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과 배터리의 관계에 대해서 한번... 싸고갑니다
본문
그전에도 올리셨던 분이 계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오늘 물어보는 분이 계시길래 작년 이맘때쯤에 모 카페에서 적었던거 초쿰...수정해서 올려봅니다.
도움이 되는 분이 계실까 싶어서...
이전에 썻던 글이랑 뒤죽박죽... 내용이 오락가락 하는건 이해해 주십사...헷
[요약]
1. 본인이 쓰고있는 배터리의 정확한 스펙을 파악한다. (연속방전전류값)
2. 아날로그를 쓰면서 어느 저항까지 괜찮을지가 궁금하다면
R=V/I 에서 HE2기준으로 R=4/20
∴ R=0.2
이런식으로 대입해서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한계에 가깝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것을 최저옴으로 사용하시면 안전.
배터리간에 ±5% 까지 오차가 있을 수 있을 수도 있어요.
3. 위의 계산에서 W가 궁금해진다면
P=I^2R, P=V^2R 에서 P = 20^2 * 0.2
∴ P = 80
(어째서 현재까지의 한발짜리 가변들이 아직까지 60W, 75W에 묶여있는지는 이것을 보시면 아실 수 있으실꺼에요...)
3. 가변은 이 기준에 얽매일 필요 없습니다.
(다만, 저항이 너무 낮고 기기의 출력이 낮다면 베이핑에 적절한 수준의 전류가 안나올 수 있습니다.)
4. 안전제일
코일과 배터리의 전압의 관계에 대해서 적어봅니다.
본인의 기기에서 몇옴 까지 쓸 수 있는지
가변이라면 어느정도 출력까지 괜찮을지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일반적으로 코일의 저항이 낮을때 고온으로 더 빨리 올라가게 됩니다.
(동일 저항이더라도 면적이나 재질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지만 여기선 제껴두고 볼께요.)
그래서 무화량도 많아지게 되는것입니다.
왜 이렇게 되는가 하면 옴의 법칙을 이용해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전류 I = 전압 V / 저항 R
위의 식에서 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전류가 올라가고
반대로 저항을 낮추면 전류가 올라갑니다.
회로의 전류가 올라가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도 올라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코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론 전압을 올리거나 저항을 낮추거나 입니다.
아날로그 모드같은 경우 전압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전류량을 조절하게 되는것이죠
그럼 확 0.1옴으로 해서 하면 엄청나겠네!
라고 생각하시면 좀 위험합니다.
전지는 방출할 수 있는 전류의 양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18650의 경우 6A 미만에서 가장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합니다.
또한 일반적인 3.7V 배터리일 지라도 정전압 회로가 없는 배터리라면
완충 4.2V ~ 3.4V 까지 변동이 있습니다.
(옛날 미니카 같은거 생각하시면 충전하고 바로 굴리면 엄청 빠른데 배터리 다되가면 느려지는거 생각하시면 됩니다.)
R = V / I 에서
V = 완충 4.2 , I = 6 를 대입하면
0.7 옴 입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방출할 수 있는 전류의 양이 커지므로
본인의 배터리를 확인해 보시고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위의 경우는 싱글저항일 경우 입니다.
직렬로 두개의 저항을 쓰거나 병렬로 두개의 저항을 쓴다면 어떻게 될까요?
3.7V의 배터리에 2옴 저항 두개가 직렬이라면
합성저항 R0 = R1 + R2 가 되어
저항이 4옴이 되고 0.925A가 흐르게 됩니다.
3.7V의 배터리에 2옴 저항 두개가 병렬이라면
합성저항 R0 = (R1*R2) / (R1+R2)
저항이 1옴이 되고 3.7A가 배터리로 부터 출력되며
저항당 1.85 A가 흐르게 됩니다.
쉽게 계산하시려면 똑같은 저항 두개일때
직렬이면 *2 병렬은 /2 하시면 됩니다.
정리하면 병렬일때 싱글과 같은 전류가 각각의 코일에 인가되지만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2배가 됩니다.
위의 예시에선 건전지 내부저항이나 그 밖의 상황은 무시했습니다.
초전도체가 아니라면 코일의 저항 외에도
배터리 내부부터 경통 무화기 외부까지 저항이 있습니다.
간혹 덱만 껴서 체크할 때에 비해서 체결 후에 옴이 올라갈 때도 있었던건 이것때문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쓰고있는 배터리의 정확한 스펙을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몇개월전의 이페스트배터리만 보더라도 연속방전전류값이 아닌 순간방전전류값이 떡하니 적혀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지금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검색을 통해 본인이 쓰고있는 배터리의 연속 방전전류 값을 파악해봅시다.
예전엔 이 링크에서 파악했었습니다만 최근 유행하는 배터리들은 없으니 참고하세요. (LG HG2, VAPPOWER)
혹시나 드리퍼는 잠깐 빠는거니까 순간방전전류값이라도 괜찮지 않겠느냐 하실 수 있으신데...
말리진 않겠습니다만... 자제해주세요.
맥시멈펄스 전류가 따로 스펙에 있는 이유는 주로 전동기 기동시에 운동중 대비 대량의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순간적으로 치솓는 기동전류를 커버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일뿐 반복적으로 사용해선 안됩니다.
저희는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아무리 잠깐씩 쓴다고 해도 연속방전전류값 안에서 사용하시길 당부드려요.
IMR INR 배터리 같은경우 터진다기 보다는 가스가 방출되며 퍼지 되는데
아날로그 모드가 특히 위험했던 부분이 내부가 밀폐되어서 가스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었기때문에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서 임계점을 넘는순간 펑... 누구는 손 날라가고 누구는 턱 돌아가고...
지금은 하부나 상부 혹은 측부에 구멍이 뚤려서 가스가 빠져나갈 구멍을 만드는 경우를 많이 보셨을텐데
여기에 배신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터리 하부에 구멍이 뚤려있어서 가스가 빠져나가겠더니 했는데 스위치용 네오디움자석이 구멍을 막고있어서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였다거나
측면에 뚤려있어서 안심했더니 내부 부품이 막고있어서 배터리 커버가 날라간 경우라던지...
하이브리드캡을 쓰신다면배터리 +극에 네오디움 자석을 붙여서 쓰시다가 옆으로 붙어서 쇼트나버리는 일이 없도록 버튼헤드를 쓰시고
경통을 닫으면서 배터리를 압박할때 배터리 +극 부분이 접혀서 들어가는 경우가 간혹 생기는데 이때에도 쇼트가 날수 있어요.
가능하면 여러 정보들을 습득해 두시고
뭘 조심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안전한지 어느 수준까지 괜찮을지...
댓글 23건
얏옹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
Whoareyou님의 댓글

