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스팟이 생기는 이유와 제거 원리?
본문


사진 출처: 유튜브 샤파밍기님 영상 캡쳐
안녕하세요 연초 10년차인데 담배값 부담에 최근에 전자담배 입문하고
오늘 닷100에 드랍데드로 rda 입문한 베린이도 아니고 신생아입니다ㅎㅎ
오늘 배송이 와서 첫 rda 빌드 성공적으로 하고
너무 편하게 베이핑 하고 있네요ㅋㅋ
그런데 입문 전부터 유튜브로 전자담배에 대한 수많은 영상들을 거진 몇십시간을 시청했는데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게 있습니다
이론설명 자세한 레드칸탈님도 이부분은 설명이 없으시더라구요
바로 핫스팟이 생기는 이유와 그걸 잡아주는 원리입니다
거의 모든 유튜버들이 "열이 뭉치죠? 긁어줍니다 잘 잡히네요"
하고 끝나더라구요
하다못해 그걸 검색하려고 이베이프 가입도 했었는데요
이 글이 첫 글이 되네요ㅎㅎ
뭐 결론은 이베이프에서도 자세한 이유는 찾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샤파밍기님 리빌드영상을 보는 도중에
첫번째 캡쳐 보시면 열뭉침이 선형으로 나타나는게 보입니다
두번째 캡쳐 보시면 한 코일 전체가 핫스팟이네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힌트: 정상 0.17~0.2옴이 나와야 할 빌드에서
콜드옴이 0.1옴이라는 점
갑자기 생각이 팍 들었습니다
핫스팟의 가장 큰 이유는 코일 내 접지에 의한 통전,
그로인한 저항 감소가 아닐까 하구요
그래서 코일 내 핫스팟이 선형이고, 한쪽 핫스팟을 잡으면 다른쪽 코일이 통째로 핫스팟이 되고, 콜드옴도 낮게 나오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기본 이론은 저항이 낮으면(혹은 접지에 의한 즉 쇼트) 전류가 많이 흐르고 그 부분에 발열이 몰린다 입니다
한쪽을 잡으면 그 쪽은 통전이 없어져서 정상저항인데
병렬연결에서 저항이 낮은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가서 나머지 코일이 핫스팟이 되어버리는것도 같은 원리이죠
핫스팟의 이유를 이렇게 가정해 볼때,
핫스팟을 잡을 때의 코일을 긁는 행위의 효과에 대해 두가지로 추측해봤습니다
첫째, 물리적으로 코일을 정렬시켜서 접지를 떼어낸다
둘째, 코일을 긁으면서 잠깐 물리적으로 떨어진 사이에
달궈진 온도에 의해 산화피막이 생겨 피복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핫스팟을 잡은 코일을 분해 재결합 한다던지, 솜을 끼우고 핫스팟이 다시 생긴다던지 하는 사례들이 있는 듯 해서 두 가지 가정에 반례가 되어버리네요ㅎㅎ
제 예상은 이렇습니다만, 혹시 정확히 아시는 분이나 다른 의견 있으시면 공유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ㅎㅎ 막 입문한 참이라 궁금증 투성이네요!
