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아닌 실험을 해봤는데요
본문
갖고있는 무화기가 듀얼rta와 싱글rda밖에 없어서
둘 사이의 액상 소모량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비교해봤습니다.
듀얼rta 메이지2 칸탈 0.28옴 3.89볼트
싱글 rda 시타델 칸탈 0.56옴 3.9볼트
둘다 정확히 액상을 30방울씩 떨어트렸고
듀얼rta흡입한뒤 바로 싱글 rda흡입하고 서로 번갈아 가며 한번씩 흡입했습니다.
듀얼rta가 싱글rda에 비해 많은 차이를 두고 탄맛이 올라올 줄 알았는데
의외로 메이지2가 탄맛이 올라온 뒤 시타델은 2~3번 흡입 후 탄맛이 올라왔습니다.
제 실험방법이 조건도 안맞고 좀 이상해보일수도잇는데
왜 듀얼rta가 싱글rda랑 비교햤을때 액상소모량에서 크게 차이가 안나는 걸까요???
이런식이면 굳이 싱글르다를 써야하나 싶기도 하네여ㅠ
둘 사이의 액상 소모량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비교해봤습니다.
듀얼rta 메이지2 칸탈 0.28옴 3.89볼트
싱글 rda 시타델 칸탈 0.56옴 3.9볼트
둘다 정확히 액상을 30방울씩 떨어트렸고
듀얼rta흡입한뒤 바로 싱글 rda흡입하고 서로 번갈아 가며 한번씩 흡입했습니다.
듀얼rta가 싱글rda에 비해 많은 차이를 두고 탄맛이 올라올 줄 알았는데
의외로 메이지2가 탄맛이 올라온 뒤 시타델은 2~3번 흡입 후 탄맛이 올라왔습니다.
제 실험방법이 조건도 안맞고 좀 이상해보일수도잇는데
왜 듀얼rta가 싱글rda랑 비교햤을때 액상소모량에서 크게 차이가 안나는 걸까요???
이런식이면 굳이 싱글르다를 써야하나 싶기도 하네여ㅠ
추천 0
댓글 25건
Ryanhong님의 댓글
|
|
rta와 rda의 차이죠. rta는 솜을 따라 올라오는 액상의 양만을 기화시키지만 rda는 직드립 후 코일 위에 있는 액상과 솜을 따라 올라오는 액상을 모두 기화시키니까 rda가 기화량이 더 높겠죠. 대신 rta는 코일의 발열이 더 심할겁니다. |
Ryanhong님의 댓글
|
|
@Ryanhongrta는 양초에 비유하고, rda는 캠프파이어에 비유하면 되려나요.. 양초는 양초심을 따라 타고 올라가는 파라핀만 기화시켜 불꽃을 내지만 캠프파이어는 나무가 있으면 홀랑 먹어버리면서 잘 타오르죠.
수정합니다. 정확히 같은 열량을 가진 양초와 나무젓가락이 있다고 봅시다. 둘 다 같은 시각에 불을 붙혔다면 어느것이 더 빨리 탈까요? 물론 나무젓가락이겠죠. 양초는 액화되어 심을 따고 올라가는 파라필름의 양만을 태우는 반면, 나무젓가락은 빠른 속도로 불이 붙으며 금세 연소되겠죠. |
구와와아아앙님의 댓글
|
|
@Ryanhong그럼 액상 아끼는 순으로 쓰면 싱글rta->듀얼rta->싱글rda->듀얼rda 순이 맞는건가여??? |
rda빌런님의 댓글
|
|
흠 왜그러죵 딱히 바로 떠오르는 오차요인이 없네요 ㅠ 1퍼프의 길이가 같다고 가정했을때 듀얼쪽이 일을 2배 해줬을텐디...소모 액상량이 같다는건 액상을 날려보내는데 쓰인 일의 양은 같고 아마 싱글쪽이 발열에 더 많은 일을 해준것 같은데...
