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탱크 기성코일 or SS316L 코일 사용하시는 분 > 팁앤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연구실 인기글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팁앤가이드
회원아이콘

크라운탱크 기성코일 or SS316L 코일 사용하시는 분

페이지 정보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작성일 님이 2015년 12월 29일 03시 11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3,699 읽음

본문

와트 모드 와 온도조절 모드만 있는 분은 SS 를 온도조절 모드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리고 ,

 

제 생각에는 볼트모드( V V MODE )가 SS316L 뿐 아니라

스테인리스 계열 의 모든 코일에 가장 적합한 모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볼트모드가 있으신분은 볼트모드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와트모드 <<<<<< 온도조절 =< 볼트모드

이유는 기성 sus 스덴 316 코일에 대한 궁금증 

       

         칸탈선을 이용한 베이핑시 주의사항.(온도조절)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28

팔십팔님의 댓글

팔십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82.198)
회원아이콘 볼트모드 사용 권장의 근거로 제시하신게 온도조절의 기초가 되는 부분입니다..
볼트모드가 온도조절의 상위호환이 될 수는 없죠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김이온와트모드와 달리  볼트모드는 옴이 올라갈때 와트는 내려가기때문에
자동적인 온도조절 ? 이 되기 때문이고 ,
가장 큰 이유는 , 온도조절이 귀찮고 어렵기 때문이죠 ㅎㅎ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팔십팔맞습니다. 좋은 지적이시네요 ㅎㅎ
몇가지 이유를 들면 ,
첫째 , 온도조절은 귀찮고 , 어렵습니다. 볼트모드에 비해서
둘째 . STS (스테인리스 ) 계열의 재질을 현재 많은 분들이 크라운탱크나 헤라클레스 플러스나
0.2~0.5 옴의 기성 코일(SS316L) 을 와트모드르 80~120w  사이로 베이핑하십니다.
뭐 자세한 계산이야 팔십팔님도 충분히 하실테니 여기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만.
0.25 옴 120 w 를 볼트모드 사용 482 F 기준시  20 W 가량 줄어듭니다.

이 귀찮은 온도조절 하지 않아도 , 자연스레 온도조절의 효과 ? 를 보는 볼트모드를
어찌 온도조절 보다 상위호환으로 놓지 않을수 있을까요 ㅎㅎㅎ

김이온님의 댓글

김이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00)
회원아이콘 @유하몬스테인리스쓰면서 온도조절이 귀찮다고 생각해본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생각해보니깐 그럴수도 있겠군요 ㅠㅠ
근데 갑자기 든 생각인데 기성코일이면 리빌드 되어있는거 아닌가요?
옴이 맞춰져있으면 그닥 어려울것없을거같은데...

김이온님의 댓글

김이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00)
회원아이콘 @유하몬제가 이해가 잘 안가서 그러는데 0.25옴 120w를 볼트모드 482f기준시 20w가량 줄어든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ㅠㅠ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김이온일단 와트모드 사용시 옴이 올라가면서 볼트가 의도치 않게 올라가는건 본문의 링크글 첫번째 글을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그와는 반대로 볼트모드로 SS316L 의 특성상 482F 로 가열하면 저항이 1.207 배로 증가합니다.
0.25옴이 0.3 옴이 되는거죠 .
그런데 볼트모드는 볼트가 고정이 되어있으므로 P= V^2/R 이므로 .와트가 줄어듭니다.
120W 로 지지던 기기가 100W 로 출력을 다운시키는겁니다.
온도조절도 아닌데 볼트모드인데 ㅎㅎㅎ 물론 이모든 이야기는 STS 재질에서만 가능한 이야기죠 .
위에 팔십팔님도 적으셨지만 . 이 옴의법칙과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온도조절의 기초죠.

