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PE 공병 녹나보네요
본문
해외포럼에 올라온건데 로우 덴시티 폴리카보네이트?? 공병인데 라임맛 액상 김장하다보니 공병이 저렇게 허옇게 녹았다네요. 플라스틱병도 녹는게 있고 안녹는게 있다던데...
추천 0
댓글 15건
변기통님의 댓글

|
pp로 하셔용 :) |
주선님의 댓글

|
허헐 -ㅅ-)
LDPE는 산에 반응하지 않는다고 하던데.... |
스트림님의 댓글

|
폴리카보네이트가 산에 약한 재질은 아닌데 녹죠... 플라스틱 경통이 보통 폴리카보네이트이지 않나요? |
개탱이님의 댓글

|
라임 레몬 파인애플은 플라스틱피하셔요ㅜ |
비어드맨님의 댓글

|
|
변기통님의 댓글

|
|
꼼탱이님의 댓글

|
|
비어드맨님의 댓글

|
|
꼼탱이님의 댓글

|
|
베이핑곰님의 댓글

|
LDPE = Low density Poly Ethylene > 밀도가 낮은 폴리에틸렌 즉 에틸렌 중합체 입니다. 유기화합물에 녹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액상에 사용하는 PG는 Propylene glycol로 유기화합물이죠 특히 프로필랜 글리콜같은경우 에틸렌과 반응시 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금 위험합니다
HDPE = High density Poly Ethylene > 밀도가 높은 폴리 에틸렌입니다. 역시 LDPE처럼 녹을 수 있어요 PP = Poly Propylene 폴리프로필렌도 녹을 가능성이 있지만 PG와 같은 Propyl로 이뤄져 있어서 녹을 위험이 조금 낮습니다 우리가 먹는 액상들이 PG와 각종 향료가 포함되있기 때문에 (100% VG또한 유기화합물이 첨가되있습니다) 액상에 들어가는 PG와 향료는 유기화합물로 유기중합체인 PP, PE, PC에 넣으면 조금 위험할 수 있어요 유리병을 사용하는게 제일 안전합니다. |
삽살개6님의 댓글

|
@베이핑곰PG자체는 PE,PP,PC를 녹이지 못하지 않나요??
기본적으로 PG는 Propyl기의 성질보다는 알코올의 성질이 더 우세한 물질입니다. (에탄올, 메탄올과 같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거의 무한대인 물질입니다.) 유기화학적으로 알코올은 친수성 즉 탄소화합물보다는 물과 더 친화력이 좋기 때문에 PE나 PP 또는 PC와 같은 고분자 탄소화합물을 쉽게 녹이지 못할거 같은데요.. |
베이핑곰님의 댓글

|
@삽살개6PG가 산화되었을시 라고 가정해본다면 C=O의 이중결합이 발생하며 케톤의 성질을 띄게됩니다.
오래된 액상의 경우 PG가 산화가 진행될 수 있으며 케톤에 제일 좋은 예로는 아세톤이 있겠죠 아세톤은 PC, PE, PP를 녹이는 탄소화합물과의 친화력이 좋은 무극성용매입니다. PG가 산화된다고 가정했을 시 충분히 PE, PC, PP와 같은 유기중합체를 녹일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역시 PG가 산화된다는 가정 자체는 액상이 매우 오래동안 공기중에 노출이 되어야 겠지만. 그렇게 오래된 액상은 못먹는게 답이지 않을까요? |
삽살개6님의 댓글

|
@베이핑곰http://www.cdf1.com/technical%20bulletins/Polyethylene_Chemical_Resistance_Chart.pdf
이 차트를 보시면 LDPE 및 HDPE의 Chemical Resistance Chart가 있습니다. A등급 : 전혀 손상(녹는 현상등)이 없다. B등급 : 특정조건에서 손상이 있을 수 있다. C등급 : 손상이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5번째 페이지에 Propylene Glycol의 경우 LDPE. HDPE 모두 A등급 입니다. 첫번째 페이지에 아세톤의 경우에도 섭씨 140도일경우 C등급이기는 합니다. PG가 산화되서 생긴 케톤 화합물은 B등급으로 섭씨 70도와 같은 특정조건에서 LDPE와 HDPE를 녹이기 때문에 위험하기는 합니다. 허나 말씀처럼 그렇게 오래된 액상은 역시 버려야 겠지요ㅋㅋㅋ 여튼 결론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 환경내에서 PE공병은 PG에 녹지 않으니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될듯 합니다. |
천주황님의 댓글

|
@주선그니께요.., pe pp ldpe hdpe 는 안전하다는데 ㅠㅠ |
천주황님의 댓글

|
@삽살개6PE LDPE HDPE는 안전하다는 거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