1.액상 유입속도의 차이 : 30방울씩 떨어뜨렸지만 액상 유입단계에서 오차가 생겨 싱글에서 더 적은 액상을 태웠다. 2.총 일의 양은 같지만 액상소모량이 같다는건 싱글쪽에서 발열에 더 많은 일을 낭비랬다. 즉 연무의 온도가 높았을 것이다. 이 두개말곤... 근데 오차가 넘 크네용 |
rda빌런님의 댓글
|
|
@구와와아아앙근데 rta탱크를 비우고 직드립으로 30방울 떨어뜨리신거 아닌가요?? |
Ryanhong님의 댓글
|
|
@구와와아아앙아끼는 순으로 보자면... 그렇게 보시면 되겠네요. |
rda빌런님의 댓글
|
|
@rda빌런만약 rta쪽 탱크를 비우고 직드립하는 방식으로(즉 rda와 같은 방벚으로) 실험 하셨다면 저 두가지 요인으론 설명이 부족하네요... 만약 rta 탱크에 30방울 떨어뜨리는 쪽으로 실험 하셨다면 1번요인으로 설명이 됩니다 |
구와와아아앙님의 댓글
|
|
@Ryanhong넵 듀얼rta 싱글rda 둘 다 모두 새로 빌드한 뒤 액상 짯습니다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2번요인을 틀리셨군요.. 싱글에서 무화의 양이 많아서 연무의 온도가 더 낮다...로 하시는 게 설명이 됩니다.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아아 듀얼설명입니다 ㅋㅋ 오타났네용 |
구와와아아앙님의 댓글
|
|
@rda빌런그러게요 저도 의외였습니다.. 듀얼rta 싱글rda 모두 새로 빌드 한 뒤 똑같이 액상 30방울을 넣어줬는데도 차이가 별로 안나네요ㅠ 그리고 탱크에다가 30방울 떨어뜨렸습니다 rda는 솜에다가 적셔주었구요 연무 온도는 크게 차이를 못느꼇지만 비슷한 볼트와 똑같이 코일을5바퀴 감아서 발열면적은 똑같을텐데...잘 모르겟내요ㅠㅠ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혹시 rta에도 rda와 똑같은 방식으로 탱크를 비우고 코일쪽 솜에 직드랍 했다면, 오차요인이 뭐라 생각하시나요?! |
rda빌런님의 댓글
|
|
@구와와아아앙아아 ㅋㅋㅋㅋㅋㅋㅋ 그럼 1번 요인입니다. 당연히 rta처럼 솜을통한 액상유입으로 코일쪽 솜이 젖는 정도와 rda처럼 직드립으로 코일 주변을 젖게할때 한번에 액상이 가열받는 면적에 차이가 나게되고, 당연히 rda쪽이 열 효율이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ㅋㅋ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동일한 rta에 같은 옴값의 코일을 3개 준비하여 하나는 듀얼, 하나는 싱글로 빌드했을때는 듀얼이 2~1.7배 정도의 액상을 사용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쥬스플로우의 확공에서 오차가 생길것이다라고 생각하고요. 듀얼을 쓰더라도 쥬스플로우가 널널하다면 2배, 쥬스플로우가 작다면 1.7배까지 나올겁니다. 메이지 v2로 실험해본 결과 1.8배 정도가 나오더군요.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넵 무화기같은 단순 구조의 발열시스템에선 해봤자 오차가 10프로 이내 일텐데 오차율이 싱글기준 거의 100프로라 아리까리 했네용 ㅋㅋ |
구와와아아앙님의 댓글
|
|
@rda빌런그럼 rda는 어쩔 수 없이 항상 rta보다 액상소모가 많을 수 밖에 없는 구조네요???ㅠㅠ 맛표현은 듀얼rta가 더 좋았는데..시타델 괜히 산거같습니다ㅠ 액상 아끼려고 싱글rda로 넘어왔는데 후회되네영 |
rda빌런님의 댓글
|
|
@구와와아아앙제가 rda가 열 효율이 좋다 말씀드렸었죠? 무슨말이냐 하면, 그냥 와트수를 내리시면 됩니다. 직드랍시와 탱크형 액상유입시의 코일 접촉면적이 어떻게 되는진 몰라 ‘몇와트를 낮춰라’ 말씀 드릴 순 없지만, 같은 코일 셋팅 시 특정와트에서 두 무화기가 자아내는 연무량이 같아질겁니다. 이때 rda는 배터리를 덜 쓰게 되고요. 쉽게말해 같은 무화량, 더 낮은 배터리소모.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결론은 싱글rda는 듀얼 rta의 코일(코일 안쪽)에 비해 액상에 대한 표면적이 넓고(코일 전체), 듀얼 rta는 코일이 2개이기 때문에 두 요인으로 인해 싱글 rda와 듀얼 rta의 기화량 차이가 거의 상쇄가 된다.. 이말이신거죠?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넵 뭐 그것 외에도
1.솜에 남아있는 잔여 액상 2.듀얼 빌드시 코일 사이 잔열에 의한 액상의 가열가속 등 이것저것 오차 요인이 많겠지만, 메인 팩터는 라이언님이 말씁하신게 되겠네용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그 두가지 요인도 1번은 싱글 rda 쪽이 우세(연타기준), 2번은 듀얼 rta 쪽이 우세(쳄버, 덱이 더 작음) 으로 인해 상쇄되겠군요..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넵 뭐...정확한 측정은 안되겠다만, 저것 외엔 딱히 떠오르지 않네요.. |
구와와아아앙님의 댓글
|
|
@rda빌런두분 모두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시타델 사자마자 방출은 좀 그렇고 와트수를 낮춰서 액상소모좀 줄여봐야겟네용 ㅠ 전린이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저것 말고도 pg:vg 비율, 계절, 에어플로우의 크기, 코일의 유형, 코일과 덱 사이의 거리 등등 이것저것 생각할 게 많겠으나 이젠 머리가 복잡하군요... 그냥 그러려니 할랍니다 ㅎㅎ |
rda빌런님의 댓글
|
|
@Ryanhong+캡 재질까지... 하지만 그냥 그러려니 하는게 모두에게 이득인것 같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yanhong님의 댓글
|
|
@rda빌런마치 1+1=2의 증명같네요 ㅋㅋㅋ 좋은 밤 되십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