김이온님의 댓글

김이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6.100)
회원아이콘 @유하몬아 그말씀이셨군요.
스텐코일 와트모드 베이핑시 저항이 뛰는건 이전부터 자게에 많은분들이 적어주셨어서 알고있는부분이었는데
저처럼 온도조절을 별로 귀찮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굳이 볼트로 베이핑할 필요는 없겠네요.
팁 감사합니당 ㅎ.ㅎ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김이온넵. 팔십팔님의 첫번째 댓글에도 적었지만 , 많은 분들이 와트모드로 크탱기성코일 사용하셔서 ,
온도조절로 사용하시면 됩니다.라고 말씀드려도 귀찮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니. .
그 대책으로 볼트모드를 말씀드리는 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와트모드에 비해서 훨씬 안전하면서도 ,약간의 온도조절 효과도 누리는 볼트모드
그 비싼 기기인 엠클의 350J 칩의 파워+ 모드랑 비슷하죠 ㅎㅎ

팔십팔님의 댓글

팔십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82.203)
회원아이콘 @유하몬스뎅은 저항 팩터가 낮아서 말씀하신 효과는 거의 없다고 봐야죠
400F에서 상온대비 1.207, 800F에서 1.336인데 이정도 값으로는 히트플럭스가 다소 줄어들긴 해도 코튼이 탈 상황에서는 타게 돼있습니다
반면 최근의 온도조절은 드라이코튼도 멀쩡하죠
온도조절이 귀찮고 어렵다고 말씀하시는데 개인차가 있겠지만 일반화는 안하셨음 좋겠네요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SNAG음 ss 기성코일을 와트모드로 쓰는건 안 좋다라는걸 강조하려고 쓴글입니다 ㅎㅎ
취향문제가 아닌데 ㅎㅎ.
혹시 제가 이유라고 적은 링크글은 읽어보신건가요  ?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팔십팔이베이프에 크탱 0.25 옴으로 100w 이상 하시는분들 많습니다.
제 주위 지인도 그렇게 사용하는것 온도조절모드 하나하나 알려주면서 가르쳐주었습니다.
그런데 팔십팔님도 아시겟지만 ,온도조절 그냥 이거 이거 이렇게 해 라고 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닌건 아실겁니다.
그런 분들이라면 , 와트모드로 120 와트 0.25옴 으로 옴 널뛰기 되고 , 볼트 업 되고 하는것보다는 ,,
볼트모드로 20w 나 다운되는 이득 (?)아닌 이득을 보면서
안전하게 베이핑 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어서 적은글이구요 .
크탱 ss 코일로 3가지 모드 다 해봤지만
분명히 볼트모드로 효과는 있습니다. 여기에 코튼 드라이번은 끼워넣을 논제가 아닌것 같습니다만 ;;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김이온그닥 어려울거 없을거 같은데 귀찮다는 이유로 ....
더 알기 싫다 !!
 나는 그냥 베이핑만 하면 된다는 .. 그런 지인분들이 주변에 계시고 ..
아마 이벺에도 있지 않을까 사료되옵나이다 하하하.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프리네 그걸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같은 옴 널뛰기 상태에서
와트모드로 하면 나는 탄맛도 볼트모드로는 안날수 있다는 것을.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이제그만초보자분들이 그냥 쉽게 접해서 마음껏 쓰고 , 코일 갈기도 쉽고 . 나름 장점을 보면 좋은 기기에는 틀림없습니다만..
저도 크탱을 쓰고 있지만 , 그 외 의 단점들이 보이네요 ㅎㅎ

팔십팔님의 댓글

팔십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167.202)
회원아이콘 @유하몬스뎅코일을  와트모드로 사용하면 연타나 장타시에 매우 위험할 수 있죠
어디였는지 잘 기억은 안나지만 협력몰 제품설명에도 '프리빌드된 코일의 재질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급격히 달아올라 솜이 타는 증상이 있었으니 제거하고 새로 빌드해서 사용해라'라고 쓰여진 것도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업으로 삼고계신 분들도 온도조절에 적합한 마테리얼을 와트모드로 사용시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일반 유저들이 위험성을 자각하지 못하고 오남용하는 사례가 매우 많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헌데 지금은 본문이 수정되었고 제가 밖에서 업무중에 틈틈히 모바일로 댓글을 작성중이라 정확한 내용은 잘 기억이 나진 않습니다만 원래의 본문이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있어 입문하는 분들께 혼동을 드릴까 댓글을 단거구요
와트모드와 볼트모드가 장타시에 온도가 점증하는것은 일치하지만 상승폭이 전자의 경우 급증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엔 점감한다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와트모드는 지양하고 볼트모드는 와트모드에서 칸탈쓰듯이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되는것이지, 온도조절 모드와 우열을 가릴수도, 가릴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취향의 문제니까요