|
|
얏옹님의 댓글

|
|
도토리묵님의 댓글

|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안전제일! 안전이 최고입니다. 저는 요즘 너무 극저저항은 겁이 나서 0.4~5옴 기성코일만 사용합니다. |
김이온님의 댓글

|
팁게로! & 추천 ㅎ.ㅎ 배터리 잘 몰랐는데 배워갑니당 |
일루문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
Whoareyou님의 댓글

|
@일루문나중에 이베이프님이 옴겨주실것입니다. |
얏옹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가변에 있는 칩셋처럼 유저가 똑똑해질 필요가 있습니다?ㅋㅋ 유저가 클론칩 처럼 우둔할지 정풉칩처럼 똑똑할지는...후후 |
카론의새벽님의 댓글

|
아니 이글을 왜 여기에 올리셨나요..팁게에 올리셔야죠.. ^^ 이제 다른 지식을 가지신 분들의 댓글이 달리면 어떤게 위험하고 어떤걸 조심해야하는지.. 기기별로도 더 세세히 나올듯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일루문님의 댓글

|
/가 입력이 안되서 수식 자체가 틀린부분도..... 저쪼위에 P = V^2 / R 이에요; (^2는 제곱이라는 얘기...) |
일루문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김이온요즘 가변들 많이쓰니까...
이렇게 아날로그적인건 막상 몰라도 괜찮긴 해요ㅋ 오히려 이거보다 열량 법칙을 알려드려야 될것같은데... |
카론의새벽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
얏옹님의 댓글

|
자칫하면 팁같은 이 글이 음란물이 될수도있습니다! |
일루문님의 댓글

|
|
일루문님의 댓글

|
|
얏옹님의 댓글

|
놔두시는게 좋습니다...흐흐 |
카론의새벽님의 댓글

|
|
Whoareyou님의 댓글

|
@일루문여기 있으면 하루지나면 잊혀지니깐요 |