나무격자 설치후, 거품 같은걸 쏴서 단열, 석고보드 마감이 더 좋다고 합니다
혹시 단열시공에 대해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오래된 주택 리모델링이 쉽지가 않네요^^;;
추천 0

댓글 16건
범고래삼촌님의 댓글

|
폼공법이 좋긴해요. 근데 불연성으로 꼭 하셔야만 하구요. 마감은 석고를 빼세요. 석고보드 안좋습니다.
대략 15년 정도 가면 다 부스러져요. 지들 마감하기 편할려고 석고마감 하는 겁니다. 방부목 종류도 많구요...찬찬히 살펴보시는 게 좋겠네요. 급할수록 후회만 남더라구요. 저희 집도 단독이라 이리저리 손이 많이 가는데....천장쪽 단열을 신경쓰면 겨울에 난방비 절약 확실히 되더군요.^^ |
바리님의 댓글

|
설계쟁이로서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아직까지도 설계에서는 압출법,비드법을 많이사용합니다. 만약 수성연질폼이 더좋다면 설계에 진작적용됫을터이지만 아직 미적용입니다. 다만 적은규모에서는 시공성이 쉽기에 시공업자들은 수성연질폼을 더 희망할수있습니다. 또한 수성연질폼은 가연성으로 알려져있어서 위험할수잇습니다 쉽게말해 불이붙으면 잘탄다라는 의미입니다. 제생각에는 압출법보온판중에서 밀도가높아 열전도율이 낮은 제품을 사용하시는게좋아보입니다.
기본 건축법규를 보시면 나라에서 정하는 기본적인 단열재 두께 기준이있습니다 제가말씀드릴 압출법 특호를 사용하셔도 중부지방 기준 8.5cm이상을 사용하라 규정되잇습니다. 벽이 외부에 직접면해있지않으면 6cm이상입니다 말이길어졋네요 ㅋㅋ 결론은 압출법보온판 특호등급을 외기에 직접면한건지 간접면한건지 확인하여 두께를 맞추어 사용하시면 좋을듯보입니다.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범고래삼촌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석고보드 말고 마감은 어떤걸로 하는것이 좋을까요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바리압출번보온판 특호등급 자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여쭤도 될까요
흔히 아는 아이소핑크가 특호등급니라면, 내벽(방안) 8.5cm는 해야된다는 말씀이신지요 죄송한데 단열재 이후 마감재는 어떤걸로 하는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바리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압출법 보온판은 흔히 아시는 아이소 핑크가 맞으시며 그중 등급이 특호라는 등급입니다. 등급은 특호 1호 2호 3호 기준으로 나뉘며 압출강도에따라 등급이 바뀝니다 등급이높으면 그만큼 강도가높고 그러면 열전도율이 낮아서 열이천천히이동됩니다. 벽이 외부 공기에 면해잇으면 8.5 그게아니고 베란다 내부벽 방벽등 건물내부에잇는벽들은 6이상을 사용하는게 법적 기준입니다 등급이낮아지면 점점 두께가 높아지구요 ㅋ 기본적인 단열재이후 마감재는 보통 석고보드 12.5t를 두장 붙이는 방식을 많이사용합니다 ㅋ 다만 제가드리는말씀은 설계기준을 말씀드린거고 위에 삼촌님처럼 실제로 리모델링에 적용되는 좋은방식이있을수도잇습니다.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바리성실한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네요 ^^ |
바리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네~! 아무래도 자가는 꼼꼼히알아보시고 좋은 단열재 및 마감재 선택하셔서 좋은집꾸미시길바랍니다~!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바리감사합니다 |
범고래삼촌님의 댓글

|
@바리역시 전문가의 답변은 멋져요~+_+
사실 전 건축사 칭구넘한테 위에 복잡한 이야긴 생략한 채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장편들을 듣고 업자한테 푸쉬한 것 뿐이라서 자세한건 진짜 모릅니다. 말이 안통하면 칭구넘이랑 통화를 시켜줬거든요. 그래서 미안한 맘에 왠만하면 안깍고 부르는 금액을 줬지만.... 진짜 리모델링은 액수 자체가 천차만별이더라구요. 해서 천장단열이랑 외부벽 단열만 했습니다...!! 그덕분에 올겨울 무지 따뜻하게 보냈지요....ㅎㅎ |
범고래삼촌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이제 남은 건 바리님한테 부탁에 부탁을 거듭 하시는 거에요.
전문가에게 맡기는게 액수는 더 나와도 최소한의 업저들 눈탱이를 피하는 방법이랍니다.^^ 그러니 얼릉 부탁드려 보세요...ㅎㅎ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범고래삼촌정말 인테리어가 어렵네요
모르면 그만큼 당하는것같고요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바리죄송한데 한가지만 더 여쭙습니다
천장단열 같은경우 내벽단열과 같은 방법으로 더 두껍게 해야 한다고 하는데 최소 몇cm 이상은 되어야 할까요 |
바리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제가 드린정보가 틀렷엇습니다 ㅠ 제주도 기준이엿네여 중부기준은 외기벽 15.5 내벽 10.5 천장은 외기천장 22 내부 층간 천장 14.5입니다
정보는 http://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A%B1%B4%EC%B6%95%EB%AC%BC%EC%9D%98%EC%97%90%EB%84%88%EC%A7%80%EC%A0%88%EC%95%BD%EC%84%A4%EA%B3%84%EA%B8%B0%EC%A4%80 별표 3 기준을 확인하시면 더욱편하십니다 ㅋ 현행법보는 싸이트입니다 ㅋ |
바리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혹시나 설계기준이 도움이되신다고하시면 카톡아이디나 번호쪽지주시면 좀더 알려드리겟습니다 ㅋ |
방탕아재단님의 댓글

|
@바리감사합니다 이미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말씀하신 최소한의 기준으로 단열공사를 하는 곳을 찾기가 힘드네요 다들 비드공법에 석고보드 한장 합판으로 마무리 한다는 업체가 많습니다 아이소핑크 이야기를 하면 싫은티만 내네요 ㅎㅎ |
바리님의 댓글

|
@방탕아재단아이소에 석고 두장이 가장베이직해서 좋을거같긴한데ㅠㅠ 아무래도 석고두장은 겹쳐붙이는것도잇고해서 그런거같은데 그래도힘내서 좋은것으로 찾아하셔야합니다!!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