팔십팔님의 댓글

팔십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167.202)
회원아이콘 @팔십팔드라이번을 언급한것에 대해 첨언하자면 위에 작성하신 댓글의 '이 귀찮은 온도조절 하지 않아도 , 자연스레 온도조절의 효과 ? 를 보는 볼트모드를 어찌 온도조절 보다 상위호환으로 놓지 않을수 있을까요 ㅎㅎㅎ'에 대한 반대의견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꾸닌님의 댓글

꾸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02.152)
회원아이콘 0.25 ss코일 온도조절 몇도에 몇와트로하는게 좋죠? 전온도조절초보라 잘 모르는데 사용중이신분들 값좀 추천해주세요 ㅠㅠ rx200에 사용중입니다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꾸닌3~50 와트 사이 온도는 4~500 F 사이
아무래도 웜 베이핑 을 선호하시고 프로텍트 걸리는게 싫으신것 같은데 .
와트를 낮추는대신 초반 파이어 딜레이 좀 있습니다.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3.184)
회원아이콘 @꾸닌온도조절에서 와트는 설정온도에 오르기 위한 속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 와트가 너무 높으면 템프 프로텍트가 빠르게 자주 걸리겠죠 .
뜨거운 증기에 + 약간의 연기를 선호하신다면 ... 530 F 까지 올려보세요
와트도 7~80 와트 올리시고 .,,
하지만 본문에서도 이유라는 글의 링크글 보시면 아시겠지만 ..
저는 웜베이핑이나 핫 베이핑을 추천드리고 싶진 않네요 .
칸탈이 끊임없이 가속을 하는 브레이크 없는 차라면 .. 온도조절은 100 km 에서 크루즈 하는 차량이라고
비교 드리고 싶습니다.

팁앤가이드 목록

전체 2,849건 2 페이지
팁앤가이드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828 아르카나 빌드덱 체결 및 회전 뻑뻑함 해결법(추가) 댓글+4 인기글첨부파일 울보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2180  2
2827 무화기, 기기 종류와 구분 댓글+1 인기글 피와강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867  3
2826 RTA 누수잡기 가이드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불어학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3279  12
2825 하복 전원이 안켜질때.... 인기글 싸이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5337  1
2824 발라리안 1.2옴 리빌드 댓글+3 인기글 사월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4553  5
2823 브이쓰루프로 짜잘짜잘한팁 흡입센서고장 방지 꿀팁 댓글+1 인기글 멕도날드트럼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4270  5
2822 아스몬 누수 해결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3/6 내용추가: 실패) 댓글+4 인기글 연호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3251  2
2821 아스몬 누수 방지 팁 댓글+7 인기글 달려라티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6 2506  1
2820 아스몬, 젤로 팟 통상 상태 방치 테스트 댓글+2 인기글 피와강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3177  1
2819 닷 220w 배터리인식 댓글+9 인기글첨부파일 pipn2121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6 1540  1
2818 페이팔을 이용한 해외거래 이제 하지 마세요. 댓글+18 인기글 Jazzblu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5062  12
2817 아스파이어 플라스크s 입호흡 흡압 조절에 대해...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Retro76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791  1
2816 다이소 폴리싱 물품소개(다이소직원아님)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민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6889  6
2815 브이쓰루 흡입압 엄청 낮추는 팁 댓글+5 인기글첨부파일 공연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676  3
2814 발라리안 공팟분해 간단하네요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골뎅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4440  6
2813 첨 가입인사겸 모나키v2 클론... 누수가 잦아서 팁공유 드려요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goobal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93  5
2812 나는 연타 장타 안하는데 왜 솜이 금방 탈까??? 댓글+14 인기글첨부파일 달기방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5069  14
2811 제우스서브옴탱크 쇼트 문제 이렇게 해결했네요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avp프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55  1
2810 후싸bxr 분해겸 도색후기? 댓글+18 인기글첨부파일 소울키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2321  10
2809 무화기 510 나사산 갈렸을때 팁입니다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화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865  1
2808 겉담배, 입호흡, 폐호흡의 차이 댓글+1 인기글 물류하는베이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1173  4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