안녕하세요 연초 10년차인데 담배값 부담에 최근에 전자담배 입문하고
오늘 닷100에 드랍데드로 rda 입문한 베린이도 아니고 신생아입니다ㅎㅎ
오늘 배송이 와서 첫 rda 빌드 성공적으로 하고
너무 편하게 베이핑 하고 있네요ㅋㅋ
그런데 입문 전부터 유튜브로 전자담배에 대한 수많은 영상들을 거진 몇십시간을 시청했는데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게 있습니다
이론설명 자세한 레드칸탈님도 이부분은 설명이 없으시더라구요
바로 핫스팟이 생기는 이유와 그걸 잡아주는 원리입니다
거의 모든 유튜버들이 "열이 뭉치죠? 긁어줍니다 잘 잡히네요"
하고 끝나더라구요
하다못해 그걸 검색하려고 이베이프 가입도 했었는데요
이 글이 첫 글이 되네요ㅎㅎ
뭐 결론은 이베이프에서도 자세한 이유는 찾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샤파밍기님 리빌드영상을 보는 도중에
첫번째 캡쳐 보시면 열뭉침이 선형으로 나타나는게 보입니다
두번째 캡쳐 보시면 한 코일 전체가 핫스팟이네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힌트: 정상 0.17~0.2옴이 나와야 할 빌드에서
콜드옴이 0.1옴이라는 점
갑자기 생각이 팍 들었습니다
핫스팟의 가장 큰 이유는 코일 내 접지에 의한 통전,
그로인한 저항 감소가 아닐까 하구요
그래서 코일 내 핫스팟이 선형이고, 한쪽 핫스팟을 잡으면 다른쪽 코일이 통째로 핫스팟이 되고, 콜드옴도 낮게 나오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기본 이론은 저항이 낮으면(혹은 접지에 의한 즉 쇼트) 전류가 많이 흐르고 그 부분에 발열이 몰린다 입니다
한쪽을 잡으면 그 쪽은 통전이 없어져서 정상저항인데
병렬연결에서 저항이 낮은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가서 나머지 코일이 핫스팟이 되어버리는것도 같은 원리이죠
핫스팟의 이유를 이렇게 가정해 볼때,
핫스팟을 잡을 때의 코일을 긁는 행위의 효과에 대해 두가지로 추측해봤습니다
첫째, 물리적으로 코일을 정렬시켜서 접지를 떼어낸다
둘째, 코일을 긁으면서 잠깐 물리적으로 떨어진 사이에
달궈진 온도에 의해 산화피막이 생겨 피복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핫스팟을 잡은 코일을 분해 재결합 한다던지, 솜을 끼우고 핫스팟이 다시 생긴다던지 하는 사례들이 있는 듯 해서 두 가지 가정에 반례가 되어버리네요ㅎㅎ
제 예상은 이렇습니다만, 혹시 정확히 아시는 분이나 다른 의견 있으시면 공유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ㅎㅎ 막 입문한 참이라 궁금증 투성이네요!
추천 2
댓글 9건
갱갱이아빠님의 댓글
|
|
옛날에 까시나무님이 댓글에 남기신 글이 있는데 찾을 엄두가 안나네요ㅠㅠ |
맹꽁이님의 댓글
|
|
@갱갱이아빠ㅠㅠ까시나무님도 리빌드에서 딱히 원인에 대한 설명은 없으시더라구요 |
머리점님의 댓글
|
|
저도 궁금해요..
핫스팟을 잡는 지지기 행위가 건강상 매우 해로울듯 한데...(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사실 저도 잡으래서 잡지 뭔가 꺼려지는 행위입니다 ㅠ |
맹꽁이님의 댓글
|
|
@머리점전 퓨즈드클랩튼 와이어 자를때 튀는 작은 금속조각들이 무섭네요ㅠㅠ |
머리점님의 댓글
|
|
@맹꽁이저도 자를때는 멀찌감찌 떨어져서 자르고 덱에 조금이라도 묻을까봐 자른 후에 세척하고 키친타올에 닦은 후에 (손도 세척하고) 덱에 체결합니다.
(자를때 워토포 가이드툴로 6mm 딱 맞춰서 자릅니다) 조금이라도 덱에 들어가면 안전사고 발생하니깐요 조심해선 나쁠게 없다는 주의라 연초보다 덜 해로울거라며 들어온 전담이고 취미가 되었는데 사고로 이어지면 안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말 조심히 사용합니다 ㅎㅎ |
10초하정우님의 댓글
|
|
@머리점안녕하세요
글과는 맞지 않지만 ... 혹시그 워토포 가이드툴 << 코일다리 자르는 지그 맞나요?? 이거 혹시 어떻게 구할까요??? 찾아는봤는데 워토포 어떤물건을 사면 같이 오는걸로 알고있어서요 |
티벳여우님의 댓글
|
|
@10초하정우알리에서 툴만따로 팔기는 하는데 개당 5불인가로 기억합니다
저는 리커브듀얼을 구입하니까 안에 들어있었던 것 같아요 리커브듀얼은 작게 접을 수 있는 모양이고 리커브싱글은 사다리처럼 생긴 모양으로 기억합니다 |
머리점님의 댓글
|
|
@10초하정우리커브 듀얼 사면 줍니다 ㅎㅎ
입문자이든 고급자이든 널리쓰일만한 좋은 번들제품입니다 |
gongmeosang님의 댓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