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별 통전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17-08-30 12:46 3,356읽음본문
통전에 따른 차이가 있느냐..
네.. 있습니다..
특히 저옴으로 갈수록 많이 느껴집니다..
여러가지 차이가 날 수있는 요소가 많지만 가장 큰건 소재와 버튼입니다..
버튼의 구조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납니다..
버튼이 좋은 제품의 경우 SS만으로도 통전의 부족함을 못느낄 정도로 좋다고 하더군요..
많은 분들이 잘못알고 계신
'알루미늄인데도 통전이 참 좋더라구요.'
알루미늄 통전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오해는 아마도 대체로 알루미늄 제품이 가격이 저렴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알루미늄은 원래 통전이 무지하게 좋습니다.
적동 (코퍼)와 타금속의 합금인 황동 (브라스)보다 훨씬 좋고 스뎅과는 비교도 안됩니다.
표준인 적동이 100인데 이보다 좋은 건 은밖에 없습니다.
근데 왜 전기에 그토록 민감해하는 여러 전기부품에 은도금을 하지 않고 금도금을 할까요?
은은 산화가 됩니다. 쓰지않은 은장신품이 까맣게 변한걸 보신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이 산화가 된게 통전에 방해가 됩니다.
그래서 은은 케이블처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품에는 사용을하지만 단자도금에는 잘 사용하지 않게된거로 추정합니다..
브라스도 코퍼도 나사산과 접지부분을 잘 관리해주고 산화된걸 제거해줘야 통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알루미늄의 단점은 산화되며 생기는 일종의 백화현상이라해야하나 그런게 있습니다..
나사산이 혼자 부식되서 무화기와 붙어버려 안풀린다던지...
그래서 알루미늄제품의 경우 안쓰실 때 잘 세척해서 말리시고 나사산을 꽉 잠궈놓지 않는걸 추천합니다.
자주 쓰시고 자주 관리해주시면 별문제 없습니다.
기기는 이상하게 안쓸수록 맛이갑니다..
쓰는 기기는 잔기스나 생채기는 생겨도 큰 문제는 안생기죠..

댓글 21건
세타님의 댓글

|
와 너무 좋은 글입니다
스크랩 해도 될까요?+`+ |
기환님의 댓글

|
@세타물론입니다용~ |
효발이님의 댓글

|
감사합니다 이참에 가벼운 알루미늄을 알아봐야 겟네요 |
뿜뿜뿜러님의 댓글

|
쓰는물건은 흠집은 나지만 이상이 안생긴다..말그대로 플레이어 컨디션 유지군요 명언입니다^^ |
Done님의 댓글

|
와 추천!!
속에 의문심이 싹 가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벨만님의 댓글

|
아..
이런 글 정말 좋습니다^^ 감사 N 추천을.. |
Done님의 댓글

|
@Done안그래도 지금 알미늄/은 조합이랑
구리/은/조합이랑 브라스/구리/은 조합이랑 막 섞어가면서 계속 읭? 읭ㅇ??? 하던점이 딱 알미늄 포지션이었는데 경통도 바꿔보고 스위치부도 바꿔보고 표 보고 해결 됐습니다! 좋았어! |
준후님의 댓글

|
금이 은보다 전도가 좋다고 알고있었는데 아니였군요~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해.. 추천~ |
기환님의 댓글

|
@효발이저도 알미늄하나 찾는중이에요 ㅎㅎ |
기환님의 댓글

|
@뿜뿜뿜러집도 사람이 안살면 금방 낡고 폐가가 되더라구요 |
기환님의 댓글

|
@Done네 알미늄에 대해 오해들이 좀있죠..
깨끗하고, 식품보관에 쓸정도로 안전하고, 가볍고, 싸고, 통전도 좋고 꽤 좋은 소재입니다. |
기환님의 댓글

|
@도벨만감사합니다~! |
기환님의 댓글

|
@준후그래도 간지는 금이죠.
솔리드 골드 멕모드.. 100돈, 세공비포함 3000만원! (실제로 있나..ㄷㄷ) |
Jazzblue님의 댓글

|
음 글을 읽고 은 점점부 닦아줬더니
통전률이 확 올라갔네요 ㅋ |
마따레옹님의 댓글

|
저도 오늘 집에가면 주력 기기들 나사산이랑 접점부 한번 닥아줘야겠네요 |
YVenom님의 댓글

|
정말 좋은 글입니다 추천 쾅쾅!! |
적요님의 댓글

|
이런건 팁게로 가야해욧! |
RDTA님의 댓글

|
오 좋은 설명 및 정보감사해요
스크랩해갈께요! |
언체인님의 댓글

![]() |
아주 좋은 글이엿습니다@ |
SmokingDreams님의 댓글

|
굳팁! |
봉천동깡놈님의 댓글

![]() |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