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시피를 전부 수정해야하지 않을까해요. g으로
본문
세타님 글을 보며.....
개발실에서도 저울 사용했는데.....
저울을 사용했던 이유가.....
대량생산시 계량의 용이성 때문이었죠.
부피계산은 의외로 정확하지 않을떄가 많아서......
세타님 메스실린더 지른거 안타까워하지는 마시구요.....
그냥 그렇다구요....ㅡ,.ㅡ
추천 0
댓글 25건
중산인님의 댓글

|
이 글을 세타님이 싫어합니다. |
리쿠샤님의 댓글

|
이 글을 LG그램이 싫어합니다 |
저스티스님의 댓글

|
@중산인왜 그런걸 사시는지....ㅋㅋㅋㅋㅋㅋㅋ
차라리 향료를 더 사는게 이득임. |
저스티스님의 댓글

|
@리쿠샤싫어하거나 말거나 ㅋㅋㅋㅋㅋ
근데 ml가 안좋은 것이 계량용기에 액체가 남아있기때문이거든요.... 매번 세척해야하고 말려야하고...근데 정확하지도 않고 ㅡ,.ㅡ |
훌이님의 댓글

|
하긴. 실린더가 아무리 정확한들 눈이 정확해야 -_-
제 눈 못 믿고 저울 사야겠습니다. sf-400인가 그거 사면 되겠죠? |
보쓰짱님의 댓글

|
세타님 축하드립니다 |
저스티스님의 댓글

|
@훌이저울.....그냥 보급형 사면 되요.
카스급 정도면 됩니다. |
월터화이트님의 댓글

|
부피를 질량으로 환상할 경우 밀도를 잘 보정해 주어야 합니다.
부피를 측정하는 도구를 좀 좋은걸 쓰면 해결된 문제입니다. 레시피 전체를 그람으로 바꾸면 범용성이 떨어지죠 |
저스티스님의 댓글

|
@보쓰짱쪽지 보내려다가....
메스실린더 샀다는 글에 댓글만 남겨드리고 왔어요.......ㅡㅡ;; |
보쓰짱님의 댓글

|
@저스티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저스티스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넵 맞습니다.
근데 일반인이 쓰면 편차가 오히려 커질것 같아서요.... 첨부터 레시피가 g이었다면 다들 편했을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ㅎㅎ |
라이벡님의 댓글

|
VG만 1.26(비중) 주고 나머진 1.0(비중) 두는 방식으로 하면 오차가 심할까요? ^^* |
월터화이트님의 댓글

|
처음부터 그람으로 나왔다면 향료 계산이 더욱 복잡해 집니다.
최초에 영국에 많은 커뮤니티들이 레시피를 질량으로 공유하다가 너무 편차가 심해져서 부피로 사용하기 시작한거거든요 대부분 lab에 있는 사람들이 전담을 접하면서 질량에 대한 언급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일반적인 환경에선 부피로 재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
저스티스님의 댓글

|
@라이벡그 오차를 체감(?)할 기준이 모호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욤. |
저스티스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아항~ 무슨 말씀인지 이해했습니다.
총 생산량이 많아지면 g으로 적용시 편차가 심해진다는 이야기시죠? 정확한 밀도의 계산이 이뤄지지 않았기때문에...... 0.01의 밀도차가......100g만 되어도 1g 이상의 차이가..... 전체로 봤을때....한자리수의 %가 변할 수 있겠네요. 근데 세타님의 메스실린더는 오바지 말입니다. ㅋㅋㅋㅋ |
라이벡님의 댓글

|
@저스티스저도 열악한(?) 환경에서 김장 중인지라, 저렴이 정밀저울과 제 구린 입맛에 의존 중이네요. ^^;; |
월터화이트님의 댓글

|
@저스티스국내산 매스 실린더들은 눈금 정확도가 떨어져서
좋은 매스 실린더 하나 있으면 좋죠^^ |
리쿠샤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저도 매스 실린더 하나 살려고 알아보는 중입죠...
이게다 월터님 때문입니다 ㅠㅠ |
저스티스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한 회원을 챙기시는 따스한 마음...
이로써 해외 메스실린더 뽐까지 주시는 월터님..... 존명....ㅠㅠ |
세타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월터님 짱 ㅋㅋㅋ |
청테이프님의 댓글

|
무게를 기준으로 할 경우 모든 향료와 니코틴용액 그리고 용매인 pg와 vg의 비중을 모두 산출하여 계산하여야 정확한 방법이 될듯 싶습니다.
각각의 비중은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가 기록되는 규격화된 화학물질이나 약품이 아닐 경우 정확한 비중을 재는 방법은 비중계를 써서 하나씩 재 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각각의 향료의 무게는 더욱 계량이 힘든 소숫점자리를 나타나겠죠. 부피를 계량하기위해 조금더 정확한 메스실린더의 구입 가격보다 수평까지 잡아야 하고 소수점 4~5자리가 넘어가는 정밀 발란스(저울)의 가격이 훨씬 더 비싸고 방법도 훨씬더 복잡해 질것으로 사료됩니다. 어차피 조금씩의 오차가 있다라면 부피기준의 오차가 오히려 더 작고 합리적인 액상제조가 될 것 이라는 의견을 드려봅니다. |
월터화이트님의 댓글

|
@라이벡저울로 하시면 오차범위가 더 커집니다
부피로 하셔야 레시피가 의도한대로 맛이 나와요^^ |
라이벡님의 댓글

|
@월터화이트메스실린더 직구가 답인가요? ^^*** |
라이벡님의 댓글

|
@청테이프아- 갈수록 태산.. 아니. 배울게 조금씩 더 늘어나는 군요. ㅎ 정신 바짝 차려야 겠어요. ^^.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마길도씨님의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