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별 통전 이야기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회원아이콘

소재별 통전 이야기

페이지 정보

기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8-30 12:46 3,356읽음

본문

통전에 따른 차이가 있느냐..


네.. 있습니다.. 


특히 저옴으로 갈수록 많이 느껴집니다..


여러가지 차이가 날 수있는 요소가 많지만 가장 큰건 소재와 버튼입니다..


버튼의 구조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납니다..


버튼이 좋은 제품의 경우 SS만으로도 통전의 부족함을 못느낄 정도로 좋다고 하더군요..



많은 분들이 잘못알고 계신 


'알루미늄인데도 통전이 참 좋더라구요.'


알루미늄 통전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오해는 아마도 대체로 알루미늄 제품이 가격이 저렴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알루미늄은 원래 통전이 무지하게 좋습니다.


적동 (코퍼)와 타금속의 합금인 황동 (브라스)보다 훨씬 좋고 스뎅과는 비교도 안됩니다.


표준인 적동이 100인데 이보다 좋은 건 은밖에 없습니다.


근데 왜 전기에 그토록 민감해하는 여러 전기부품에 은도금을 하지 않고 금도금을 할까요?


은은 산화가 됩니다. 쓰지않은 은장신품이 까맣게 변한걸 보신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이 산화가 된게 통전에 방해가 됩니다. 


그래서 은은 케이블처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품에는 사용을하지만 단자도금에는 잘 사용하지 않게된거로 추정합니다..


브라스도 코퍼도 나사산과 접지부분을 잘 관리해주고 산화된걸 제거해줘야 통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알루미늄의 단점은 산화되며 생기는 일종의 백화현상이라해야하나 그런게 있습니다..


나사산이 혼자 부식되서 무화기와 붙어버려 안풀린다던지...


그래서 알루미늄제품의 경우 안쓰실 때 잘 세척해서 말리시고 나사산을 꽉 잠궈놓지 않는걸 추천합니다.


자주 쓰시고 자주 관리해주시면 별문제 없습니다.


기기는 이상하게 안쓸수록 맛이갑니다.. 


쓰는 기기는 잔기스나 생채기는 생겨도 큰 문제는 안생기죠..

추천 1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21

Done님의 댓글

Don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Done안그래도 지금 알미늄/은 조합이랑
구리/은/조합이랑
브라스/구리/은 조합이랑 막 섞어가면서 계속 읭? 읭ㅇ??? 하던점이
딱 알미늄 포지션이었는데 경통도 바꿔보고 스위치부도 바꿔보고
표 보고 해결 됐습니다! 좋았어!

기환님의 댓글

기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Done네 알미늄에 대해 오해들이 좀있죠..

깨끗하고, 식품보관에 쓸정도로 안전하고, 가볍고, 싸고, 통전도 좋고 꽤 좋은 소재입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