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와이어를 이용한 1453코일과 서브탱크 occ 리빌드
본문
레디와이어 1.8옴과 1.2옴을 이용하여 1453코일과 서브탱크나노 occ를 리빌드 해보았습니다.
솜은 코겐도^^
1453에는 1.4mm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1.8옴 레디와이어 저항 부분만 감았더니 5바퀴 정도,
occ에는 2.4mm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1.2옴 레디와이어 저항 부분만 감았더니 이녀석도 5바퀴 정도 나오네요.
솜량은,
1453에는 코겐도 양쪽 겉면 다떼고 기존코일과 비슷하게 구성
occ에는 코겐도 한쪽면만 떼고 구멍에 밀어넣어줄 약간의 솜만 남기고 커팅후 살살 밀어 넣어줬네요.
1453, occ 모두 코일 감는건 대충대충 간격만 조정해주고,
솜 밀어넣는게 조금 난이도가 있었지만 코일 지지잘해주고 기성코일처럼 잘 만들어주었습니다.
참고로 occ에 솜다지기 할때는 뽀족한 바늘로 액상유입 잘되게 쿡쿡 찔러줬구요.
결과는,
1453은 대만족, 기존 실리카웍보다 코겐도를 이용하니 기성코일대비 맛과 무화량이 풍부해졌습니다. 대신 액상 소비는 체감상 기성보다 조금 빠르네요.
occ도 만족, 거의 기성occ(1.2옴짜리)대비 맛과 무화량은 약간 떨어지네요.
occ는 1.8옴짜리 레디와이어 트위스트로 0.9옴 만들까도 했는데 귀찮기도하고 1.2옴도 만족했던 부분이라 패스했습니다.
occ 0.5짜리 기성이 탄맛 올라오는 주기가 빠르고 맛이 뭉게지는 부분이 있어서 0.9옴은 나중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상어가 도착예정이라 니켈로 부다와 서브탱크 RBA는 니켈로...
암튼 기성 1453 코일과 나노 occ 코일 비용은 많이 세이브가 되었네요.^^
전투용으로는 1453과 나노1.2옴이 최고인거 같아요~개인적으론^^
댓글 5건
세타님의 댓글

|
ㄷㄷㄷ 능력자!! |
화이트리카님의 댓글

|
레디와이어 1.2옴은 어디표인가요?+_+ |
바두기님의 댓글

|
@화이트리카x빌드몰 입니다. |
바두기님의 댓글

|
@세타칸탈선은 절연고무를 태운다고 해서 레디와이어(무저항-저항-무저항)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
화이트리카님의 댓글

|
@바두기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